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사회심리학은 어떤 학문인가 = 17
사회심리학에서 무엇을 연구하는가 = 19
사회심리학의 정의 = 19
사회심리학의 설명이 다른 분야와 구별되는 특징 = 21
사회심리학에서 어떤 주제들을 자주 연구하는가 = 23
어떤 관점에서 사회심리 현상을 설명하는가 = 27
사회심리학과 상식 = 28
사회심리학의 이론적 접근 = 30
사회심리는 어떻게 연구하는가 = 34
연구의 시작:무엇이 문제인가 = 35
연구에 사용한 기법이 무엇인가 = 36
연구가 어디에서 이루어지는가 = 38
연구의 자료는 어떤 방법으로 얻는가 = 40
사회심리학 연구의 결과를 어떻게 공인받는가 = 41
연구에 따르는 윤리 문제는 어떻게 해결하는가 = 42
사회심리 연구에서 연구자가 지니는 가치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 43
한국문화에서 한국인의 사회심리를 어떻게 연구하는가 = 45
2. 사회적 추론과 판단 = 49
도식과 사회적 판단 = 52
도식의 종류 = 52
도식의 기능 = 54
도식에 기초한 처리의 문제점 = 57
판단 휴리스틱 = 60
대표성 휴리스틱 = 61
고정 및 조정 휴리스틱 = 63
가용성 휴리스틱 = 64
시뮬레이션 휴리스틱과 사실상반사고 = 66
도시과 휴리스틱의 상호관계 및 중요성 = 71
사회적 판단에 관한 두 모델: '인지적 구두쇠' 대 '동기화된 전략가' = 72
사회적 판단의 두 과정 = 74
자동사고 대 통제된 사고 = 74
자동사고와 통제된 사고의 상호작용 = 75
사고억제 = 77
확증오류와 자성예언 = 80
3. 자기 = 87
자기개념 = 90
자기도식 = 90
자기복잡성 = 90
자기차이 = 94
자기의 가변성과 동기적 기초 = 95
자기의 사회적 근원 = 98
자긍심 = 103
자긍심의 기능 = 104
자긍심 유지 기제들 = 105
자긍심의 두 얼굴 = 112
자기고양 대 자기확증 = 115
자기제시 = 117
4. 사람지각과 행동의 설명 = 121
사람지각 = 124
인상형성과정에서 나타나는 현상들 = 124
다양한 정보를 처리하는 방식 = 129
귀인 = 137
귀인은 언제, 왜 일어나는가 = 138
초기 귀인이론들 = 139
귀인이론의 발전 = 147
귀인에서 사람들이 보이는 편향 = 153
문화와 귀인 = 160
5. 태도와 행동 = 163
태도의 정의 = 165
태도의 특징 = 167
인지적 복잡성 = 167
감정적(평가적)단순성 = 167
감정 변화시키기의 어려움 = 168
감정이 행동에 미치는 영향 =168
태도와 행동의 양방적 인과관계 = 168
태도의 형성 = 170
학습 = 170
일관성 기제 = 172
기대 ×가치이론 = 177
태도의 행동 예측 = 177
태도의 강도 = 179
태도의 안정성 = 180
태도와 행동의 측정에서 구체성의 수준 = 180
상황의 압력 = 181
사적 자기인식 대 공적 자기인식 = 182
계획된 행동이론 = 182
행동에 따른 태도의 변화 = 185
인지부조화이론 = 186
자기지각이론 = 190
6. 설득과 태도변화 = 193
태도변화에 관한 고전적 접근과 현대적 접근 = 195
학습접근 = 195
인지반응접근 = 196
설득자 = 198
신빙성 = 199
매력 = 200
설득내용 = 202
증거 대 생생한 이미지 = 203
공포 유발 = 203
유머 = 205
일방적 설득주장과 양방적 설득주장 = 207
설득주장의 제시 순서 = 207
설득주장의 반복 제시 = 209
설득경로 = 210
면대면 대 매체 = 211
빠른 회화 = 211
설득상황 = 213
설득대상 = 214
기분 = 214
자기관여 = 215
면역 = 217
태도의 강도 = 219
설득대상의 개인차 = 222
7. 타인의 영향 = 227
동조 = 229
Sherif의 규범형성 연구 = 230
Asch의 집단압력 연구 = 231
동조 이유 = 232
동조에 영향 미치는 요인들 = 233
소수 영향 = 236
소수가 다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조건 = 236
다수 영향과 소수 영향의 비교 = 238
순종 = 239
사회적 세력 = 239
순종을 얻어내는 기법들 = 243
복종 = 247
Milgram의 실험들 = 247
복종을 증가시키는 조건들 = 249
사회적 압력에 대한 저항 = 250
반발 = 250
독특성 주장 = 251
8. 집단의 의사결정 = 253
집단이란 무엇인가 = 255
집단의 정의 = 255
집단의 특징 = 257
집단사회화 = 259
집단극화 = 261
집단극화의 원인 = 264
집단사고 = 266
집단사고가 일어나는 과정 = 268
집단사고의 예방 = 271
집단에서의 경쟁과 협동 = 272
죄수의 궁지 = 272
경쟁과 협동의 결정요인 = 274
사회궁지 = 276
사회궁지의 해결방안 = 277
9. 집단의 과제수행 = 281
집단 재생산 = 283
집단 생산성의 결정요인 = 283
과제 유형과 집단 생산성 = 285
집단의 특징과 집단 생산성 = 286
사회촉진 = 288
Zajonc의 추동이론 = 289
사회촉진의 원인 = 291
사회태만 = 294
사회태만이 감소하는 조건 = 296
집단에서의 정체성 = 298
사회정체성 = 298
몰개인화 = 299
몰개인화에 대한 설명이론들 = 301
10. 집단간 관계 = 305
집단간 관계에 관한 이론 = 308
현실갈등이론 = 308
사회정체성이론 = 309
자기범주화이론 = 311
집단간 갈등의 원인 = 312
집단간 이익의 갈등 = 312
범주화 = 313
사회정체성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구조요인들 = 316
사회범주화의 결과 = 319
내집단 편애 = 319
인지적 변화 = 321
사회정체성이 태도와 행동에 미치는 영향 = 321
열등한 성원의 사회정체성 관리 전략 = 325
집단간 갈등의 해소 및 조화 = 327
집단간 접촉 = 327
사회정체성을 통한 인지적 변화 = 328
집단범주 활성화의 억제 = 330
11. 매력의 결정요인 = 333
호감의 결정요인 = 336
환경적 단서 = 336
상대의 개인적 특징 = 338
나의 감정 및 동기 = 344
상대와의 조화 = 346
대인매력의 원리들 = 350
연합원리 = 350
강화이론 = 350
득실이론 = 351
사회교환이론 = 352
형평이론 = 352
상호의존이론 = 353
12. 친밀한 관계:사랑과 결혼 = 355
사랑이란 무엇인가 = 357
사랑의 유형 = 358
열정애와 동료애 = 358
사랑의 삼각형이론 = 359
사랑의 6유형이론 = 362
사랑의 준비:사랑은 능력이자 기술이다 = 364
애착과 사랑 = 365
자율성과 자존심 = 367
자기노출 = 368
관계의 진전에 관한 이론들 = 369
여과망이론 = 369
Murstein의 자극-가치-역할이론 = 371
사랑과 성 = 372
혼전 성교에 대한 태도와 행동 = 372
성적 혁명의 부작용 = 374
결혼 전 성경험이 이후 결혼에 미치는 영향 = 375
결혼 = 375
배우자 선택에서의 선호들 = 375
결혼만족 = 377
의사소통 = 380
문제가 있는 관계 및 이혼 = 382
13. 한국문화의 현재와 미래 = 387
문화와 사회심리 = 389
한국문화의 형성과 전개 과정 = 391
한국인들이 인식하는 한국문화의 기본 구조 = 394
한국의 사회문제 = 408
장래 한국의 공동사회 가치 = 412
14. 한국인의 성격과 가치 = 417
한국인의 성격 = 419
한국인들이 공유하는 성격특성들 = 420
한국인들이 바람직하다고 생각하는 성격특성들 = 422
미국인들이 선호하는 성격특성과 비교 = 425
세계 여러 문화에서 공통되는 성격특성 요인들 = 426
한국인의 가치 = 429
한국인들이 공유하는 중요한 가치 = 429
한국인의 가치관 변화 = 433
한국 대학생의 가치 = 447
15. 사회심리학의 응용 = 461
건강심리학 = 463
환경심리학 = 466
법/범죄심리학 = 469
정치심리학 = 472
산업/소비자심리학 = 473
스포츠심리학 = 475
교육심리학 = 477
기타 = 478
여가심리학 = 478
임상심리학 = 479
교통심리학 = 479
군사심리학 = 480
노인심리학 = 481
용어설명 = 483
참고문헌 = 499
찾아보기 = 5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