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문학비평 이야기 수정·증보판

문학비평 이야기 수정·증보판 (1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창국
서명 / 저자사항
문학비평 이야기 / 이창국 지음.
판사항
수정·증보판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   2004.  
형태사항
386 p. ; 23 cm.
ISBN
8957261923
000 00497namccc200193 k 4500
001 000045141643
005 20100806083246
007 ta
008 041227s2004 ulk 000a kor
020 ▼a 8957261923 ▼g 93800: ▼c \15,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82 0 4 ▼a 801.95 ▼2 21
090 ▼a 801.95 ▼b 2004a
100 1 ▼a 이창국 ▼0 AUTH(211009)31787
245 1 0 ▼a 문학비평 이야기 / ▼d 이창국 지음.
250 ▼a 수정·증보판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 ▼c 2004.
300 ▼a 386 p. ; ▼c 23 c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5 2004a 등록번호 1113108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5 2004a 등록번호 1113108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95 2004a 등록번호 1511662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5 2004a 등록번호 1113108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801.95 2004a 등록번호 1113108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801.95 2004a 등록번호 15116622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창국(지은이)

영문학 박사. 중앙대학교 영어교육과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영어교육과를 졸업하고 미국 펜실베이니아 주 소재 빌라노바 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서강대학교에서 밀턴의 『실낙원』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한국 영어영문학과 상임이사, 한국 밀턴학회 회장 등을 지냈으며 영자신문 「코리아 타임스」의 고정 칼럼니스트로 활동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문학비평 이야기』(1994), 『다시 한 번 강가에 서다』(1997), 『그때는 아무도 호각을 불지 않았다』(2001), 『화살과 노래』(2004), 『문학 사냥꾼들』(2007), 『집으로 돌아와서』(2010) 등이 있으며, 영문 수필집으로 IDEAS & IDEALS: A Collection of English Essays(London: Minerva Press, 1999)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문 = 5
1. 작가와 비평가 = 13
2. 내용과 형식 = 21
3. 어떤 사람이 문학비평가가 되어야 하는가? = 30
4. 인스피레이션의 정체는 과연 무엇인가? = 39
5. 꼭 위대한 작품이어야만 하는가? = 50
6. 많이만 쓰면 제일인가? = 59
7. 시와 산문 = 70
8. 신 독서론 = 85
9. 분명하게, 아름답게, 힘차게! = 97
10. 인용할 만한 글귀가 없다 = 117
11. 작품제목에 문제 있다 = 128
12. 잘못 가르치고 있다 = 140
13. 버려야만 될 유산 = 157
14. "틀린 시"와 "뻔한 시" = 170
15. 칭찬만 해서 되겠는가? = 178
16. 아동문학이란 것이 따로 있는가? = 193
17. 작품과 작가는 일치하는가? = 207
18. 문학은 종교를 대신할 수 있는가? = 219
19. 데리다를 아시나요? = 233
20. 문학이론 수업에 문제 있다 = 245
21. 뉴크리티시즘은 죽었는가? = 258
22. 문학은 사회를 변혁시킬 수 있는가? = 273
23. 대중소설과 순수소설 = 285
24. 모더니즘,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 = 297
25. 공상과학소설에 대하여 한마디 = 315
26. 문학에서의 음란성 문제 = 333
27. 한국문학과 노벨문학상 = 345
28. 시인 피천득 = 358
29. 직업으로서의 문학 = 37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