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부 영어의 이해
Ⅰ. 한국어와 영어의 발음비교 = 3
1. 한국어에 없는 영어음소 = 3
2. 한국인이 어려움을 겪는 영어발음 = 5
3. 영어발음의 궁금증 = 14
Ⅱ. 영어의 음성현상 = 21
[1] 동화현상(Assimilation) = 21
[2] 음의 생략현상(Deletion) = 23
1. 비강세 음절(unstressed syllables)의 생략 = 23
2. 비강세 단어의 생략(문장초 위치에서) = 25
3. 자음군(consonant cluster)에서의 음의 생략 = 26
4. /nt/발음의 축약 = 27
[3] 연음현상(Linking) = 29
1. 자음과 모음의 연음현상 = 30
2. 자음과 자음 사이의 연음현상 = 30
3. 과거형 -ed의 연음현상 = 31
4. Of의 연음현상 = 32
[4] 설탄음(The Flap) = 34
[5] /h/sound의 연구 = 35
[6] 인칭대명사의 축약 = 36
1. 주격 인칭대명사의 발음 = 36
2. 목적격 인칭대명사의 발음 = 38
3. 소유격 인칭대명사의 발음 = 38
[7] 기능어(Function Words)에는 일반적으로 강세가 오지 않는다 = 39
Ⅲ. 영어 문법구조의 이해 = 40
Ⅳ. 속담을 통한 영어의 이해 = 60
1. 영어 속담과 한국어 속담 비교의 가치 = 60
2. 영어 속담과 한국어 속담의 비교 = 61
3. 영어 속담과 거의 동일한 펴현의 한국어 속담 = 68
4. 언어의 보편성 = 69
제2부 영어학의 이해
제1장 언어학의 이해 = 73
1.1 인간과 언어 = 73
1.2 언어의 정의 = 75
1.3 언어학이론의 변천과정 = 77
1.3.1 전통문법이론 = 78
1.3.2 20세기의 전통 언어학과 구조주의 언어학 = 80
1.3.3 변형생성문법이론 = 81
제2장 음성학의 소개 = 83
2.1 의사소통 = 84
2.1.1 인간의 생물학적 특수성 = 84
2.1.2 소리 = 85
2.1.3 글 = 85
2.1.4 잉여자질 = 86
2.2 음성학과 다른 학문의 관계 = 86
2.2.1 음성학과 언어학 = 86
2.2.2 음성학과 음운론 = 88
2.2.3 음성학과 의학 = 88
2.2.4 음성학과 발음교육 = 89
2.2.5 음성학과 공학 = 89
제3장 음성학의 기본개념 = 91
3.1 말소리의 전달과정 = 91
3.2 음성학의 분야 = 97
3.2.1 조음음성학 = 98
3.2.2 음향음성학 = 99
3.2.3 청각음성학 = 101
제4장 말소리 생성 = 103
4.1 말소리 생성의 개요 = 103
4.2 발성기관 = 105
4.2.1 인두와 비강 = 106
4.2.2 구강과 혀 = 107
제5장 음운분석의 기본단위 = 109
5.1 음소 = 109
5.1.1 음성적 실체로서의 음소 = 110
5.1.2 음운론적 실체로서의 음소 = 110
5.1.3 심리적 실체로서의 음소 = 111
5.2 최소대립쌍 = 112
5.3 변이음 = 114
5.3.1 상보적 분포 = 114
5.3.2 자유변이 = 115
5.4 변별적 자질 = 116
제6장 음성표기 = 118
6.1 표기법 = 118
6.1.1 정밀표기 = 118
6.2 음성체계 = 119
6.2.1 자음표기 = 120
6.2.2 모음표기 = 120
6.3 영어와 한국어 음운조직 비교 = 123
6.3.1 자음비교 = 124
6.3.2 모음비교 = 124
제7장 조음장소 및 방법 = 126
7.1 자음의 조음 = 126
7.1.1 조음장소 = 127
7.1.2 조음방법 = 130
7.2 모음의 조음 = 134
7.3 동시조음과 이차조음 = 136
제8장 자음 = 138
8.1 파열음 = 139
8.1.1 양순파열음 : /p/, /b/ = 141
8.1.2 치열파열음 : /t/, /d/ = 142
8.1.3 연구개파열음 : /k/, /g/ = 144
8.1.4 성문파열음 : /○/ = 145
8.2 마찰음 = 146
8.2.1 순치마찰음 : /f/와/v/ = 147
8.2.2 치마찰음 : / θ /, // = 148
8.2.3 치경마찰음 : /s/, /z/ = 149
8.2.4 경구개치경마찰음 : / ∫ /, /○/ = 150
8.2.5 성문마찰음 : /h/ = 150
8.3 파찰음 = 151
8.3.1 무성경구개치경파찰음 : /t ∫ / = 151
8.3.2 유성경구개치경파찰음 : /○/ = 151
8.4 전이음 : /w/, /r/, /j/ = 152
8.4.1 양순전이음 : /w/ = 152
8.4.2 치경전이음 : /r/ = 153
8.4.3 경구개치경전이음 : /j/ = 153
8.5 설측음 = 154
8.6 비음 = 155
8.6.1 양순비음 : /m/ = 155
8.6.2 치경비음 : /n/ = 156
8.6.3 연구개비음 : /○/ = 156
8.7 자음의 변별적 자질 = 156
8.7.1 집합체로서의 자질 = 157
8.7.2 주요 부류의 자질 = 158
8.7.3 조음장소의 자질 = 158
8.7.4 조음방법의 자질 = 159
제9장 모음 = 161
9.1 모음의 기술 = 161
9.1.1 혀와 입술의 위치 = 162
9.1.2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 162
9.1.3 모음의 길이 = 163
9.2 전설모음 = 164
9.2.1 전설고긴장모음 : /i/ = 164
9.2.2 전설고이완모음 : /I/ = 165
9.2.3 전설고긴장모음 : /e/ = 165
9.2.4 전설고이완모음 : / ? / = 166
9.2.5 전설고이완모음 : / æ / = 166
9.3 중설모음 = 167
9.3.1 중설긴장모음 : /○/, /○/ = 167
9.3.2 중설이완모음 : / \e / = 168
9.3.3 중설모음 : / \e / = 168
9.3.4 중설모음 : / Λ / = 168
9.3.5 중설저이완모음 : /a/ = 169
9.4 후설모음 = 169
9.4.1 후설고긴장모음 : /u/ = 169
9.4.2 후설고이완모음 : / υ / = 170
9.4.3 후설중모음 : /o/ = 170
9.4.4 후설저긴장모음 : /○/ = 171
9.4.5 후설저모음 : /○/ = 171
9.4.6 후설저모음 : /○/ = 171
9.5 모음의 변별적 자질 = 172
9.5.1 모음의 자질 = 172
9.6 이중모음 = 173
9.6.1 이중모음의 특징 = 173
9.6.2 후향이중모음 = 174
9.6.3 중향이중모음 = 175
제10장 음운변화과정 = 176
10.1 동화 = 176
10.1.1 동화방향에 의한 분류 = 177
10.1.2 조음방법에 의한 분류 = 179
10.2 이화 = 182
10.3 융합 = 183
10.4 생략 = 185
10.4.1 자음생략 = 185
10.4.2 모음생략 = 187
10.4.3 위치에 따른 생략 = 188
10.5 삽입 = 189
10.6 음위전환 = 192
10.7 유사음 탈락 = 193
제11장 음절 = 194
11.1 음절의 특징 = 194
11.2 음절의 유형 = 197
11.2.1 개방음절과 폐쇄음절 = 198
11.3 분절법 = 199
11.3.1 음성적 분절 = 199
11.3.2 철자상의 분절 = 200
11.4 자음군의 발음 = 202
11.4.1 3개의 자음군 = 202
11.4.2 4개의 자음군 = 203
11.4.3 자음군의 감소 = 204
제12장 리듬 = 206
12.1 구절 단위의 리듬 = 207
12.1.1 강세의 반복성 = 208
12.2 문장강세 = 209
12.2.1 강세를 받는 내용어 = 210
12.2.2 강세를 받지 않는 기능어 = 210
12.3 단음절어의 발음 = 214
12.4 영어 강세 = 216
12.4.1 강세와 액센트 = 216
12.4.2 강세의 표기 = 217
12.4.3 파생어의 강세 = 217
12.4.4 복합어의 강세 = 219
12.4.5 생성론적 강세 규칙 = 221
12.5 의사단락 = 229
12.5.1 연결단위 = 229
12.5.2 휴지의 위치 = 230
12.6 연접 = 232
12.6.1 내개연접 = 232
12.6.2 말미연접 = 233
12.6.3 내개연접과 말미연접 비교 = 234
제13장 형태론 = 236
13.1 형태론의 정의 = 236
13.1.1 단어와 형태소 = 236
13.2 영어의 조어법 = 237
13.3 합성어와 구 = 240
13.4 파생과 굴절 = 242
13.5 합성 = 244
13.5.1 합성 명사 = 244
13.5.2 합성형용사와 합성동사 = 245
13.6 파생 = 246
13.6.1 접두사와 접미사 = 246
13.6.2 명사형성 접미사 = 247
13.6.3 형용사형성 접미사 = 249
13.6.4 부사와 동사형성 접미사 = 250
제14장 통사론 = 252
14.1 전통문법의 연구방법 = 252
14.2 구조언어학(Structural Linguistics)의 연구방법 = 253
14.3 변형생성문법의 연구방법 = 255
14.3.1 언어수행과 언어능력 = 256
14.3.2 언어능력의 모형 = 257
14.4 구절구조 규칙 = 258
제15장 영어의 역사 = 266
15.1 영어사를 공부하는 이유 = 267
15.2 현대영어의 일반적 특징 = 268
15.3 언어의 계통 = 269
15.3.1 동족어 = 269
15.3.2 원시인구어 = 270
15.3.3 원시인구어의 고향 = 272
15.4 게르만어 = 272
15.4.1 그림의 법칙(Grimm's Law) = 274
15.4.2 제2게르만어 자음추이 = 276
15.5 고대영어 = 278
15.5.1 앵글로-색슨족의 역사 = 279
15.5.2 고대영어의 발음 = 281
15.5.3 바이킹족의 침입 = 284
15.6 중세영어 = 286
15.6.1 노르만 정복 = 286
15.6.2 음운과 철자의 변화 = 288
15.7 현대영어 = 289
15.7.1 대모음추이 = 289
15.8 영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어휘차이 비교 = 291
15.8.1 철자의 차이 = 291
15.8.2 어휘의 차이 = 296
참고문헌 = 301
찾아보기(영문) = 303
찾아보기(국문) = 3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