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연구개요 = 1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1.1.1. 연구의 배경 = 1
1.1.2. 연구의 필요성 = 3
1.2. 연구 목표와 주요 내용 = 5
1.2.1. 연구의 목표 = 5
1.2.2. 연구의 주요 내용 = 5
1.2.3. 연구의 기대효과 = 7
1.3. 연구추진체계 및 연구방법 = 8
1.3.1. 연구추진체계 = 8
1.3.2. 연구방법론 = 9
제2장 국가기술혁신지표의 개념 및 니즈 정립 = 10
2.1. 국가기술혁신시스템의 개념 = 10
2.1.1. 국가기술혁신시스템에 대한 정의 = 10
2.1.2. 국가기술혁신시스템의 구조 = 12
2.2. 국가기술혁신지표의 원리 = 14
2.2.1. 지표(指標, indicator)에 대한 개요 = 14
2.2.2. 국가기술혁신지표의 개념 및 중요성 = 20
2.3. 우리나라 국가기술혁신지표 운영 현황 및 니즈 분석 = 22
2.3.1. 우리나라 기술혁신지표 운영 현황 및 한계 = 22
2.3.2. 국가기술혁신지표 개발 니즈 분석 = 27
제3장 국내외 국가기술혁신지표 사례조사 = 29
3.1. 해외 선진사례 조사 = 29
3.1.1. 해외 선진사례 조사 개요 = 29
3.1.2. 미국, Science and Engineering Indicators = 33
3.1.3. 일본, Science & Technology Indicators = 39
3.1.4. 독일, Facts and Figures = 42
3.1.5. OECD, Science, Technology and industry Scoreboard 2003 = 43
3.1.6. OECD, Main Science and Technology Indicators(MSTI) = 46
3.1.7. EU, European Innovation Scoreboard = 47
3.1.8. EU, STI Key Figures = 52
3.1.9. IMD, 세계경쟁력연감 = 54
3.2. 국내 선행연구 현황조사 = 57
3.2.1. 국내 선행연구 조사개요 = 57
3.2.2. STEPI, 우리나라의 기술혁신활동 조사 = 58
3.2.3. KISTEP, 과학기술연구활동조사보고서 = 60
3.2.4. 중소기업청, 이노비즈기업 기술혁신능력 평가지표 = 63
3.2.5. KIET, 국가균형발전지표 개발연구 = 65
3.2.6. 과학기술정책연구원·경북대, Korean R&D Scoreboard = 67
3.2.7. KIET, 2004 혁신역량지수(Innovation Capacity Index, ICI) = 69
3.3. 국내기술혁신관련 조사 및 통계정보 현황 = 71
제4장 국가기술혁신지표 설계 = 86
4.1. 국가기술혁신지표 설계의 기본 구도 = 86
4.1.1. 국가기술혁신지표 설계의 기본 방향 = 86
4.1.2. 국가기술혁신지표 설계의 기본 틀 = 87
4.1.3. 국가기술혁신지표 체계 = 88
4.1.4. 국가기술혁신지표의 특징 = 91
4.2. 국가기술혁신지표 = 95
4.2.1. 혁신자원지표(Innovation Resource Indicators) = 95
4.2.2. 혁신활동지표(Innovation Activity Indicators) = 110
4.2.3. 혁신과정지표(Innovation Process Indicators) = 123
4.2.4. 혁신성과지표(Innovation Performance Indicators) = 136
4.2.5. 혁신환경지표(Innovation Environment Indicators) = 141
4.3. 국가기술혁신지표의 운영체계 = 152
4.3.1. NIS 지표팀(가칭)의 구성 = 152
4.3.2. NIS 지표팀(가칭)의 역할 = 152
4.3.3. 국가기술혁신지표별 통계자료 확보체계 = 153
4.4. NIS 30대 중점과제와 국가기술혁신지표의 연계 = 158
4.4.1. 배경 및 목적 = 158
4.4.2. NIS 구축을 위한 30대 중점과제 현황 = 159
4.4.3. 30대 중점과제와 국가기술혁신지표의 연계 = 160
제5장 정책과제 도출 = 168
5.1. 정책과제 도출 프레임워크 = 168
5.2. 주요 정책과제 = 169
정책과제 1 = 169
정책과제 2 = 172
정책과제 3 = 174
정책과제 4 = 176
참고문헌 = 179
부록 = 1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