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 머리에 = 3
제1부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적 기초
제1장 교육과정의 의미와 개발원리 = 13
1. 어원적 의미와 의미분석의 틀 = 15
2. 교육과정의 의미 = 18
3. 교육과정 개발 = 27
제2장 교육과정 개발의 역사ㆍ철학적 기초 = 39
1. 미국의 교육과정 발전 = 41
2. 한국의 교육과정 발전 = 51
3.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적 태도 = 67
제3장 교육과정 개발의 사회ㆍ심리적 기초 = 81
1. 사회문화적 변화와 교육의 상호관계 = 82
2. 지식의 본질과 범위 = 94
3. 학습자 발달과 교수ㆍ학습과정 = 106
제2부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제4장 교육과정 개발의 경영관리와 개발모형 = 121
1. 교육과정 개발매개와 변화 = 123
2. 교육과정 개발의 경영관리 = 134
3. 교육과정 개발모형 = 145
제5장 요구사정의 절차와 방법 = 161
1. 요구사정의 의미와 체제적 계획과정 = 162
2. 요구사정의 과정 = 170
3. 요구사정의 기술적 방법과 사용원칙 = 184
제6장 교육과정 목적과 목표의 설정 = 193
1. 목적과 목표의 의미와 예시 = 194
2. 목표 설정의 접근 유형 = 202
3. 행동적 목표 설정의 본질 = 214
제7장 교육과정 내용 선정과 조직 = 225
1. 교육과정 내용 선정의 기준 = 226
2. 교육과정 조직의 원리 = 232
3. 교육과정 조직의 유형 = 240
제8장 교수ㆍ학습의 의미와 수업전략 = 261
1. 교수ㆍ학습의 문제 = 263
2. 교수ㆍ학습의 본질적 의미 = 266
3. 수업전략과 교수ㆍ학습 성향 = 272
제3부 교육과정 평가
제9장 교육평가의 본질과 기본 유형 = 293
1. 교육평가의 의미와 접근방법 = 295
2. 규준참조평가와 준거참조평가 = 304
3. 진단평가ㆍ형성평가ㆍ총합평가 = 311
제10장 교육과정 평가의 논리적ㆍ기술적 접근 = 323
1. 목표지향적 평가모형 = 324
2. 가치판단지향적 평가모형 = 332
3. 의사결정지향적 평가모형 = 340
제11장 교육과정 평가의 현상학적ㆍ인본적 접근 = 345
1.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자성과 새로운 관심 = 346
2. 조감적 평가 = 353
3. 기타 질적 평가의 여러 가지 유형 = 359
제12장 교육측정ㆍ평가도구의 특성적 요건과 유형 = 367
1. 측정ㆍ평가도구의 특성적 요건 = 368
2. 측정ㆍ평가도구의 여러 가지 유형 = 376
3. 수행평가의 본질과 방법 = 392
제13장 수업장학의 절차와 교수ㆍ학습과정의 평가 = 403
1. 수업장학의 내용과 기본절차 = 405
2. 교수ㆍ학습과정의 평가와 분석 = 410
3. 효율적인 중재와 환류 상호작용 = 424
참고문헌 = 430
인명 색인 = 446
내용 색인 = 4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