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과학적 연구의 기초
제1장 과학이란 무엇인가? = 3
제1절 과학의 의의 = 3
제2절 과학의 발전과정 = 6
제3절 연구방법의 유형과 과학적 지식의 특징 = 8
제4절 과학적 연구과정에서의 논리체계 = 11
제2장 사회과학 방법론과 쟁점 = 15
제1절 현대의 과학철학 = 15
제2절 사회과학의 연구방법 : 표준과학관, 해석적 사회과학관, 비판적 사회과학관 = 18
제3절 사회과학의 과학적 한계 = 25
제4절 조사연구 방법의 변천 = 29
제5절 사회과학의 맥락적 한계 : 사회과학의 가치, 윤리, 그리고 정치의 문제 = 32
제3장 과학적 조사 연구의 절차와 계획 = 40
제1절 과학적 조사 연구의 의의 = 40
제2절 연구의 분석단위 = 40
제3절 연구의 시간차원 = 47
제4절 과학적 연구의 절차와 연구계획서 = 51
제2부 조사설계
제1장 연구문제 및 가설의 설정 = 55
제1절 연구문제 = 55
제2절 이론 = 60
제3절 모형 = 65
제4절 가설 = 69
제5절 개념적 준거틀 = 73
제2장 기준문헌의 검토 = 75
제1절 기존문헌 검토의 의의 = 75
제2절 기존문헌 검토의 목적 및 시기 = 76
제3절 개별 연구문헌의 검토기준 = 76
제4절 기존문헌 검토결과의 기술 = 77
제3장 조사설계 방법의 선택 = 81
제1절 조사설계의 의의 = 81
제2절 조사설계의 유형 = 82
제1항 연구의 목적에 따른 분류 : 탐색, 기술, 설명 = 82
제2항 연구의 방법에 따른 분류 :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 = 92
제3항 연구의 기법에 따른 분류 : Diesing의 발견의 유형 = 98
제3절 조사설계 방법 선택의 중요성 = 101
제4장 실험설계 = 103
제1절 실험설계의 의의 = 103
제2절 실험의 인과관계 추리 논리 = 104
제1항 인과관계의 의의 = 104
제2항 인과관계 추리의 조건 = 104
제3항 인과관계 추론결과의 타당성과 위협요인 = 107
제3절 실험설계의 기본원리와 일반적 절차 = 115
제4절 실험설계의 종류와 유형 = 122
제5장 서베이 조사법 = 145
제1절 개설 = 145
제2절 서베이 조사법의 특성 및 목적 = 145
제3절 서베이 조사법의 일반적 절차 = 146
제4절 서베이 조사법의 유형 = 147
제5절 서베이 조사법의 장·단점 = 147
제6장 질적 연구의 조사설계 = 149
제1절 질적 연구의 의의 = 149
제2절 질적 연구시 특별히 고려할 사항 = 150
제3절 질적 연구의 방법과 설계 = 151
제1항 문화기술적 연구의 설계 = 151
제2항 행위연구의 설계 = 152
제3항 근거이론연구의 설계 = 155
제4항 사례연구의 설계 = 157
제4절 질적 연구의 장·단점 : 타당도와 신뢰도 = 163
제3부 측정
제1장 개념 : 구성개념 및 개념적 정의 = 167
제1절 개념 = 167
제2절 개념적 정의 = 171
제2장 변수와 조작적 정의 = 173
제1절 변수 = 173
제2절 조작적 정의 = 178
제3장 변수의 측정과 측정도구 : 척도 = 182
제1절 변수의 측정 = 182
제2절 측정도구와 척도의 구성 = 186
제3절 척도분석의 방법 = 202
제4장 측정의 질 : 타당성과 신뢰성 = 204
제1절 측정과 측정오차 = 204
제2절 측정의 타당성 = 205
제3절 측정의 신뢰성 = 210
제4절 측정의 타당성과 신뢰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16
제4부 표본추출의 논리
제1장 표본추출의 의의와 기초개념 = 221
제2장 표본추출분포에 관한 이론 = 227
제3장 표본추출의 설계 = 230
제1절 표본추출 설계의 의의 = 230
제2절 확률 표본추출의 방법 = 233
제3절 비확률표본추출의 방법 = 240
제4장 표본추출오차와 표본크기의 결정 = 246
제1절 표본추출오차 = 246
제2절 적정표본크기의 결정 = 248
제5장 표본추출설계시 고려사항 = 251
제5부 자료의 수집
제1장 자료의 종류와 수집방법 = 255
1. 자료의 종류 = 255
2. 자료수집방법의 분류 = 258
제2장 질문서법 = 259
1. 질문서법의 의의 = 259
2. 질문서의 작성 = 260
3. 질문서 적용방법 = 274
제3장 관찰방법 = 285
1. 관찰방법의 의의 = 285
2. 관찰방법의 유형 = 286
3. 관찰의 기본 절차 = 288
4. 관찰의 내용(범례) = 288
5. 관찰의 오류발생원인과 신뢰도와 타당도 = 289
6. 관찰자의 준수사항 = 290
7. 관찰방법의 장점과 단점 = 290
제4장 면접방법 = 292
1. 면접방법의 의의 = 292
2. 면접방법의 종류 = 293
3. 면접의 절차 = 296
4. 협력을 얻는 기술과 캐어묻기 = 298
5. 면접오류의 근거 = 300
6. 면접방법의 장점과 단점 = 301
제5장 자료수집방법의 선택기준 = 303
1. 현지상황(field condition)의 특성 = 303
2. 자료수집방법의 타당도와 신뢰도 = 304
3. 자료수집비용 = 305
제6부 자료의 분석과 통계적 가설검증
제1장 자료분석 방법 = 309
제1절 무응답 오차와 무응답의 처리 = 309
제2절 통계적 자료분석의 기초 = 312
제3절 단일변수의 기술통계 = 314
제4절 두 변수간 연관성 분석 = 317
제2장 통계적 가설검증 = 322
제1절 통계적 가설검증의 의의 = 322
제2절 가설검증의 과정 = 3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