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3
제1장 평생교육과 평생학습 시대의 도래 = 11
1. 지식기반사회의 교육패러다임 = 12
2. 학교교육의 위기와 평생교육 = 18
3. 직업세계의 변화와 계속교육 = 22
4. 고령화사회와 평생학습 = 26
5. 현대인의 정신적 위기 극복과 여가교육 = 30
제2장 평생교육의 의미·성격·방법 = 34
1.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의 의미 = 34
2. 평생교육의 성격 = 40
3. 평생교육방법 = 58
제3장 국제기구의 평생교육 보급과 평생학습정책 = 64
1. UNESCO와 평생교육 = 64
2. OECD의 순환교육론과 평생학습 권고안 = 94
3. 국제기구중심 성인교육 운동의 전개 = 80
4. ASEM·EU·World Bank에서의 평생학습 = 84
제4장 영국과 미국의 평생학습정책 = 89
1. 영국의 평생학습정책과 ICT센터의 설립 = 90
2. 미국의 사이버대학 중심의 성인학습 활성화 = 97
3. 영국과 미국 평생학습정책의 전략적 특징과 시사점 = 103
제5장 스웨덴의 순환교육론에 입각한 평생학습체제 = 110
1. 순환교육론에 입각한 평생교육체제 정비 = 110
2. 평생학습 기초교육 강화를 위한 통합고등학교 제도 도입 = 112
3. 고등교육 기회 확대와 KY Project = 114
4. 성인 학습서클의 활성화 = 116
5. 개인학습계좌제의 도입 = 123
제6장 독일의 모든 사람을 위한 평생학습정책 = 128
1. 새로운 행동 프로그램과 평생학습정책 = 128
2. 모든 사람을 위한 평생학습정책 = 130
제7장 일본의 평생교육체제 정비와 생애학습시책 = 152
1. 일본 평생교육체제 정비와 배경 = 153
2. 일본의 평생교육체제 정비 = 155
3. 일본의 평생학습기관 현황과 생애학습의 특징 = 164
제8장 평생교육에 대한 주요접근 = 173
1. 학습사회론적 접근 = 173
2. 순환교육론적 접근 = 180
3. 모든 이를 위한 교육(education for all) = 182
제9장 생애주기와 평생교육 = 185
1. 생애주기와 발달단계 = 185
2. 유아기·아동기·청년기 = 193
3. 성인학습자와 평생교육 = 199
제10장 Andragogy와 평생교육학 = 212
1. Andragogy = 212
2. Pedagogy와 Andragogy = 218
3. 평생교육학 성립의 가능성 탐색 = 220
제11장 평생학습방법론 = 227
1. 개인학습과 집단학습 = 227
2. 자기주도적 학습 = 236
3. Freire의 제3세계적 관점의 성인교육론 = 243
4. 전환학습이론 = 248
5. 구성주의 학습과 뉴미디어 = 252
제12장 평생교육지도자의 역할과 자질 = 263
1. 평생교육지도자의 역할 = 263
2. 평생교육지도자의 자질 = 268
3. 평생교육사 양성의 실제 = 271
제13장 우리 나라 평생교육의 전개와 평생학습의 실제 = 280
1. 해방에서 1950년대 사회교육 = 280
2. 1960·1970년대 사회교육 = 285
3. 1980·1990년대 사회교육과 평생교육 = 291
4. 2000년대 평생교육법 제정과 평생학습지원체제 구축 = 307
제14장 평생교육법규와 평생교육법 = 320
1. 평생교육법규 개관 = 320
2. 평생교육법의 주요내용 = 327
3. 사회교육법과 평생교육법 = 334
제15장 평생교육 시설·단체와 평생학습프로그램 = 339
1. 평생교육기관의 유형 = 339
2. 학교중심 평생교육의 실제 = 342
3. 학원·문화시설의 평생교육 = 358
제16장 평생교육과 평생학습의 실천방향과 과제 = 370
참고문헌 = 377
[부록] 평생교육법 = 391
찾아보기 = 4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