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영어 평가 방법론

영어 평가 방법론 (9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이완기
서명 / 저자사항
영어 평가 방법론 = (A)guide to English language testing / 이완기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문진미디어 ,   2003.  
형태사항
480 p. : 삽도 ; 26 cm.
ISBN
8953902088
일반주기
부록으로 "기존의 말하기 평가의 채점척도 분석", "기존의 쓰기 평가의 채점척도 분석" 수록  
찾아보기: p. 478-480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61-469
000 00751camccc200241 k 4500
001 000045139702
005 20100806075943
007 ta
008 040722s2003 ulka b 001a kor
020 ▼a 8953902088 ▼g 13740: ▼c \18,000
035 ▼a KRIC08605393
040 ▼a 211031 ▼d 211064 ▼d 211009
041 0 ▼a kor ▼a eng
082 0 4 ▼a 420.7 ▼2 21
090 ▼a 420.7 ▼b 2003d
100 1 ▼a 이완기 ▼0 AUTH(211009)31929
245 1 0 ▼a 영어 평가 방법론 = ▼x (A)guide to English language testing / ▼d 이완기 지음.
260 ▼a 서울 : ▼b 문진미디어 , ▼c 2003.
300 ▼a 480 p. : ▼b 삽도 ; ▼c 26 cm.
500 ▼a 부록으로 "기존의 말하기 평가의 채점척도 분석", "기존의 쓰기 평가의 채점척도 분석" 수록
500 ▼a 찾아보기: p. 478-480
504 ▼a 참고문헌: p. 461-469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0.7 2003d 등록번호 1113041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420.7 2003d 등록번호 1113041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이완기(지은이)

서울교육대학교 명예교수 서울대학교 및 동 대학원 졸업(BA, MEd) 영국 Leeds 대학교 대학원 졸업(MEd) 영국 Manchester 대학교 대학원 졸업(PhD) 한국영어교육학회(KATE) 부회장 한국초등영어교육학회(KAPEE) 회장 한국영어평가학회(KELTA) 회장 대학수학능력시험 영어 출제위원 및 위원장 7회 교육부 및 서울시교육청 영어교육정책 자문위원 주요 저서 《초등영어 교육론》 《초등영어 평가론》 《초등영어 지도법》 (공저) 《영어교육 방법론》 《영어평가 방법론》 《문화 속의 영어, 영어 속의 문화》 (공저) 《내 아이 영어교육, 어떻게 해야 하나?》 (공저) 《영어를 그르치는 엄마, 영어를 가르치는 엄마》 《영어에 찌든 당신을 위한 영어 D톡스》 (공저) 《4차 산업혁명과 미래 영어교육》 (공저) 《시험을 위한 영어공부 사용을 위한 영어공부》 외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평가의 기본 개념
 1.1 평가의 개념과 원리 = 20
  1. 평가에 관한 용어 = 21
   1) 평가의 의미 = 21
   2) 테스트(Test), 어세스먼트(Assessment), 이밸류에이션(Evaluation) = 22
  2. 추정의 원리(Extrapolation) = 24
  3. 진정성(Authenticity) = 26
  4. 평가와 교육의 관계 = 28
   1) 세환효과(Washback effect) = 28
   2) 평가와 교육의 비교 = 30
 1.2 평가의 목적 = 31
  1. 성취도 평가(Achievement test) = 31
  2. 형성 평가(Formative test) = 32
  3. 진단 평가(Diagnostic test) = 32
  4. 배치 평가(Placement test) = 33
  5. 선발 평가(Selection test) = 33
  6. 숙달도 평가(Proficiency test) = 34
 1.3 평가의 방법 = 35
  1. 객관식 평가(Objective test)와 주관식 평가(Subjective test) = 35
  2. 직접 평가(Direct test)와 간접 평가(Indirect test) = 35
  3. 분리 평가(Discrete-point test)와 통합 평가(Integration test) = 36
  4. 상대 평가(Norm-referenced test)와 절대 평가(Criterion-referenced test) = 37
  5. 속도 평가(Speed test)와 능력 평가(Power test) = 39
 1.4 평가 도구의 요건 = 40
  1. 타당도(Validity) = 40
   1) 타당도의 종류 = 40
   2) 타당도 저해의 요인 = 44
  2. 신뢰도(Reliability) = 46
   1) 신뢰도의 종류 = 46
   2) 신뢰도에 영향을 끼치는 요인들 = 50
   3) 신뢰도 저해의 요인 = 51
   4)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 52
  3. 실용도(Practicality) = 53
   1) 실용도의 중요성 = 53
   2) 우리나라 교육 여건과 실용도 = 54
제2장 평가의 측정 목표 : 의사소통능력
 2.1 언어 평가의 발전 단계 = 58
  1. 전통적 단계(Traditional stage) = 59
  2. 근대적 단계(Modern stage) = 60
  3. 후기 근대적 단계(Post-modern stage) = 61
 2.2 의사소통능력의 이해 = 62
  1. 의사소통의 개념 = 62
  2. 의사소통능력의 구성 요소 = 65
   1) 다수 요인 가설 = 66
   2) 단일 요인 가설 = 67
   3) 신다수 요인 가설 = 70
제3장 평가 도구의 개발
 3.1 평가 도구의 성격 = 94
 3.2 평가 도구의 개발 과정 = 95
  1. 평가 계획의 수립 = 96
   1) 평가 목표에 관한 고려 = 97
   2) 실제적 여건에 관한 고려 = 97
  2. 평가 세부계획서(Test specifications)의 작성 = 97
  3. 평가 문항의 작성 = 98
   1) 듣기 평가 문항 작성시 유의점 = 99
   2) 읽기 평가 문항 작성시 유의점 = 99
   3) 말하기 평가 문항 작성시 유의점 = 100
   4) 쓰기 평가 문항 작성시 유의점 = 100
  4. 평가 문항의 검토 및 편집 = 101
  5. 사전검사(Pre-test)와 실험 시행(Trial) = 102
 3.3 평가 도구 개발시 유의점 = 103
  1. 평가 문항의 일반적인 문제점 = 103
   1) 평가 방법의 영향(Method effect) = 103
   2) 측정 목표의 불명확 = 104
   3) 국지 종속성(Local dependence)의 우려 = 104
   4) 문항 지시문의 불명확 = 106
   5) 정답 선택의 자의성 = 106
   6) 문항 유형에의 친밀도 = 107
  2. 평가 문항 개발시 유의점 = 107
   1) 문항 설계시 유의점 = 107
   2) 듣기·읽기 평가의 투입 자료 선정시 유의점 = 108
   3) 말하기·쓰기 평가의 문항 개발시 유의점 = 108
 3.4 평가 문항의 형태와 종류 = 110
  1. 좋은 문항과 나쁜 문항 = 111
   1) 좋은 문항의 요건 = 111
   2) 나쁜 문항의 특징 = 111
  2. 선택형 문항 = 112
   1) 선택형 문항의 이점과 제한점 = 113
   2) 선택형 문항 제작시 유의점 = 115
   3) 선택형 문항의 종류 = 116
  3. 투입 자료 조작형 문항 = 125
   1) 투입 자료 조작형 문항의 의미 = 125
   2) 투입 자료 조작형 문항의 종류 = 125
  4. 통합 평가적 문항 = 131
   1) 통합 평가적 문항의 의미 = 131
   2) 통합 평가적 문항의 종류 = 131
  5. 주관식 문항 = 139
   1) 주관식 문항의 의미 = 139
   2) 주관식 문항의 종류 = 139
제4장 학교 평가체제의 모형
 4.1 교육과정상의 평가의 방향 = 144
 4.2 학교 평가체제의 모형 = 148
  1. 상시평가적 과정 평가(常時評價的 過程評價) = 149
   1) 수행평가의 성격 = 150
   2) 수행평가의 영역 = 151
   3) 수행평가의 방법 = 152
   4) 수행평가의 한계 = 167
  2. 총괄평가적 성취도 평가(總括評價的 成就度評價) = 167
   1) 총괄평가의 필요성 = 167
   2) 총괄평가 문항의 성격 = 168
   3) 총괄평가 실시상의 유의점 = 170
  3. 학교 평가체제의 모형(요약) = 171
제5장 학교밖 평가체제의 모형
 5.1 유럽의 ALTE 체제 = 175
  1. ALTE의 형성 = 175
  2. ALTE의 5등급 언어능력 수준 = 176
 5.2 영국의 평가체제 = 178
  1. YLE(Cambridge Young Learners English Tests) = 178
  2. JET(Junior English Test) = 182
  3. KET(Key English Test) = 185
  4. PET(Preliminary English Test) = 186
  5. FCE(First Certificate in English) = 188
  6. CAE(Certificate in Advanced English) = 191
  7. CPE(Certificate of Proficiency in English) = 193
  8. IELTS(International English Language Testing System) = 196
  9. ARELS(Association of Recognized English Language Services) = 199
 5.3 미국의 평가체제 = 201
  10. TOEFL(Test of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 201
  11. TSE(Test of Spoken English) = 204
  12. TOEIC(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 Communication) = 209
  13. MELAB(Michigan English Language Assessment Battery) = 211
  14. ACTFL OPI(American Council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Oral Proficiency Interview) = 212
 5.4 일본의 평가체제 = 214
  15. 영검(英檢, STEP) = 214
 5.5 한국이 평가체제 = 218
  16. TEPS(Test of English Proficiency developed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 218
  17. 대학수학능력시험(The Korean Scholastic Ability Test) = 219
제6장 듣기 평가
 6.1 듣기의 성질 = 226
  1. 듣기의 본질 = 226
   1) 음성언어의 특징 = 226
   2) 듣기의 특성 = 227
  2. 듣기의 과정 = 228
   1) 소리 듣기 단계 = 228
   2) 의미 듣기 단계 = 229
   3) 듣기 정보의 처리 방법 = 229
 6.2 듣기 평가의 측정 목표 = 231
  1. 듣기 능력의 구성 요소 = 231
   1) 회화적 듣기 능력 = 231
   2) 학문적 듣기 능력 = 233
  2. 듣기 평가 측정 목표 설정의 방향 = 234
 6.3 듣기 평가의 방법 = 234
  1. 듣기 평가의 난이도와 문항 제작상의 유의점 = 234
   1) 듣기 평가의 난이도 = 235
   2) 듣기 평가 문항 제작상의 유의점 = 235
  2. 듣기 평가 문항의 유형 = 237
   1) 사실적 이해 문항 = 237
   2) 추론적 이해 문항 = 238
   3) 평가적 이해 문항 = 239
  3. 듣기 평가 문항의 예 = 240
제7장 읽기 평가
 7.1 읽기의 성질 = 268
  1. 읽기의 목적과 종류 = 268
   1) 읽기의 목적 = 268
   2) 읽기의 종류 = 269
  2. 읽기의 본질 = 270
   1) 적극적 의미 파악 행위 = 270
   2) 불확실성 감소의 가정 = 271
   3) 심리언어학적 추측의 게임 = 271
   4) 의미 창조의 상호활동 과정 = 272
  3. 읽기의 과정 = 273
   1) 글의 구성 방식 = 273
   2) 읽기 이해의 방식 = 274
 7.2 읽기 평가의 측정 목표 = 276
  1. 의미의 종류와 의미 이해의 수준 = 276
   1) 의미의 종류 = 276
   2) 의미 이해의 수준 = 277
  2. 읽기 능력의 구성 요소 = 277
   1) 사실적 이해력 = 278
   2) 추론적 이해력 = 278
   3) 평가적 이해력 = 278
  3. 읽기 평가 측정 목표 설정의 방향 = 279
   1) 글 속 언어적 요소 이해의 필요성 = 279
   2) 읽기 평가 측정 목표의 기본 방향 = 281
 7.3 읽기 평가의 방법 = 282
  1. 읽기 평가의 난이도와 문항 제작상의 유의점 = 282
   1) 읽기 평가의 난이도 = 282
   2) 읽기 평가 문항 제작상의 유의점 = 283
  2. 읽기 평가 문항의 유형 = 285
   1) 사실적 이해 문항 = 285
   2) 추론적 이해 문항 = 286
   3) 평가적 이해 문항 = 286
  3. 읽기 평가 문항의 예 = 287
제8장 말하기 평가
 8.1 말하기의 성질 = 310
  1. 말하기의 특성 = 310
   1) 말하기의 유형 = 310
   2) 말의 본질적 특성 = 312
  2. 말하기의 과정 = 316
   1) 목표 형성 단계(Goal formation) = 316
   2) 언어 계획 단계(Planning) = 317
   3) 음성 발화 단계(Execution) = 317
   4) 자기 점검 단계(Monitoring) = 318
 8.2 말하기 평가의 측정 목표 = 320
  1. 말하기 능력의 구성 요소 = 320
  2. 말하기 평가 측정 목표의 설정 = 321
   1) 정확성(Accuracy) = 322
   2) 범위(Range) = 322
   3) 적절성(Appropriacy) = 322
   4) 유창성(Fluency) = 323
   5) 상호작용(Interaction) = 323
   6) 발음(Pronunciation) = 323
 8.3 말하기 평가의 방법 = 324
  1. 말의 도출 기법 = 325
   1) 직접 인터뷰(Direct interview) = 326
   2) 역할놀이(Role play) = 328
   3) 어학실습실 평가(Language lab test) = 329
   4) 묘사하기와 지시하기(Description/Instruction) = 330
   5) 과제 수행형 평가(Task-based test) = 332
  2. 말하기 채점의 방법 = 336
   1) 말하기 채점척도의 개발 = 338
   2) 말하기 채점척도의 모형 = 341
   3) 말하기 채점자 훈련 = 347
   4) 말하기 채점자 훈련의 단계 = 348
  3. 말하기 평가 시행상의 유의점 = 351
   1) 말하기 평가 과제 작성시의 유의점 = 351
   2) 말하기 평가 실시상의 유의점 = 353
  4. 말하기 평가 실시의 예 = 354
제9장 쓰기 평가
 9.1 쓰기의 성질 = 358
  1. 쓰기의 특성 = 358
   1) 쓰기의 성질 = 358
   2) 말과 글의 차이 = 361
  2. 쓰기의 과정 = 363
   1) 결과 중심적 쓰기 = 363
   2) 과정 중심적 쓰기 = 363
 9.2 쓰기 평가의 측정 목표 = 364
  1. 쓰기 능력의 구성 요소 = 364
  2. 쓰기 평가 측정 목표의 설정 = 365
   1) 내용 지식(Content knowledge) = 366
   2) 조직성(Organization) = 366
   3) 정확성(Accuracy) = 367
   4) 범위(Range) = 367
   5) 적절성(Appropriacy) = 368
   6) 기술적 세부사항(Mechanics) = 368
 9.3 쓰기 평가의 방법 = 368
  1. 쓰기의 도출 기법 = 369
   1) 번역하기(Translation) = 369
   2) 문장 전환하기(Paraphrasing) = 370
   3) 양식의 빈칸 메우기(Form-filling) = 370
   4) 요약하기(Summarizing) = 370
   5) 틀린 곳 고쳐서 다시 쓰기(Improving) = 371
   6) 그림 이어 이야기 꾸며 쓰기(Picture story construction) = 371
   7) 도표나 그림 등을 기초로 쓰기(Visual information transfer) = 371
   8) 주어진 글 이어서 쓰기(Completing) = 371
   9) 주어진 상황에 맞는 쓰기(Situation handling) = 372
   10) 자유 쓰기(Free writing) = 372
  2. 쓰기 채점의 방법 = 375
   1) 쓰기 채점척도의 모형 = 375
   2) 쓰기 채점자 훈련 = 379
  3. 쓰기 평가 문항의 예 = 380
제10장 어휘·문법 평가
 10.1 어휘와 문법의 성격 = 392
  1. 어휘의 성격 = 392
   1) 단어의 의미 = 393
   2) 단어의 분류 = 394
  2. 문법의 성격 = 396
   1) 문법의 의미 = 396
   2) 문자언어 문법과 음성언어 문법 = 398
 10.2 어휘·문법 평가의 측정 목표 = 400
  1. 어휘 평가의 측정 목표 = 400
  2. 문법 평가의 측정 목표 = 401
 10.3 어휘·문법 평가 문항의 예 = 402
  1. 어휘 평가 문항의 예 = 402
  2. 문법 평가 문항의 예 = 411
  3. 어휘·문법 평가 문항의 예 = 417
제11장 평가 문항의 분석과 해석
 11.1 고전검사이론(Classical Test Theory)에 의한 문항 분석 = 423
  1. 문항의 질 분석(Item quality analysis) = 423
  2. 문항의 형태 분석(Item format analysis) = 424
   1) 측정 자료의 성격 = 424
   2) 측정 자료 처리 및 분석 = 425
   3) 좋은 문항과 나쁜 문항의 구별 = 430
 11.2 문항반응이론(Item Response Theory)에 의한 문항 분석 = 440
  1. 고전검사이론의 한계 = 440
  2. 문항반응이론 = 441
   1) 문항반응이론의 전제적 가정 = 442
   2) 문항특성곡선의 의미 = 444
   3) 문항특성곡선의 정보 해석 방법 = 447
   4)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 적용의 예 비교 = 451
   5) 문항반응이론의 장점 = 456
참고문헌 = 461
부록 = 470
찾아보기 = 478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