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소리 연

소리 연 (Loan 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범훈.
Title Statement
소리 연 / 박범훈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경향신문사 출판본부 ,   2004.  
Physical Medium
200 p. : 채색삽도 ; 23 cm.
기타표제
내가 만난 소리·내가 만든 소리
ISBN
8985983679
000 00565camccc200205 k 4500
001 000045147329
005 20100806095637
007 ta
008 041110s2004 ulka 000a kor
020 ▼a 8985983679 ▼g 03810
035 ▼a KRIC09604519
040 ▼a 211062 ▼d 211009
082 0 4 ▼a 780.9519 ▼2 22 ▼a 780.953
090 ▼a 780.953 ▼b 2004c
100 1 ▼a 박범훈. ▼0 AUTH(211009)138023
245 1 0 ▼a 소리 연 / ▼d 박범훈 지음.
246 1 3 ▼a 내가 만난 소리·내가 만든 소리
260 ▼a 서울 : ▼b 경향신문사 출판본부 , ▼c 2004.
300 ▼a 200 p. : ▼b 채색삽도 ; ▼c 23 c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0.953 2004c Accession No. 1113083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0.953 2004c Accession No. 1113083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0.953 2004c Accession No. 15123603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0.953 2004c Accession No. 11130836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780.953 2004c Accession No. 1113083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780.953 2004c Accession No. 15123603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범훈(지은이)

범성凡聲(뭇소리) 박범훈은 예술가, 교육자 및 교육행정가로서 누구도 넘지 못할 뛰어난 업적을 쌓아왔다. 86아시안게임, 88서울올림픽, 2002한일월드컵, 대구유니버시아드 개막의 작곡 및 지휘 등을 맡았다. 또한, ‘중앙국악관현악단’, ‘국립국악관현악단’, 한중일 3국의 ‘오케스트라 아시아Orchestra Asia’를 창단하여 국악 대중화 및 세계화를 주도하였다. 대한민국 국민훈장 석류장(No 602호), 한국무용음악 작곡상, KBS국악대상 작곡상, 대한민국 작곡대상, 대한민국 예술인상(대통령상), 서울특별시 문화상 등을 수상하였다. 저서로는 <피리산조 연구>, <작편곡을 위한 국악기 연구>, <한국 불교음악의 연구>, <박범훈의 예술세계>, <소리연>, <추임새> 등이 있으며, ‘전통음악으로 본 한국인의 멋’, ‘경기음악의 보존과 전승발전을 위한 연구’, ‘문화산업 시대의 국악의 역할’, ‘산조의 역사적 의의와 중요성’ 등의 연구논문이 있다. 중앙대학교 학장, 부총장, 총장, 대통령 취임준비위원장, 대통령실 교육문화수석비서관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는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재)뭇소리 중앙예술원 이사장, 중국 중앙음악학원 객좌교수 등으로 활약하고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내가 만난 소리
 하나. 양평에서 만난 남사당의 소리
  떼루 떼루 = 14
  생쥐 소나타 = 17
  꼭두쇠에게 손목 잡혀 서울로 = 18
 둘. 서울에서 만난 피리 소리
  네 이름이 뭐고? = 22
  가시철망에 핀 개나리꽃 = 24
  화양리 호박밭 소나타 = 26
  소금 도둑 = 29
  엄마 젖꼭지 빨기 = 31
  분에 넘친 스승복 = 32
  나 좀 살려줘 = 33
 셋. 대학에서 만난 서양음악 소리 
  곡에서 나는 돈 냄새 = 36
 넷. 일본에서 만난 아시아의 소리 
  그래 이젠 일본이다 = 40 
  대학 배지로 맺은 인연 = 42
  어느 무용수의 눈물 = 43
  건방진 무사시노 = 47
  아시아 소리의 만남 = 50
 다섯. 동국에서 만난 달마의 소리 
  진감(鎭鑒)의 소리를 찾아서 = 56
  산사에서 만난 땡초 = 58
  도량석 소리 = 60
  이땅에서 살자꾸나 = 62
  땡초의 비운 = 63
  나 죽으면 목탁치지 마라 = 65
  달마의 소리 찾아 동국으로 = 67
Ⅱ 내가 만든 소리 
 하나. 춤을 위한 소리 = 72
  한영숙의 「꽃과 잎」 = 75
  송범의 무용극
 둘. 시나위를 위한 소리 
  '민속악회 시나위' 창단 = 80
 셋. 마당놀이를 위한 소리 
  색소폰 부는 윤문식 = 84
  팔방미인, 김성녀 = 86
  마당놀이 감초, 김종엽 = 88
 넷. 관현악을 위한 소리
  중앙국악관현악단 창단 = 92
  국립국악관현악단 창단 = 96
 다섯. 아시아 민족악기를 위한 소리
  건방진 얼후 아가씨 = 98
  한·중·일 아시아민족악단 창단 = 104
 여섯. 아∼대한민국 소리
  88을림픽 개막식 = 110
  2002 한·일월드컵 개막식 = 115
 일곱. 내가 만든 달마의 소리 
  눈물에 젖은 염주 = 120
  그대는 보현행자 = 122
 여덟. 우리 소리의 종자 키우기 
Ⅲ 나를 만든 소리
 하나. 박범훈의 음악세계 관현악을 위한 소리 01
  사물놀이를 위한 협주곡「신모듬」 = 132
 둘. 박범훈의 음악세계 관현악을 위한 소리 02
  경기 무속음악을 주제로 한 「신내림」 = 136 
  22현 가야금을 위한 협주곡「새 산조」 = 137
  김일구류(流)「아쟁 협주곡」 = 139
 셋. 박범훈의 음악세계 관현악을 위한 소리 03
  춤을 위한 「나나니」 = 141
  「춘무」 = 143
  「축연무」 = 144
 넷. 박범훈의 음악세계 관현악을 위한 소리 04
  25현 가야금을 위한 협주곡「가야송」 = 145
  국악관현악을 위한 「어랑 어랑」 = 147
  국악관현악을 위한 「염원」 = 147
 다섯. 박범훈의 음악세계 아시아 민족악기를 위한 소리 01
  얼후를 위한 협주곡「향(香)」 = 149
  샤쿠하치와 고토를 위한 「메나리」 = 150 
  한·일 악기를 위한 합주곡「백(白)」 = 152
 여섯. 박범훈의 음악세계 아시아 민족악기를 위한 소리 02
  시타르를 위한 협주곡「동점(東漸)」 = 153
  아시아민족악단을 위한 「한(恨)」 = 154
  아시아민족악단을 위한 「제천(齊天)」 = 156
 일곱. 박범훈의 음악세계 아사아 민족악기를 위한 소리 03
  아시아민족악단을 위한 「뱃노래」 = 158
  일덜 악기를 위한 「시나위」 = 159
  일본「고토(箏) 산조」 = 161
 여덟. 박범훈의 음악세계 독주·중주를 위한 소리 01
  박범훈류(流)「피리 산조」 = 163
  피리를 위한 「창부타령」 = 165
  파리 독주, 경기시나위 「푸살」 = 166
 아홉. 박범훈의 음악세계 독주·중주를 위한 소리 02
  가야금 3중주「모리」 = 167
  해금 4중주「잽이」 = 169 
  피리 3중주「춤」 = 171
  가야금 3중주「돈돌나리」 = 173
 열. 박범훈의 음악세계 연극·영상을 위한 소리 01
  바우덕이 주제곡「덕아덕아 바우덕아」 = 175
  음악극「남사당의 하늘」 중 「남사당의 노래」 = 177 
  KBS 대하드라마「삼국기」주제곡 = 178
 열하나. 박범훈의 음악세계 합창을 위한 소리 01
  2002 한·일월드컵 개막식곡「평화의 아리랑」 = 179 
  국악관현악과 합창「아리아리」 = 180
  국악관현악과 합창「천둥소리」 = 181
  관현악과 합창「뱃노래」 = 182
 열둘. 박범훈의 음악세계 민요를 위한 소리 01
  김영임의 「아리랑」 = 184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