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국어의 역사

국어의 역사 (268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무림, 金武林, 1956-
서명 / 저자사항
국어의 역사 / 김무림 저.
발행사항
서울 :   한국문화사,   2004   (2009)  
형태사항
438p. ; 24cm.
ISBN
8957261850 9788957261859
일반주기
부록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p.357-369) 및 찾아보기수록
000 00603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141397
005 20230515101040
007 ta
008 041224s2004 ulk 001a kor
020 ▼a 8957261850 ▼g 93710 : ▼c \20,000
020 ▼a 9788957261859 ▼g 9371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082 0 4 ▼a 495.709 ▼2 21
090 ▼a 497.09 ▼b 2004a
100 1 ▼a 김무림, ▼g 金武林, ▼d 1956- ▼0 AUTH(211009)41540
245 1 0 ▼a 국어의 역사 / ▼d 김무림 저.
260 ▼a 서울 : ▼b 한국문화사, ▼c 2004 ▼g (2009)
300 ▼a 438p. ; ▼c 24cm.
500 ▼a 부록수록
504 ▼a 참고문헌(p.357-369) 및 찾아보기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09 2004a 등록번호 1113213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09 2004a 등록번호 1115726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09 2004a 등록번호 1115726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09 2004a 등록번호 1511661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09 2004a 등록번호 1511661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09 2004a 등록번호 11132138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09 2004a 등록번호 11157260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97.09 2004a 등록번호 11157261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09 2004a 등록번호 15116610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497.09 2004a 등록번호 1511661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무림(지은이)

철도고등학교 및 고려대 사범대학 국어교육과를 졸업하고, 고려대 대학원 국어국문학과에서 문학석사 및 문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서울지방철도청에서 근무했으며, 강릉대 국어국문학과 전임강사․조교수․부교수․교수를 거쳐, 중국 중앙민족대학 조선어문계 한국학 파견교수, 중국 중앙민족대학 객좌교수, 강릉대 언론원장, 강릉원주대 인문학연구소장 및 도서관장, 한국한자음연구회 회장, 강릉원주대 인문대학장을 역임하고, 현재 강릉원주대 인문대학 국어국문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2017년 난정학술상 본상을 수상했다. 저서로 『국어 음운론』, 『우리말 어원사전』(공편), 『홍무정운역훈 연구』, 『국어지식탐구』(공저), 『한국어의 탐구와 이해』(공저), 『국어의 역사』, 『홍무정운역훈』, 『국어 음운론』(공저), 『한국어 어원사전』, 『고대국어 한자음』, 『현대국어 한자음』(공저), 『훈민정음 해례본』(공저), 『국어 어원사전』 등이 있으며, 한자음․음운론․국어사 관련 80여 편의 논문을 발표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머리말 = 5
제1장 서론
 1. 국어의 선사 = 12
  1.1. 국어의 계통 = 13
  1.2. 국어의 형성 = 18
 2. 국어 역사의 시대 구분 = 28
2장 고대 국어
 1. 차자 표기 = 36
  1.1. 고유 명사 표기 = 37
  1.2. 이두 표기 = 40
  1.3. 향찰 표기 = 43
  1.4. 구결 표기 = 46
 2. 음운 = 48
  2.1. 자음 체계 = 50
  2.2. 모음 체계 = 72
  2.3. 운소 체계 = 80
  2.4. 음운 현상 및 음절 구조 = 81
  2.5. 종합 = 85
 3. 문법 = 86
  3.1. 조사 = 87
  3.2. 어미 = 96
 4. 어휘 = 105
  4.1. 전기의 어휘 = 107
  4.2. 후기의 어휘 = 110
제3장 중세 국어
 1. 훈민정음과 표기 규정 = 118
  1.1. 훈민정음의 자모 체계 = 118
  1.2. 표기 규정과 실제 = 120
 2. 음운 = 124
  2.1. 병서의 해석 = 125 
  2.2. 소실자 및 음가가 달라진 문자 = 134 
  2.3. 음운 체계 = 150
  2.4. 음운 현상 = 157
 3. 문법 = 162
  3.1. 품사의 분류 = 163 
  3.2. 문법 형태의 기능과 의미 = 201
 4. 어휘 = 210
  4.1. 조어 = 211
  4.2. 한자어와 차용어 = 218
제4장 근대 국어
 1. 표기 양상 = 225
  1.1. 어두 합용 병서 표기 = 225
  1.2. 종성 표기 = 229
  1.3. 중철 표기 = 234
  1.4. 모음 표기 = 237
 2. 음운 = 238
  2.1. 음운 체계 = 238
  2.2. 음운 현상 = 246
 3. 문법 = 256
  3.1. 품사의 분류 = 256
  3.2. 문법 형태의 기능과 의미 = 267
 4. 어휘 = 279
  4.1. 조어 = 280
  4.2. 한자어와 차용어 = 285
제5장 현대 국어
 1. 표기와 문체 = 288
  1.1. 개화기의 표기 = 289
  1.2. 한글 맞춤법과 표준어 = 294
  1.3. 문체 = 297
 2. 음운 = 300
  2.1 음운 체계와 음절 구성 = 300
  2.2. 음운 현상 = 304
 3. 문법 = 306
  3.1. 품사 분류의 기준 = 306
  3.2. 어미 분류의 기준 = 309
  3.3. 문법 형태의 기능과 의미 = 314
 4. 어휘 = 322
  4.1. 조어 = 322
  4.2. 한자어와 외래어 = 326 
  4.3. 어휘의 의미 변화 = 330
 5. 방언 = 336
  5.1. 음운 체계 = 338
  5.2. 음운 현상 = 341
  5.3. 문법 형태 = 349
참고문헌 = 357
찾아보기 = 371
부록 = 377
 문헌 자료 = 377 
 고대 어휘 자료 = 413
 고대 이표기 자료 = 42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