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0,11,1
1절. 연구개발의 경제ㆍ사회ㆍ기술적 중요성=10,11,1
1. 기술적 측면=10,11,1
2. 경제.산업적 측면=10,11,1
3. 사회.문화적 측면=10,11,2
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11,12,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2,13,1
1절. 기술 개발 현황=12,13,1
2절. 국ㆍ내외 기술 개발 현황에서 차지하는 위치=12,13,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4,15,1
1절. 뇌질환의 세포 배양 모델 및 동물 모델 구축 (1단계)=14,15,1
1. 세포배양모델의 구축 (excitotoxicity, 산화적 독성, apoptosis, 산소-포도당 결핍, Aging)=14,15,3
2. 신경세포사멸에 관여하는 유전자기능을 탐색하기위한 CELL LINE 구축=16,17,1
3. 뇌졸중의 동물모델 구축=16,17,2
4. 외상성 뇌손상의 동물모델 구축=17,18,1
2절. 신경세포사멸의 신호전달경로 규명=17,18,1
1. 마이토콘드리아에 의한 뇌신경세포의 사멸 제어=17,18,1
2. 활성 산소에 의한 death signal cascade의 활성화=17,18,2
3. 뇌질환 동물 모델에서 활성 산소 측정=18,19,1
4. 뇌세포 사멸시 Ca(2+) 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18,19,2
5. 국소적 뇌허혈 과정에서 일어나는 세포 사멸에 관한 새로운 견해 제시=19,20,2
6. MCAO모델에서 FAS활성에 excitotoxicity, 활성산소, apoptosis의 관련성 규명=20,21,3
7. 전신성 뇌허혈 모델에서 CAI 신경세포의 사멸기전 규명=22,23,3
8. AD에서 caspase-3 활성과 excitotoxicity와 apoptosis의 관계규명=24,25,2
9. Proteasome inhibition에 의한 신경세포사멸 기전=26,27,3
10. Apoptosis의 과정에서 COX의 역할=28,29,1
11. Apoptosis와 necrosis를 간단히 구분하는 방법=29,30,1
12. Excitotoxicity, 산화적 독성, apoptosis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의 신호 전달경로 지도=30,31,1
3절. 신경세포사멸의 Proteomic/Genomic Analysis=30,31,1
1. Excitotoxicity 과정에서(NMDA 처리) proteome의 변화 및 tau protein의 변화=30,31,4
2. Kainate 처리에서 proteome의 변화=33,34,3
3. Fe(2+) 투여 후 proteome 변화=36,37,3
4. 혈청결핍 모델에서의 protrome의 변화=38,39,4
5. Caspase 단백질 분해 효소의 뇌세포 특이적 기질 단백질 검색=41,42,1
6. 뇌세포 사멸 분석용 DNA microarray 개발=41,42,2
4절. 선택적신경세포사멸의 기전규명=42,43,1
1. Single Cell RT-PCR 방법의 개발=42,43,2
2. NADPH-d(+)neurons 의 산화적 독성에 대한 저항성과 그 기전=44,45,4
3. NADPH-d(+) neuron의 apoptosis에 대한 저항성과 기전=47,48,3
4. 활성산소종에 의한 motor neuron (spinal cord)의 선택적 사멸=49,50,2
5절. 노화관련 위험인자의 탐색과 신경세포사멸의 특성=50,51,1
1. 노화에서 excitotoxicity에 대한 민감도 변화의 기전 규명=51,52,1
2. 노화에서 apoptosis에 대한 민감도 변화의 기전 규명=51,52,2
6절. 신규 신경세포보호약물의 개발=52,53,1
1. 저독성 glutamate antagonist NET98001 단위구조의 합성 및 약리효과 연구=52,53,2
2. NET98001 단위구조의 Fmoc group도입(Fmoc-chemistry)=53,54,1
3. Complestatin의 선형 amino acid 유사체 합성 연구=53,54,3
4. Cystein을 이용한고리환유사체의 합성연구=55,56,2
5. Directly chlorination reaction을 이용한 D-3,5-dichloro-4-hydroxyphenyl-glycine=56,57,2
6. Strecker reaction 을 이용한 D-3,5-dichloro-4-hydroxyphenylglycine 유사체의 합성=57,58,1
7. 각 화합물의 약리효과 test=57,58,2
8. CIIA의 신경세포 보호작용 탐색 및 기전 규명=59,60,2
7절. 신경영양인자의 독성기전규명 및 약리효과의 최적화=60,61,1
1. BDNF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 조절의 기전-뉴로트로핀의 양면성=60,61,5
2. 항 조울증 약물인 lithium의 선택적 항고사 효과 및 작용 기전의 규명=64,65,3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67,68,1
1절. 연구목표의 달성도=67,68,1
2절.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67,68,2
3절. 연구개발의 최종목표=68,69,1
4절. 단계/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68,69,3
5절. 계획대비 달성도=70,71,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72,73,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72,73,1
제7장 참고문헌=72,73,1
Chapter 1. Introduction=10,11,2
Chapter 2. Trends in Technology Development=12,13,2
Chapter 3. Methods and Results=14,15,53
Chapter 4.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of Projects=67,68,5
Chapter 5. Application and Perspectives of Achieved Results=72,73,1
Chapter 6. Information of Related Study in foreign=72,73,1
Chapter 7. References=72,7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