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78c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45140350 | |
005 | 20100806081225 | |
007 | ta | |
008 | 041004s2004 ggk b r001a kor | |
020 | ▼a 8930100813 ▼g 03100: ▼c \8,000 |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791.4301 ▼2 21 |
090 | ▼a 791.4301 ▼b 2004a | |
100 | 1 | ▼a Heme de Lacotte, Suzanne. ▼0 AUTH(211009)34092 |
245 | 1 0 | ▼a 들뢰즈: 철학과 영화: ▼b 운동-이미지에서 시간-이미지로의 이행 / ▼d 쉬잔 엠 드 라코트 [지음] ; ▼e 이지영 옮김. |
246 | 1 9 | ▼a Deleuze : philosophie et cinema |
260 | ▼a 파주 : ▼b 열화당 , ▼c 2004. | |
300 | ▼a 124 p. ; ▼c 23 cm. | |
504 | ▼a 참고문헌(p.116-117)과 색인수록 | |
700 | 1 | ▼a Deleuze, Gilles. |
700 | 1 | ▼a 이지영. ▼0 AUTH(211009)132609 |
900 | 1 1 | ▼a 엠 드 라코트, 쉬잔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4a | 등록번호 1113058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4a | 등록번호 1113058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4a | 등록번호 1410390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91.4301 2004a | 등록번호 15116791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4a | 등록번호 111305883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4a | 등록번호 11130588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91.4301 2004a | 등록번호 14103905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 청구기호 791.4301 2004a | 등록번호 15116791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들뢰즈의 <시네마> 두 권이 근거하고 있는 사상적 구조물이 어떤 것인지를 설명한 영화철학에 대한 해설서. 국내에는 <시네마 1>이 번역 소개되었다. 책은 들뢰즈의 <시네마> 두 권의 관계와 이론적인 기초, 중요한 개념 등을 짚었으며, 전반적인 철학적 구조와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의 문제, 시간의 문제, 서술의 문제 등을 살폈다.
먼저 들뢰즈의 관심인 시간, 운동, 진리 등과 같은 개념들과 영화에 의해 생산되지 않는 영화의 개념들을 짚었으며, 베르그송주의의 테제를 빌려 '이미지=물질=운동'의 관계를 설명했다. 또한 들뢰즈의 진리관과 현실적인 것의 재현으로서의 운동-이미지와 잠재적인 것으로서의 운동-이미지를 설명했으며 시간-이미지의 본질을 정리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쉬잔 엠 드 라코트(지은이)
2004년 현재 파리 1대학 팡테옹-소르본에서 철학과 미학에 대한 연구를 하고 있다.
이지영(옮긴이)
서울대학교에서 베르그손 철학으로 석사를, 한국예술종합학교 영상원에서 영화이론으로 예술전문사를 취득했으며, <들뢰즈의 운동-이미지 개념에 대한 연구>로 서울대학교에서 철학박사 학위를 받은 뒤 영국 옥스퍼드대학교에서 영화미학을 공부했다. 옥스퍼드대학교, 한국예술종합학교, 서울대학교, 홍익대학교 등에서 강의했고, 세종대학교를 거쳐 현재 한국외국어대학교 세미오시스연구센터에서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다. 들뢰즈의 영화 철학과 더불어 모바일 네트워크 시대의 온라인 영상, 비디오 설치 영상, 푸티지 영상, 실험적 다큐멘터리 등 영화와 인접 영상 예술 사이에서 벌어지고 있는 예술의 변모에 관심을 가지고 미학적·존재론적 연구를 하고 있다. 모바일 네트워크 시대의 생산 양식의 변화와 더불어 변모하고 있는 영상 예술의 새로운 형식과 역할에 대한 이론적 가설을 제시하였으나, 적절한 사례를 찾지 못해 중단했던 연구를 방탄소년단의 뮤직비디오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새로운 현상을 발견하고 재개할 수 있었다. 2018년 《BTS 예술혁명》을 출간한 후 2019년 영문본 《BTS, Art Revolution》을 출간했다. 이후 KBS <이슈 픽 쌤과 함께>, CBS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EBS <생각하는 콘서트> 등에서 방탄소년단에 대한 강의를 진행했고, 국내외 여러 매체를 통해 방탄소년단과 아미에 대한 지식을 전달하고 있다. 현재 《한국일보》 <삶과 문화>에 칼럼을 연재 중이다. 함께 지은 책으로《디지털 혁명과 음악》, 《철학자가 사랑한 그림》, Deleuze in China, Nobody Knows When It Was Made and Why(2015) 등이 있고 옮긴 책으로 《푸코》, 《들뢰즈: 철학과 영화》 등이 있으며, 들뢰즈의 영화철학을 중심으로 영화와 인접 영상 예술들에 대한 다수의 연구 논문을 발표했다.

목차
목차 서론 = 7 1. 두 이미지와 그 배치 1. 이미지란 무엇인가 = 11 2. 이행을 위치짓기 = 25 3. 철학의 역사와 영화의 역사 = 34 2. 영화와 사유 1. 이미지의 두 체제 = 44 2. 진리 개념의 위기 = 52 3. 사유 안의 사유되지 않는 것으로 = 63 3. 운동-이미지와 시간-이미지 : 하나의 동일한 이미지? 1. 시간-이미지의 우월성에 대해 말할 수 있는가 = 79 2. 현실적인 것과 잠재적인 것 = 88 3. 존재의 일의성 문제 = 101 결론 = 109 주(註) = 111 참고문헌 = 116 옮긴이의 말 = 118 찾아보기 = 1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