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50namccc200265 k 4500 | |
001 | 000045144888 | |
005 | 20100806092045 | |
007 | ta | |
008 | 050111s2004 ulka 001a kor | |
020 | ▼a 8957870083 ▼g 93800: ▼c \20,00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801.9 ▼2 21 |
090 | ▼a 801.9 ▼b 2004a | |
100 | 1 | ▼a Todorov, Tzvetan |
245 | 1 0 | ▼a 담론의 장르 / ▼d 츠베탕 토도로프 지음 ; ▼e 송덕호 ; ▼e 조명원 [공]옮김. |
246 | 1 9 | ▼a (Les)genres du discours |
260 | ▼a 서울 : ▼b 예림기획 , ▼c 2004. | |
300 | ▼a 479 p. : ▼b 삽도 ; ▼c 23 cm. | |
440 | 0 0 | ▼a 예림문예과학총서 ; ▼v 41 |
504 | ▼a 참고문헌(p.473)과 색인수록 | |
700 | 1 | ▼a 송덕호 |
700 | 1 | ▼a 조명원 |
900 | 1 1 | ▼a 토도로프, 츠베탕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9 2004a | Accession No. 151170060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 Call Number 801.9 2004a | Accession No. 15117006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츠베탕 토도로프(지은이)
불가리아 태생의 프랑스 역사학자, 철학자, 사회학자, 문학 평론가이다. 소피아 대학교에서 철학을 공부한 후 프랑스로 건너가 롤랑 바르트의 영향으로 구조주의 문학 평론을 시작했다. 이후 문학과 언어학뿐 아니라 철학, 역사학, 사상사 등 인문학의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와 저술 활동을 왕성히 펼치며 세계적 지성으로 평가받았다. 휴머니즘에 뿌리를 두고 식민주의와 나치의 홀로코스트 문제를 연구하며 서구의 제국주의적 역사 인식을 비판했다. 프랑스 국립과학연구소(CNRS) 연구원장으로 재직했고,『환상문학 입문』(1970),『개인 예찬. 르네상스 플랑드르 회화론』(1970),『계몽주의 정신』(2000) 등 30여 권의 책을 썼다. 2017년 2월 타계했다.
송덕호(옮긴이)
전북대학교 불어불문학과 및 동 대학원 졸업. 프랑스국립 Nancy II 대학교 문학박사. 전북대학교, 순천대학교, 숭실대학교, 추계예술대학교 시간강사를 거쳐 현재 전북대학교 인문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지은 책으로 <대중문학의 이해>, <추리소설이란 무엇인가>, <신문소설이란 무엇인가>, <대중문학이란 무엇인가?> 등이 있고, 역서로는 <담론의 장르>, <두 미소의 여인>, <황금 삼각형>, <꿀>, <이슬람 처녀 아제드의 밤>, <니노>, <어린 왕자>, <특별한 순간들> 등이 있다.
조명원(옮긴이)
전북대학교 불어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홍익대학교에서 불문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프랑스 파리 7 대학에서 박사과정을 수학했으며, 그르노블 대학에서 박사 후 연수를 수행했다. 전북대학교, 홍익대학교를 비롯한 대학에서 강의했다. 주 저서로 <여성의 삶을 중심으로 한 발자크 작품 연구>(박사학위논문), ≪색깔 있는 문화?영화, 만화, 애니메이션 그리고 젠더≫(공저), ≪살롱 카바레 카페≫(공저) 등이 있으며, 역서로 ≪담론의 장르≫(공역)가 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 서문 = 3 책머리에 = 15 제1장 문학의 개념 = 19 레싱의 시작법과 시학 = 40 장르의 기원 = 66 제2장 이야기의 두 가지 원칙 = 93 정신병의 담론 = 116 구축으로서의 독서 = 129 시(詩)의 주변 = 148 제3장 지하실의 수기 = 201 에드거 포우의 한계 = 242 암흑의 핵심 = 259 어려운 시절 = 277 랭보의 일뤼미나시옹 = 309 제4장 수수께끼 = 337 마술의 담론 = 373 재담 = 430 낱말 놀이 = 447 찾아보기 = 47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