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1장 편두통의 역학, 기전
1. 편두통의 역학 = 21
2. 편두통 연구의 역사 = 23
3. 편두통의 기전 = 25
1) 전조증상(Aura)의 기전 = 25
2) 삼차-혈관계와 신경인성 염증 = 32
3) 세로토닌(5-Hydroxytriptamine) = 34
4) 뇌압 항진 = 37
2장 편두통의 신경약리학적 병인론 = 39
3장 편두통의 유전학
1. 가족성 편마비성 편두통 = 46
4장 여성호르몬과 편두통
1. 월경성 편두통 = 49
2. 피임 약과 편두통 = 50
3. 임신과 편두통 = 50
5장 편두통의 분류 및 진단
1. 전조증상이 없는 편두통 = 55
1) 동반 증상 = 56
2) 두통 부위 = 56
3) 감별 진단 = 57
2. 전조증상이 있는 편두통 = 58
1) 전형적인 전조증상이 있는 편두통 = 58
3. 연장된 전조증상이 있는 편두통 = 60
4. 뇌기저부 편두통 = 60
5. 전조증상만 있는 편두통 = 62
6. 급작성 전조증상을 가진 편두통 = 63
7. 망막성 편두통 = 63
8. 안운동 마비성 편두통 = 64
9. 합병증을 동반한 편두통 = 67
1) 편두통 중첩증 = 67
2) 편두통성 뇌경색 = 67
10. 편두통에 선행하거나 관련 있는 소아 질환 = 69
1) 소아의 교대성 편마비 = 69
2) 소아의 양성 발작성 현훈 = 69
6장 IHS 분류에 포함 않된 편두통
1. 복부 편두통 = 71
2. Morning Migraine = 72
3. 안면 편두통 = 72
4. 경동맥 압통 = 73
7장 두통 환자의 임상적 접근
1. 서론 = 75
2. 두통 환자의 문진 = 76
8장 편두통의 예방
1. 유발인자 조절 = 79
2. 편두통 예방 약 = 80
1) 베타차단제 = 82
2) 칼슘 길항제 = 83
3) 항우울제 = 84
4) Valproic Acid 약제 및 다른 항경련제 = 88
5) 세로토닌(5-HT₂)길항제 = 90
6) 클로니딘(Clonidine) = 91
7) 리보플라빈(Rivoflabin) = 91
8) Feverfew = 91
9장 Fibromyalgia, Myofascial Pain Syndrome
1. 섬유성근통 = 93
2. 미국류마치스학회 진단 기준 = 94
1) 광범위한 부위의 통증 = 94
2) 18개 압통점 = 94
3. 수면과 Fibromyalgia, Myofascial Pain Syndrome = 98
10장 드문 두통 질환
1. Angina Headache = 99
2. Benign Cough Headache = 99
3. Benign Exertional Headache = 100
4. Call-Fleming Syndrome = 100
5. Carbon monoxide Poisoning = 100
6. Eagle's Syndrome(Elongated Styloid Process) = 101
7. Hypertensive Headache = 101
8. (Post)-Lumbar Puncture Headache = 101
9. Sexual Headache(Orgasmic Headache) = 102
10. Slit Ventricle Syndrome = 102
11. Pituitary Tumor = 104
12. Pseudotumor Cerebri = 105
11장 수면과 두통
1. Circardian Rhythm = 107
2. 세로토닌과 통증/감정 조절 = 108
3. 수면과 두통 = 109
4. 수면제 = 110
12장 뇌혈관 질환
1. 혈관 박리 = 113
1) 척추동맥 박리 = 114
2. 뇌출혈 = 115
3. 지주막하 출혈 = 118
4. CADASIL = 121
1) 개요 = 121
2) 임상 증상 = 122
3) 신경 영상 = 122
4) 진단 및 감별진단 = 123
5) 병리 및 편두통의 병태생리 = 124
6) 치료 = 125
5. 항 인지질 항체 증후군 = 125
6. Ocular Ischemic Syndrome = 126
7. 뇌정맥동 혈전 = 127
13장 편두통의 치료
1. 급성기 약물치료의 원칙 = 131
1) 두통의 심한 정도 = 132
2) 동반 증상에 따른 약제 선택 = 132
3) 현재력, 과거력 = 133
4) 편두통의 종류에 따른 선택 = 134
2. 급성기 치료 약 = 134
1) 제 1차 약 = 135
(1) Ergoramine Alkaloid제재 = 135
(2) Ergotamine Tartrate = 135
(3) Cafergot = 136
(4) Dihydroergotamine = 136
(5) 아스피린 = 137
(6) Isometheptane Mucate = 138
(7) 비스테로이드 소염진통제 = 138
(8) 아세트아미노팬 = 140
(9) Metoclopramide = 140
2) 제 2차 약 = 141
(1) Triptan제재 = 141
3) 제 3차 약 = 146
(1) Lidocaine = 146
(2) Butorphanol(Stadol 등) = 146
3. 약물 외 치료 = 146
1) 바이오 피드백과 긴장이완 요법 = 146
2) Physical therapy = 147
14장 편두통과 뇌졸중
1. 편두통과 연관된 뇌졸중의 분류 = 149
2. 편두통성 뇌경색의 기전 = 151
3. 편두통과 뇌졸중 : 감별진단 = 152
4. 편두통성 뇌경색의 예방 = 153
15장 군집성 두통
1. 주기성 군집성 두통 = 156
1) 치료 = 159
(1) Sumatriptan의 자가 피하주사 = 159
(2) 증상완화 유도요법 = 160
(3) 예방요법 = 160
2) 만성 군집성 두통 = 161
3) 만성 발작성 반두통 = 162
2. Hemicrania Continua = 164
3. 만성 피로증후군과 두통 = 165
16장 긴장성 두통
1. 일과성 긴장성 두통 = 167
1) 진단 = 168
2) 치료 = 169
2. 만성 긴장성 두통 = 169
3. 긴장성 두통의 치료 = 170
1) 항우울제 = 170
(1) 삼환계 항우울제 = 171
(2) SSRI = 172
(3) Trazodone = 172
17장 기타 감별해야 할 질환
1. 수면성 두통 = 174
2. 신경학적 이상과 뇌척수액 임파구증을 동반한 일시적 두통 = 176
3. 측두 동맥염 = 176
4. 류마치스성 다발성 근육염 = 182
5. Bell's Palsy, Ramsey-Hunt Synd = 182
18장 목, 코, 부비동, TMJ와 관련된 두통
1. 경부 원인성 두통 = 185
2. 비중격 만곡증과 비염 = 186
3. 부비동염 = 186
4. TMJ 이상에 의한 두통 = 188
5. 경추질환과 두통 = 189
부록
증례 1 = 193
증례 2 = 193
참고문헌 = 197
찾아보기 = 209
저자 약력 = 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