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589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144382 | |
005 | 20100806091011 | |
007 | ta | |
008 | 041027s2004 ulk 001a kor | |
020 | ▼a 8974351978 ▼g 93230: ▼c \30000 | |
035 | ▼a KRIC09473991 | |
040 | ▼d 211009 | |
082 | 0 4 | ▼a 270 ▼2 22 |
090 | ▼a 270 ▼b 2004d | |
100 | 1 | ▼a 김영재. ▼0 AUTH(211009)138202 |
245 | 1 0 | ▼a 기독교 교회사 = ▼x History of the church / ▼d 김영재 저. |
250 | ▼a 개정증보판. | |
260 | ▼a 서울 : ▼b 이레서원 , ▼c 2004. | |
300 | ▼a 761 p. ; ▼c 24 cm. | |
504 | ▼a 참고문헌 (p. 729-739) 및 색인 (p. 741-761) 수록.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270 2004d | 등록번호 11130716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김영재(지은이)
경상남도 마산에서 태어나 일제시대에 이북으로 이주하여 잠깐 동안 살았고 해방 직전에 다시 마산으로 돌아와서 고등학교까지 마쳤다. 서울대 종교학과를 졸업하고 영국의 클리프톤 신학교와 독일 부퍼탈 신학교에서 공부했으며, 총회신학교에서 편목 과정을 이수한 다음 독일로 건너가 마르부르크 필립 대학교에서 첼러교수의 지도로 한국 개신교와 칼빈주의 전통이라는 빼어난 논문으로 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포이딩겐 독일인 교회, 미국 미네소타와 애틀랜타의 한인교회에서 목회를 하였고, 부산 고려신학교와 총신대 신학대학원, 합동신학대학원 교수를 지냈다. 은퇴 후 지금은 용인시의 한적한 어느 시골 마을에 은거하며 저술 활동을 하고 있다. 통시적으로는 교회사를 공부하고, 공간적으로는 한국과 유럽과 미국의 교회를 두루 경험한 저자는 균형 잡힌 시각으로 한국 교회를 바라보고 진단한다. 그러면서도 교회에 대한 자세에 대해서는 내가 그 지체임을 알게 되었기 때문에 비판하는 것이 아니라 반성할 뿐이라고 생각한다고 술회한다. 저서로는 박사학위 논문인 Der Protestantismus in Korea und die Calvinistische Tradition와 《교회와 신앙고백》, 《한국 교회사》, 《한국 기독교의 재인식》, 《교회와 예배》, 《기독교 교회사》, 《믿음 그리고 행함》, 《기독교 교리사》, 《그리스도인의 매뉴얼》, 《박윤선》, 《되돌아보는 한국 기독교》, 《기독교 신앙고백》 등이 있고, 역서로는 《이성에서의 도피》, 《칼빈의 교회관》, 《요한 세바스챤 바흐》 등이 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5 개정 증보판에 부치는 말 = 7 서론 1 교회사의 역사와 교회사 이해 = 17 2 교회사 서술 및 외국어 표기 방법 = 35 초대 교회사 1 기독교의 시작과 역사적 배경 = 41 2 그리스도 교회의 형성과 시대적 배경 = 49 3 구약과 신약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 55 4 초기 기독교의 확장 = 58 5 기독교와 로마 제국 = 62 6 초대교회와 선교 = 69 7 초기의 교회 조직 = 75 8 초대교회 형성기의 사상적 배경 = 80 9 기독교 교리와 그 발전의 특이성 = 85 10 속사도 교부들과 그들의 신학 = 87 11 신약 성경의 정경화 = 94 12 기독교 초기의 이단 사상과 분파 운동 = 97 13 변증가들과 그들의 신학 = 102 14 2세기의 이단 운동과 분파 운동 = 108 15 3세기의 신학자들과 삼위일체 교리의 형성 = 113 16 니케아 신조와 아리우스파 논쟁 = 131 17 4세기의 성령 교리 = 139 18 초대교회의 예배와 생활 = 146 19 초기 기독교의 수도원 운동 = 156 20 도나투스파의 분파 운동 = 163 21 서로마 제국의 쇠망 = 166 22 교황권의 부상 = 171 23 4세기 서방 교회의 교부들과 신학 = 174 24 펠라기우스파 논쟁과 어거스틴의 은혜의 교회 = 183 25 4∼5세기 동방 교회의 상황 = 187 26 기독론 논쟁과 칼케돈 신조 = 189 27 4∼5세기의 교회와 사회 생활 = 197 중세 교회사 1 중세 교회사의 의미 = 205 2 게르만 족의 이동과 왕국 건설 = 210 3 유스티니안 1세와 비잔틴 제국 = 214 4 이슬람의 팽창과 기독교가 입은 타격 = 218 5 게르만의 선교 = 222 6 켈트족의 선교 = 235 7 슬라브 족의 선교와 북유럽과 동유럽의 선교 = 238 8 중세 초기의 교회 조직 = 243 9 중세의 수도원과 그 제도 = 248 10 동방 교회와 성상 숭배 문제 = 253 11 교황권의 확립과 신장 = 257 12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의 분열 = 273 13 11∼12세기의 개혁 운동 = 278 14 십자군 운동 = 285 15 수도원의 쇄신 운동 = 291 16 13세기의 경건 생활 = 297 17 화체설의 교의화 = 300 18 중세 교회의 사회 봉사 = 304 19 중세의 교육과 대학의 생성 = 306 20 중세 스콜라 신학 = 310 21 중세 독일의 신비주의 = 332 22 디보시오 모데르나 = 339 23 교황권의 쇠퇴와 교황 교회의 정황 = 343 24 서방 교회의 분열과 교황권의 실추 = 351 25 교회 일치 운동과 동방 교회 = 354 26 중세의 종파 운동과 종교 재판 = 358 27 종교 개혁의 선구자 위클리프와 후스 = 363 28 르네상스와 휴머니즘 = 368 종교 개혁사 1 종교 개혁과 시대적 배경 = 381 2 루터의 생애와 종교 개혁 운동의 시작 = 389 3 독일의 종교 개혁 = 393 4 종교 개혁 운동의 내분과 농민 전쟁 = 401 5 종교 개혁과 독일 교회의 지역 분할 = 403 6 루터의 종교 개혁의 내용 = 409 7 쯔빙글리의 종교 개혁 = 412 8 쯔빙글리의 신학과 사상 = 415 9 칼빈의 종교 개혁 = 417 10 루터와 칼빈의 신학 = 428 11 종교 개혁과 급진파 운동 = 451 12 종교 개혁의 확산 = 457 13 네덜란드의 종교 개혁 = 459 14 프랑스의 종교 개혁 = 463 15 스코틀랜드의 종교 개혁 = 468 16 잉글랜드의 종교 개혁 = 471 17 뉴잉글랜드의 청교도들 = 486 18 스칸디나비아와 동유럽의 종교 개혁 = 493 19 가톨릭의 반종교 개혁 운동 = 495 20 독일 내의 반종교 개혁 운동과 30년 전쟁 = 503 21 독일 루터교의 내분과 콘코르디아 운동 = 507 22 정통주의 시대의 루터교 = 511 23 독일 개혁교회 = 514 24 네덜란드 개혁교회와 정통주의 = 518 25 종교 개혁 이후의 교회와 신자들의 생활 = 522 근세 교회사 1 근세 교회사의 의미 = 537 2 유럽의 국가와 교회 = 541 3 계몽사조의 발생과 특징 = 548 4 경건주의 = 564 5 17∼18세기의 가톨릭 교회 = 581 6 독일 계몽주의 신학 = 585 7 영국 교회 = 591 8 계몽사조 이후의 독일 신학 = 601 9 19세기의 가톨릭 교회 = 619 10 미국의 기독교 = 623 11 기독교와 세계 선교 = 651 12 네덜란드와 신칼빈주의 = 664 13 20세기 신학 = 668 14 전체주의 국가 이데올로기와 교회의 수난 = 685 15 근본주의 및 복음주의 운동 = 689 16 기독교 사회 봉사 운동 = 692 17 20세기의 로마 가톨릭 교회 = 699 18 에큐메니칼 운동 = 702 19 오순절 운동 = 710 20 에큐메니칼 신학과 종교다원주의 = 714 21 교회의 사회 의식과 상황신학 = 720 22 그리스도 교회의 전망 = 726 참고문헌 = 729 찾아보기 = 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