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뇌졸중과 치매의 모델제작, 제어방법 및 기술, 예방 전략의 개발

뇌졸중과 치매의 모델제작, 제어방법 및 기술, 예방 전략의 개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곽병주
단체저자명
아주대학교 . 의과대학 . 뇌졸중 및 치매중재요법 연구센터
서명 / 저자사항
뇌졸중과 치매의 모델제작, 제어방법 및 기술, 예방 전략의 개발 = Study for the interventional therapy of stroke and alzheimer's disease /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뇌졸중 및 치매중재요법 연구센터 연구 ; 과학기술부 [편].
발행사항
[과천] :   과학기술부 ,   2004.  
형태사항
72 p. : 삽도 ; 30 cm.
일반주기
주관연구책임 : 곽병주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000 00862namccc200241 k 4500
001 000045148628
005 20100806101803
007 ta
008 050131s2004 ggka b HE 000a korBU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0 ▼a kor ▼b kor ▼b eng
082 0 4 ▼a 616.81 ▼2 22
088 ▼a M19911000031
090 ▼a 616.81 ▼b 2004a
110 ▼a 아주대학교 . ▼b 의과대학 . ▼b 뇌졸중 및 치매중재요법 연구센터
245 1 0 ▼a 뇌졸중과 치매의 모델제작, 제어방법 및 기술, 예방 전략의 개발 = ▼x Study for the interventional therapy of stroke and alzheimer's disease / ▼d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뇌졸중 및 치매중재요법 연구센터 연구 ; ▼e 과학기술부 [편].
260 ▼a [과천] : ▼b 과학기술부 , ▼c 2004.
300 ▼a 72 p. : ▼b 삽도 ; ▼c 30 cm.
500 ▼a 주관연구책임 : 곽병주
504 ▼a 참고문헌 수록
700 1 ▼a 곽병주
710 ▼b 과학기술부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청구기호 616.81 2004a 등록번호 13101996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목차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10,11,1

1절. 연구개발의 경제ㆍ사회ㆍ기술적 중요성=10,11,1

1. 기술적 측면=10,11,1

2. 경제.산업적 측면=10,11,1

3. 사회.문화적 측면=10,11,2

2절. 연구개발의 필요성=11,12,1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12,13,1

1절. 기술 개발 현황=12,13,1

2절. 국ㆍ내외 기술 개발 현황에서 차지하는 위치=12,13,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14,15,1

1절. 뇌질환의 세포 배양 모델 및 동물 모델 구축 (1단계)=14,15,1

1. 세포배양모델의 구축 (excitotoxicity, 산화적 독성, apoptosis, 산소-포도당 결핍, Aging)=14,15,3

2. 신경세포사멸에 관여하는 유전자기능을 탐색하기위한 CELL LINE 구축=16,17,1

3. 뇌졸중의 동물모델 구축=16,17,2

4. 외상성 뇌손상의 동물모델 구축=17,18,1

2절. 신경세포사멸의 신호전달경로 규명=17,18,1

1. 마이토콘드리아에 의한 뇌신경세포의 사멸 제어=17,18,1

2. 활성 산소에 의한 death signal cascade의 활성화=17,18,2

3. 뇌질환 동물 모델에서 활성 산소 측정=18,19,1

4. 뇌세포 사멸시 Ca(2+) 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18,19,2

5. 국소적 뇌허혈 과정에서 일어나는 세포 사멸에 관한 새로운 견해 제시=19,20,2

6. MCAO모델에서 FAS활성에 excitotoxicity, 활성산소, apoptosis의 관련성 규명=20,21,3

7. 전신성 뇌허혈 모델에서 CAI 신경세포의 사멸기전 규명=22,23,3

8. AD에서 caspase-3 활성과 excitotoxicity와 apoptosis의 관계규명=24,25,2

9. Proteasome inhibition에 의한 신경세포사멸 기전=26,27,3

10. Apoptosis의 과정에서 COX의 역할=28,29,1

11. Apoptosis와 necrosis를 간단히 구분하는 방법=29,30,1

12. Excitotoxicity, 산화적 독성, apoptosis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의 신호 전달경로 지도=30,31,1

3절. 신경세포사멸의 Proteomic/Genomic Analysis=30,31,1

1. Excitotoxicity 과정에서(NMDA 처리) proteome의 변화 및 tau protein의 변화=30,31,4

2. Kainate 처리에서 proteome의 변화=33,34,3

3. Fe(2+) 투여 후 proteome 변화=36,37,3

4. 혈청결핍 모델에서의 protrome의 변화=38,39,4

5. Caspase 단백질 분해 효소의 뇌세포 특이적 기질 단백질 검색=41,42,1

6. 뇌세포 사멸 분석용 DNA microarray 개발=41,42,2

4절. 선택적신경세포사멸의 기전규명=42,43,1

1. Single Cell RT-PCR 방법의 개발=42,43,2

2. NADPH-d(+)neurons 의 산화적 독성에 대한 저항성과 그 기전=44,45,4

3. NADPH-d(+) neuron의 apoptosis에 대한 저항성과 기전=47,48,3

4. 활성산소종에 의한 motor neuron (spinal cord)의 선택적 사멸=49,50,2

5절. 노화관련 위험인자의 탐색과 신경세포사멸의 특성=50,51,1

1. 노화에서 excitotoxicity에 대한 민감도 변화의 기전 규명=51,52,1

2. 노화에서 apoptosis에 대한 민감도 변화의 기전 규명=51,52,2

6절. 신규 신경세포보호약물의 개발=52,53,1

1. 저독성 glutamate antagonist NET98001 단위구조의 합성 및 약리효과 연구=52,53,2

2. NET98001 단위구조의 Fmoc group도입(Fmoc-chemistry)=53,54,1

3. Complestatin의 선형 amino acid 유사체 합성 연구=53,54,3

4. Cystein을 이용한고리환유사체의 합성연구=55,56,2

5. Directly chlorination reaction을 이용한 D-3,5-dichloro-4-hydroxyphenyl-glycine=56,57,2

6. Strecker reaction 을 이용한 D-3,5-dichloro-4-hydroxyphenylglycine 유사체의 합성=57,58,1

7. 각 화합물의 약리효과 test=57,58,2

8. CIIA의 신경세포 보호작용 탐색 및 기전 규명=59,60,2

7절. 신경영양인자의 독성기전규명 및 약리효과의 최적화=60,61,1

1. BDNF에 의한 신경세포 사멸 조절의 기전-뉴로트로핀의 양면성=60,61,5

2. 항 조울증 약물인 lithium의 선택적 항고사 효과 및 작용 기전의 규명=64,65,3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67,68,1

1절. 연구목표의 달성도=67,68,1

2절. 관련 분야에의 기여도=67,68,2

3절. 연구개발의 최종목표=68,69,1

4절. 단계/연차별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68,69,3

5절. 계획대비 달성도=70,71,2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72,73,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72,73,1

제7장 참고문헌=72,73,1


Chapter 1. Introduction=10,11,2

Chapter 2. Trends in Technology Development=12,13,2

Chapter 3. Methods and Results=14,15,53

Chapter 4. Achievement and Contribution of Projects=67,68,5

Chapter 5. Application and Perspectives of Achieved Results=72,73,1

Chapter 6. Information of Related Study in foreign=72,73,1

Chapter 7. References=72,73,1

관련분야 신착자료

Willey, Joanne M (2023)
대한폐고혈압학회 (2023)
혈관영상생리연구회 (2023)
정진호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