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영어학의 이해

영어학의 이해 (Loan 4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박희석 구회산
Title Statement
영어학의 이해 / 박희석 ; 구회산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京文社 ,   2002.  
Physical Medium
310 p. : 삽도 ; 25 cm.
ISBN
8972825573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국문, 영문) : p. 301-310
000 00647namccc200229 k 4500
001 000045144585
005 20100806091416
007 ta
008 050110s2002 ulka 00a kor
020 ▼a 8972825573 ▼g 93410: ▼c ₩15000
035 ▼a KRIC08434000
040 ▼a 211017 ▼c 211017 ▼d 211009
049 1 ▼l 111232118 ▼f 개가 ▼l 111232119 ▼f 개가
082 0 4 ▼a 420 ▼2 21
090 ▼a 420 ▼b 2002a
100 1 ▼a 박희석 ▼0 AUTH(211009)112001
245 1 0 ▼a 영어학의 이해 / ▼d 박희석 ; ▼e 구회산 [공저].
260 ▼a 서울 : ▼b 京文社 , ▼c 2002.
300 ▼a 310 p. : ▼b 삽도 ; ▼c 25 cm.
504 ▼a 참고문헌 및 찾아보기(국문, 영문) : p. 301-310
700 1 ▼a 구회산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0 2002a Accession No. 111232118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420 2002a Accession No. 111232119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희석(지은이)

현재 남서울대학교 영어과 교수로 재직 중이며, 암기가 아닌 원리의 이해를 통한 영어 교육에 관심이 많아 이를 위한 다양한 연구와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꼼꼼 영문법》《영어학 입문》《Grammar Master》《네이티브 엉어발음 3단계 트레이닝》등의 책을 썼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제1부 영어의 이해
  Ⅰ. 한국어와 영어의 발음비교 = 3
    1. 한국어에 없는 영어음소 = 3
    2. 한국인이 어려움을 겪는 영어발음 = 5
    3. 영어발음의 궁금증 = 14
  Ⅱ. 영어의 음성현상 = 21
    [1] 동화현상(Assimilation) = 21
    [2] 음의 생략현상(Deletion) = 23
      1. 비강세 음절(unstressed syllables)의 생략 = 23
      2. 비강세 단어의 생략(문장초 위치에서) = 25
      3. 자음군(consonant cluster)에서의 음의 생략 = 26
      4. /nt/발음의 축약 = 27
    [3] 연음현상(Linking) = 29
      1. 자음과 모음의 연음현상 = 30
      2. 자음과 자음 사이의 연음현상 = 30
      3. 과거형 -ed의 연음현상 = 31
      4. Of의 연음현상 = 32
    [4] 설탄음(The Flap) = 34
    [5] /h/sound의 연구 = 35
    [6] 인칭대명사의 축약 = 36
      1. 주격 인칭대명사의 발음 = 36
      2. 목적격 인칭대명사의 발음 = 38
      3. 소유격 인칭대명사의 발음 = 38
    [7] 기능어(Function Words)에는 일반적으로 강세가 오지 않는다 = 39
  Ⅲ. 영어 문법구조의 이해 = 40
  Ⅳ. 속담을 통한 영어의 이해 = 60
    1. 영어 속담과 한국어 속담 비교의 가치 = 60
    2. 영어 속담과 한국어 속담의 비교 = 61
    3. 영어 속담과 거의 동일한 펴현의 한국어 속담 = 68
    4. 언어의 보편성 = 69
제2부 영어학의 이해
  제1장 언어학의 이해 = 73
    1.1 인간과 언어 = 73
    1.2 언어의 정의 = 75
    1.3 언어학이론의 변천과정 = 77
      1.3.1 전통문법이론 = 78
      1.3.2 20세기의 전통 언어학과 구조주의 언어학 = 80
      1.3.3 변형생성문법이론 = 81
  제2장 음성학의 소개 = 83
    2.1 의사소통 = 84
      2.1.1 인간의 생물학적 특수성 = 84
      2.1.2 소리 = 85
      2.1.3 글 = 85
      2.1.4 잉여자질 = 86
    2.2 음성학과 다른 학문의 관계 = 86
      2.2.1 음성학과 언어학 = 86
      2.2.2 음성학과 음운론 = 88
      2.2.3 음성학과 의학 = 88
      2.2.4 음성학과 발음교육 = 89
      2.2.5 음성학과 공학 = 89
  제3장 음성학의 기본개념 = 91
    3.1 말소리의 전달과정 = 91
    3.2 음성학의 분야 = 97
      3.2.1 조음음성학 = 98
      3.2.2 음향음성학 = 99
      3.2.3 청각음성학 = 101
  제4장 말소리 생성 = 103
    4.1 말소리 생성의 개요 = 103
    4.2 발성기관 = 105
      4.2.1 인두와 비강 = 106
      4.2.2 구강과 혀 = 107
  제5장 음운분석의 기본단위 = 109
    5.1 음소 = 109
      5.1.1 음성적 실체로서의 음소 = 110
      5.1.2 음운론적 실체로서의 음소 = 110
      5.1.3 심리적 실체로서의 음소 = 111
    5.2 최소대립쌍 = 112
    5.3 변이음 = 114
      5.3.1 상보적 분포 = 114
      5.3.2 자유변이 = 115
    5.4 변별적 자질 = 116
  제6장 음성표기 = 118
    6.1 표기법 = 118
      6.1.1 정밀표기 = 118
    6.2 음성체계 = 119
      6.2.1 자음표기 = 120
      6.2.2 모음표기 = 120
    6.3 영어와 한국어 음운조직 비교 = 123
      6.3.1 자음비교 = 124
      6.3.2 모음비교 = 124
  제7장 조음장소 및 방법 = 126
    7.1 자음의 조음 = 126
      7.1.1 조음장소 = 127
      7.1.2 조음방법 = 130
    7.2 모음의 조음 = 134
    7.3 동시조음과 이차조음 = 136
  제8장 자음 = 138
    8.1 파열음 = 139
      8.1.1 양순파열음 : /p/, /b/ = 141
      8.1.2 치열파열음 : /t/, /d/ = 142
      8.1.3 연구개파열음 : /k/, /g/ = 144
      8.1.4 성문파열음 : /○/ = 145
    8.2 마찰음 = 146
      8.2.1 순치마찰음 : /f/와/v/ = 147
      8.2.2 치마찰음 : / θ /, // = 148
      8.2.3 치경마찰음 : /s/, /z/ = 149
      8.2.4 경구개치경마찰음 : / ∫ /, /○/ = 150
      8.2.5 성문마찰음 : /h/ = 150
    8.3 파찰음 = 151
      8.3.1 무성경구개치경파찰음 : /t ∫ / = 151
      8.3.2 유성경구개치경파찰음 : /○/ = 151
    8.4 전이음 : /w/, /r/, /j/ = 152
      8.4.1 양순전이음 : /w/ = 152
      8.4.2 치경전이음 : /r/ = 153
      8.4.3 경구개치경전이음 : /j/ = 153
    8.5 설측음 = 154
    8.6 비음 = 155
      8.6.1 양순비음 : /m/ = 155
      8.6.2 치경비음 : /n/ = 156
      8.6.3 연구개비음 : /○/ = 156
    8.7 자음의 변별적 자질 = 156
      8.7.1 집합체로서의 자질 = 157
      8.7.2 주요 부류의 자질 = 158
      8.7.3 조음장소의 자질 = 158
      8.7.4 조음방법의 자질 = 159
  제9장 모음 = 161
    9.1 모음의 기술 = 161
      9.1.1 혀와 입술의 위치 = 162
      9.1.2 긴장모음과 이완모음 = 162
      9.1.3 모음의 길이 = 163
    9.2 전설모음 = 164
      9.2.1 전설고긴장모음 : /i/ = 164
      9.2.2 전설고이완모음 : /I/ = 165
      9.2.3 전설고긴장모음 : /e/ = 165
      9.2.4 전설고이완모음 : / ? / = 166
      9.2.5 전설고이완모음 : / æ / = 166
    9.3 중설모음 = 167
      9.3.1 중설긴장모음 : /○/, /○/ = 167
      9.3.2 중설이완모음 : / \e / = 168
      9.3.3 중설모음 : / \e / = 168
      9.3.4 중설모음 : / Λ / = 168
      9.3.5 중설저이완모음 : /a/ = 169
    9.4 후설모음 = 169
      9.4.1 후설고긴장모음 : /u/ = 169
      9.4.2 후설고이완모음 : / υ / = 170
      9.4.3 후설중모음 : /o/ = 170
      9.4.4 후설저긴장모음 : /○/ = 171
      9.4.5 후설저모음 : /○/ = 171
      9.4.6 후설저모음 : /○/ = 171
    9.5 모음의 변별적 자질 = 172
      9.5.1 모음의 자질 = 172
    9.6 이중모음 = 173
      9.6.1 이중모음의 특징 = 173
      9.6.2 후향이중모음 = 174
      9.6.3 중향이중모음 = 175
  제10장 음운변화과정 = 176
    10.1 동화 = 176
      10.1.1 동화방향에 의한 분류 = 177
      10.1.2 조음방법에 의한 분류 = 179
    10.2 이화 = 182
    10.3 융합 = 183
    10.4 생략 = 185
      10.4.1 자음생략 = 185
      10.4.2 모음생략 = 187
      10.4.3 위치에 따른 생략 = 188
    10.5 삽입 = 189
    10.6 음위전환 = 192
    10.7 유사음 탈락 = 193
  제11장 음절 = 194
    11.1 음절의 특징 = 194
    11.2 음절의 유형 = 197
      11.2.1 개방음절과 폐쇄음절 = 198
    11.3 분절법 = 199
      11.3.1 음성적 분절 = 199
      11.3.2 철자상의 분절 = 200
    11.4 자음군의 발음 = 202
      11.4.1 3개의 자음군 = 202
      11.4.2 4개의 자음군 = 203
      11.4.3 자음군의 감소 = 204
  제12장 리듬 = 206
    12.1 구절 단위의 리듬 = 207
      12.1.1 강세의 반복성 = 208
    12.2 문장강세 = 209
      12.2.1 강세를 받는 내용어 = 210
      12.2.2 강세를 받지 않는 기능어 = 210
    12.3 단음절어의 발음 = 214
    12.4 영어 강세 = 216
      12.4.1 강세와 액센트 = 216
      12.4.2 강세의 표기 = 217
      12.4.3 파생어의 강세 = 217
      12.4.4 복합어의 강세 = 219
      12.4.5 생성론적 강세 규칙 = 221
    12.5 의사단락 = 229
      12.5.1 연결단위 = 229
      12.5.2 휴지의 위치 = 230
    12.6 연접 = 232
      12.6.1 내개연접 = 232
      12.6.2 말미연접 = 233
      12.6.3 내개연접과 말미연접 비교 = 234
  제13장 형태론 = 236
    13.1 형태론의 정의 = 236
      13.1.1 단어와 형태소 = 236
    13.2 영어의 조어법 = 237
    13.3 합성어와 구 = 240
    13.4 파생과 굴절 = 242
    13.5 합성 = 244
      13.5.1 합성 명사 = 244
      13.5.2 합성형용사와 합성동사 = 245
    13.6 파생 = 246
      13.6.1 접두사와 접미사 = 246
      13.6.2 명사형성 접미사 = 247
      13.6.3 형용사형성 접미사 = 249
      13.6.4 부사와 동사형성 접미사 = 250
  제14장 통사론 = 252
    14.1 전통문법의 연구방법 = 252
    14.2 구조언어학(Structural Linguistics)의 연구방법 = 253
    14.3 변형생성문법의 연구방법 = 255
      14.3.1 언어수행과 언어능력 = 256
      14.3.2 언어능력의 모형 = 257
    14.4 구절구조 규칙 = 258
  제15장 영어의 역사 = 266
    15.1 영어사를 공부하는 이유 = 267
    15.2 현대영어의 일반적 특징 = 268
    15.3 언어의 계통 = 269
      15.3.1 동족어 = 269
      15.3.2 원시인구어 = 270
      15.3.3 원시인구어의 고향 = 272
    15.4 게르만어 = 272
      15.4.1 그림의 법칙(Grimm's Law) = 274
      15.4.2 제2게르만어 자음추이 = 276
    15.5 고대영어 = 278
      15.5.1 앵글로-색슨족의 역사 = 279
      15.5.2 고대영어의 발음 = 281
      15.5.3 바이킹족의 침입 = 284
    15.6 중세영어 = 286
      15.6.1 노르만 정복 = 286
      15.6.2 음운과 철자의 변화 = 288
    15.7 현대영어 = 289
      15.7.1 대모음추이 = 289
    15.8 영국영어와 미국영어의 어휘차이 비교 = 291
      15.8.1 철자의 차이 = 291
      15.8.2 어휘의 차이 = 296
참고문헌 = 301
찾아보기(영문) = 303
찾아보기(국문) = 307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