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17namccc200205 k 4500 | |
001 | 000045143790 | |
005 | 20100806090535 | |
007 | ta | |
008 | 050105s2004 ulka 001a kor | |
020 | ▼a 8958910399 ▼g 93370: ▼c \18,00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82 | 0 4 | ▼a 375.001 ▼2 21 |
090 | ▼a 375.001 ▼b 2004a | |
100 | 1 | ▼a 이성호 |
245 | 1 0 | ▼a 교육과정 개발의 원리 = ▼x Curriculum Development : Theory into Practice / ▼d 이성호 저. |
260 | ▼a 서울 : ▼b 학지사 , ▼c 2004. | |
300 | ▼a 507 p. : ▼b 삽도 ; ▼c 25 cm. | |
500 | ▼a 부록:집단의사결정 연습 | |
504 | ▼a 참고문헌(p.[485]-501)과 색인수록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5.001 2004a | Accession No. 151170026 | Availability Missing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 Call Number 375.001 2004a | Accession No. 15117002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이성호(지은이)
연세대학교와 미국 조지워싱턴 대학교 대학원(교육학박사)을 졸업하고, 연세대학교에서 30여 년 동안 교육학 교수로 재직하고 있으며, 학생처장, 교육과학대학장, 일반대학원장, 부총장 등을 역임했다. 국방부 및 공군의 정책자문위원, 교육부 대학정책실장, 교육정책자문위원회 위원장, 대통령자문21세기위원회 위원 등을 지냈다. 주요 저서로는『대학교육과정론』『Korean Higher Education』『Scientific Development & Higher Education』『교수방법론』『교육과정개발의 원리』등 학술서와 100만부가 넘게 판매된『지금 당신의 자녀가 흔들리고 있다』『어쩌다 우리 사이가 이렇게 됐지』등 교양서를 합쳐 모두 30여 권이 있으며, 국내외로 15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2000년에 대한민국 정부로부터 홍조근정훈장을 받았으며, 1999년부터는 <세계인명사전 Who’s Who in the World>에, 2003년부터는 <미국인명사전 Who’s Who in America에 등재되기 시작하였으며, 2005년도에는 영국 국제인물전기센터로부터‘세계 100대 최고 교육학자’의 한 사람으로 선정되었다.

Table of Contents
목차 제Ⅰ부 교육과정 개발의 이론적 기초 = 11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 = 13 1. 교수-학습 내용으로서의 교육과정 = 15 2. 편성과 운영체제로서의 교육과정 = 20 3. 잠재적 교육과정 = 26 4.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와 원리 = 34 제2장 교육과정의 역사적 발전 = 41 1. 20세기 이전의 교육과정 발전 = 42 2. 탐색과 실험 시기의 교육과정 발전 = 49 3. 회복과 각성 시기의 교육과정 발전 = 55 4. 개혁과 발전 시기의 교육과정 발전 = 62 제3장 교육과정에 대한 철학적 태도 = 89 1. 철학적 태도 탐색의 목적 = 90 2. 철학적 태도의 성향 = 94 3. 철학적 사조의 유형 = 102 제4장 교육과정과 지식·문화·가치 = 115 1. 지식의 본질 = 116 2. 교과와 학문의 본질 = 124 3. 지식의 분류와 통합 = 129 4. 교육과정과 문화 = 140 5. 교육과정과 가치 = 143 제5장 사회변화와 교육과정 = 149 1. 영향세로서의 사회변화의 작용 = 150 2. 자료원으로서의 현대사회 변화의 양태 = 156 3. 일터에서 폐멸의 위협과 교육과정 현대화 = 164 제6장 교육과정의 심리적 기초 = 175 1. 학습자의 성장과 발달 = 177 2. 학습에 대한 과학적 사고 = 182 3. 학습과정에 대한 접근과 학습이론 = 190 4. 교수행위의 효율성 연구 = 194 제7장 교육과정 이론의 유형과 발전 = 205 1. 교육과정 이론의 성격과 유형화 = 206 2. 전통주의자의 교육과정 이론 = 218 3. 개념적 경험론자의 교육과정 이론 = 229 4. 재개념화론자의 교육과정 이론 = 233 5.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이론의 통합 = 243 제Ⅱ부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249 제8장 교육과정 개발의 지도성 = 251 1. 교육과정 개발 참여자와 지도자 = 252 2. 변화 촉매자로서의 지도성 = 259 3. 조직개발의 지도성 = 269 제9장 교육과정 개발의 경영관리 = 279 1. 목표관리 = 280 2. 대인관계와 상조관계 = 282 3. 갈등관리 = 289 4. 집단지도와 집단의사결정 = 294 제10장 요구사정의 절차와 방법 = 305 1. 요구사정의 의미와 체제적 계획과정 = 306 2. 요구사정의 과정 = 313 3. 요구사정의 모형 = 327 4. 요구사정의 기술적 방법과 사용원칙 = 332 제11장 교육과정 목적과 목표의 설정 = 341 1. 목적과 목표의 의미와 예시 = 342 2. 목표설정의 접근유형 = 349 3. 행동적 목표설정의 본질 = 360 제12장 교육과정 내용선정과 조직 = 371 1. 교육과정 내용선정의 기준 = 372 2. 교육과정 조직의 원리 = 377 3. 교육과정 조직의 유형 = 384 제13장 교육과정 시행 : 교수와 학습 = 403 1. 교수에 대한 비난과 전인적 교수행위 = 404 2. 교수-학습과정의 요소와 교수방법 = 414 3. 교수방법의 유형과 사고의 변화 = 434 제14장 교육과정 평가 = 439 1. 교육평가의 의미와 접근방법 = 440 2. 논리적·기술적 접근 모형 = 449 3. 현상학적·인본적 접근 모형 = 464 부록 = 482 참고문헌 = 485 찾아보기 = 5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