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 (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성호
서명 / 저자사항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 = Curriculum Development & Evaluation / 이성호 지음.
발행사항
파주 :   양서원 ,   2004.  
형태사항
453 p. : 삽도 ; 26 cm.
ISBN
8970077480
서지주기
참고문헌(p.430-445)과 색인수록
000 00566namccc200193 k 4500
001 000045143792
005 20100806090537
007 ta
008 050105s2004 ggka 001a kor
020 ▼a 8970077480 ▼g 93370: ▼c \17,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82 0 4 ▼a 375.001 ▼2 21
090 ▼a 375.001 ▼b 2004
100 1 ▼a 이성호
245 1 0 ▼a 교육과정 개발과 평가 = ▼x Curriculum Development & Evaluation / ▼d 이성호 지음.
260 ▼a 파주 : ▼b 양서원 , ▼c 2004.
300 ▼a 453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p.430-445)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5.001 2004 등록번호 15117002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성호(지은이)

연세대학교와 미국 조지워싱턴 대학교 대학원(교육학박사)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30여 년 동안 교육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학생처장, 교육과학대학장, 일반대학원장, 부총장 등을 역임했다. 국방부 및 공군의 정책자문위원, 교육부 대학정책실장, 교육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대통령자문21세기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는『대학교육과정론』『Korean Higher Education』『Scientific Development & Higher Education』『교수방법론』『교육과정개발의 원리』등 학술서와 100만부가 넘게 판매된『지금 당신의 자녀가 흔들리고 있다』『어쩌다 우리 사이가 이렇게 됐지』등 교양서를 합쳐 모두 30여 권이 있으며, 국내외로 1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2000년에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홍조근정훈장을 받았으며, 1999년부터는 <세계인명사전 Who’s Who in the World>에, 2003년부터는 <미국인명사전 Who’s Who in America에 등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5년도에는 영국 국제인물전기센터로부터‘세계 100대 최고 교육학자’의 한 사람으로 선정되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 머리에 = 3
제1부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적 기초
 제1장 교육과정의 의미와 개발원리 = 13
  1. 어원적 의미와 의미분석의 틀 = 15
  2. 교육과정의 의미 = 18
  3. 교육과정 개발 = 27
 제2장 교육과정 개발의 역사ㆍ철학적 기초 = 39
  1. 미국의 교육과정 발전 = 41
  2. 한국의 교육과정 발전 = 51
  3.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적 태도 = 67
 제3장 교육과정 개발의 사회ㆍ심리적 기초 = 81
  1. 사회문화적 변화와 교육의 상호관계 = 82
  2. 지식의 본질과 범위 = 94
  3. 학습자 발달과 교수ㆍ학습과정 = 106
제2부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제4장 교육과정 개발의 경영관리와 개발모형 = 121
  1. 교육과정 개발매개와 변화 = 123
  2. 교육과정 개발의 경영관리 = 134
  3. 교육과정 개발모형 = 145
 제5장 요구사정의 절차와 방법 = 161
  1. 요구사정의 의미와 체제적 계획과정 = 162
  2. 요구사정의 과정 = 170
  3. 요구사정의 기술적 방법과 사용원칙 = 184
 제6장 교육과정 목적과 목표의 설정 = 193
  1. 목적과 목표의 의미와 예시 = 194
  2. 목표 설정의 접근 유형 = 202
  3. 행동적 목표 설정의 본질 = 214
 제7장 교육과정 내용 선정과 조직 = 225
  1. 교육과정 내용 선정의 기준 = 226
  2. 교육과정 조직의 원리 = 232
  3. 교육과정 조직의 유형 = 240
 제8장 교수ㆍ학습의 의미와 수업전략 = 261
  1. 교수ㆍ학습의 문제 = 263
  2. 교수ㆍ학습의 본질적 의미 = 266
  3. 수업전략과 교수ㆍ학습 성향 = 272
제3부 교육과정 평가
 제9장 교육평가의 본질과 기본 유형 = 293
  1. 교육평가의 의미와 접근방법 = 295
  2. 규준참조평가와 준거참조평가 = 304
  3. 진단평가ㆍ형성평가ㆍ총합평가 = 311
 제10장 교육과정 평가의 논리적ㆍ기술적 접근 = 323
  1. 목표지향적 평가모형 = 324
  2. 가치판단지향적 평가모형 = 332
  3. 의사결정지향적 평가모형 = 340
 제11장 교육과정 평가의 현상학적ㆍ인본적 접근 = 345
  1. 교육과정 평가에 대한 자성과 새로운 관심 = 346
  2. 조감적 평가 = 353
  3. 기타 질적 평가의 여러 가지 유형 = 359
 제12장 교육측정ㆍ평가도구의 특성적 요건과 유형 = 367
  1. 측정ㆍ평가도구의 특성적 요건 = 368
  2. 측정ㆍ평가도구의 여러 가지 유형 = 376
  3. 수행평가의 본질과 방법 = 392
 제13장 수업장학의 절차와 교수ㆍ학습과정의 평가 = 403
  1. 수업장학의 내용과 기본절차 = 405
  2. 교수ㆍ학습과정의 평가와 분석 = 410
  3. 효율적인 중재와 환류 상호작용 = 424
참고문헌 = 430
인명 색인 = 446
내용 색인 = 449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