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발간하는 글 = 4
1장 한국전통음악에 있어서 창작의 역사와 그 성격 = 17
1. 머리말 = 17
2. 역사에 나타난 음악만들기 = 20
3. 음악만들기의 성격과 방법 = 82
4. 맺음말 = 100
2장 한국전통음악의 창작방법에 관한 연구 Ⅰ = 105
1. 머리말 = 105
2. 음악 만들기 = 107
3. 작곡초기단계와 관련된 기타자료 = 134
4. 음악만들기의 개념 : 형성 = 139
5. 맺음말 = 147
3장 한국전통음악의 창작방법에 관한 연구 Ⅱ - 〈진작〉 1ㆍ2ㆍ3ㆍ4 분석 = 155
1. 머리말 = 155
2. 〈봉래의〉의 구성 = 156
3. 〈봉래의〉의 음계 = 157
4. 〈진작〉에 관하여 = 159
5. 〈진작〉 1의 선율구성과 구조 = 161
6. 〈진작〉 2와 〈진작〉 1의 관계 = 174
7. 〈진작〉 3과 〈진작〉 1의 관계 = 177
8. 〈진작〉 4의 분석 = 178
9. 〈진작〉 1과 〈치화평〉 1의 관계 = 184
10. 맺음말 = 186
4장 한국전통음악의 창작방법에 관한 연구 Ⅲ - 〈치화평〉과 〈취풍형〉 = 213
1. 머리말 = 213
2. 전인자와 후인자 = 215
3. 여민락 분석 = 219
4. 〈치화평〉에 대하여 = 227
5. 〈치화평〉 1의 선율구성과 구조 = 228
6. 〈치화평〉2와 〈치화평〉1의 관계 = 243
7. 취풍형에 대하여 = 249
8. 〈취풍형〉의 선율구성과 구조 = 250
9. 맺음말 = 258
5장 한국전통음악의 창작방법에 관한 연구 Ⅳ - 경모궁제례악의 형성 = 287
1. 머리말 = 287
2. 『속악원보』 권6의 비교분석 = 291
3. 『속악원보』 권3의 비교분석 = 300
4. 맺음말 = 306
제6장 무대예술(舞臺藝術)로서의 관현악편성에 관한 연구 = 331
1. 문제의 제기 1 : 무대, 관현악편성 = 331
2. 문제의 제기 2 : 관현악기 = 333
3. 문제의 제기 2에 대한 의견 = 334
4. 문제의 제기 2에 대한 제언 = 336
5. 문제의 제기 3 : 관현악 = 353
6. 문제의 제기 3에 대한 제언 = 354
7. 문제의 제기 4 : 관현악편성 = 356
8. 문제의 제기 4에 대한 의견과 제언 = 368
찾아보기 = 3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