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노동단체법 제2판

노동단체법 제2판 (37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박홍규
서명 / 저자사항
노동단체법 / 박홍규 지음.
판사항
제2판
발행사항
서울 :   삼영사 ,   2002.  
형태사항
528 p. ; 25 cm.
총서사항
노동법 ; 2
ISBN
8944536805
서지주기
참고문헌및 색인수록
000 00529namccc200217 4500
001 000045139645
005 20100806075833
007 ta
008 041217s2002 ulk 000a kor
020 ▼a 8944536805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344.5301
090 ▼a 344.5301 ▼b 2002i
100 1 ▼a 박홍규 ▼0 AUTH(211009)31649
245 1 0 ▼a 노동단체법 / ▼d 박홍규 지음.
250 ▼a 제2판
260 ▼a 서울 : ▼b 삼영사 , ▼c 2002.
300 ▼a 528 p. ; ▼c 25 cm.
440 0 0 ▼a 노동법 ; ▼v 2
504 ▼a 참고문헌및 색인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5301 2002i 등록번호 1113027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5301 2002i 등록번호 1113027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5301 2002i 등록번호 1113372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4.5301 2002i 등록번호 15109533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4.5301 2002i 등록번호 1510953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5301 2002i 등록번호 11130276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5301 2002i 등록번호 11130276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법학보존서고(법학도서관 지하2층)/ 청구기호 344.5301 2002i 등록번호 11133726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4.5301 2002i 등록번호 15109533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44.5301 2002i 등록번호 15109533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박홍규(지은이)

세계에 대한 폭넓은 이해를 바탕으로 글을 쓰는 저술가이자 노동법을 전공한 진보적인 법학자이다. 걷거나 자전거를 타고 시골에서 농사를 지으며 자유·자연·자치의 삶을 실천하고 있다. 오사카시립대학에서 법학박사 학위를 받았고 오사카대학 등에서 강의하고 하버드로스쿨, 노팅엄대학, 프랑크푸르트대학 등에서 연구했다. 1997년 『법은 무죄인가』로 백상출판문화상을 수상했고, 2015년 『독서독인』으로 한국출판평론상을 수상했다. 『밀레니얼을 위한 사회적 아나키스트 이야기』, 『카뮈와 함께 프란츠 파농 읽기』, 『표트르 크로포트킨 평전』, 『내 친구 톨스토이』, 『불편한 인권』, 『인문학의 거짓말』, 『놈 촘스키』, 『아나키즘 이야기』 외 다수의 책을 집필했으며, 『오리엔탈리즘』, 『간디 자서전』, 『유한계급론』, 『자유론』, 『존 스튜어트 밀 자서전』, 『법과 권리를 위한 투쟁』 등을 우리말로 옮겼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3편 노동단체법
 제1장 서론
  제1절 노동단체법 = 37
   Ⅰ. 서설 = 37
    1. 사회현상으로서의 노동단체와 법 = 37
    2. 노조에 대한 법정책의 변천 = 38
     1) 일반적 변천 = 38
     2) 한국에서의 변천 = 39
   Ⅱ. 노동단체법의 정의와 근거 = 39
    1. 정의 = 39
    2. 근거 = 40
   Ⅲ. 노동단체법의 특징과 문제점 = 41
    1. 특징 = 41
    2. 문제점 = 41
     1) 적용범위의 차이 = 41
     2) 기업별 노조의 전제 = 42
     3) 형사적 규제의 과도 = 42
  제2절 노동단체권 = 43
   Ⅰ. 서설 = 43
    1. 노동단체권의 성질 = 43
     1) 판례와 학설 = 43
     2) 검토 = 43
    2. 노동단체권과 재산권 = 48
    3. 노동단체권의 상호관계 = 49
     1) 판례와 학설 = 49
     2) 검토 = 49
   Ⅱ. 노동단체권의 주체와 목적 = 50
    1. 주체 = 50
    2. 목적과 성격 = 50
     1) 헌법 규정과 문제점 = 50
     2) 목적에 대한 헌법적 이해 = 51
   Ⅲ. 노동단체권의 효과와 내용 = 53
    1. 일반적 효과 = 53
     1) 법령 등에 대한 위헌심사의 기준 = 53
     2) 사인간의 효력 = 53
     3) 민·형사법 적용의 배제 = 54
     4) 입법자에 대한 의무의 부여 = 55
    2. 단결권 = 56
     1) 의의 = 56
     2) 효과 = 60
    3. 단체교섭권 = 61
     1) 의의 = 61
     2) 효과 = 62
    4. 단체행동권 = 64
     1) 의의 = 64
     2) 효과 = 65
   Ⅳ. 노동단체권의 제한 및 금지 = 65
    1. 일반론 = 65
    2. 헌법상의 제한과 금지 = 66
     1) 유형과 연혁 = 66
     2) 헌법 제33조 2항에 의한 제한 = 68
     3) 헌법 제33조 3항에 의한 제한 = 73
     4) 헌법 제37조 2항에 의한 제한 = 74
     5) 제3자 개입금지의 위헌문제 = 75
    3. 법률상의 제한과 금지 = 77
     1) 양상 = 77
     2) 형벌이 부과되는 경우 = 78
     3) 형벌이 부과되지 않는 경우 = 82
   Ⅴ. 노동단체권의 과제 = 83
    1. 일반적 과제 = 83
    2. 근로자 대표제 = 84
     1) 필요성 = 84
     2) 경영민주화 기능 = 85
    3. 근로관계가 없는 당사자간의 단체교섭 = 87
    4. 집단행위로서의 단체행동론 = 88
    5. 분쟁처리 = 91
   Ⅵ. 노동단체권 행사의 실제 = 91
    1. 단결권행사의 실제 = 91
    2. 단체행동권 행사의 실제 = 92
    3. 형사처벌과 민사배상의 실제 = 94
     1) 형사처벌의 실제 = 94
     2) 민사배상의 실제 = 96
    4. 노동위원회의 기능 = 97
 제2장 단체조직법
  제1절 노동단체 = 99
   Ⅰ. 노동단체의 정의 = 99
    1. 적극적 정의 = 99
    2. 소극적 정의 = 100
     1) 노조법 제2조 4호 단서 = 100
     2) 노조기능의 확대 = 101
     3) 노조의 조직확대 = 103
   Ⅱ. 민법의 사단과 노조 = 103
    1. 사단과 노조의 차이점 = 103
     1) 구성원의 개성 = 103
     2) 단체성 = 104
     3) 목표 = 104
    2. 노조의 변화와 노동법 = 104
    3. 노조의 성격 = 105
     1) 사단적 성격 = 105
     2) 준공공단체적 성격 = 105
   Ⅲ. 노조의 형태 = 106
    1. 종류 = 106
    2. 조직의 자유 = 106
    3. 단위단체와 연합단체 = 110
     1) 단위단체 = 110
     2) 연합단체 = 111
    4. 연혁과 현황 = 112
     1) 연혁 = 112
     2) 현황 = 112
  제2절 노조의 자격요건과 설립절차 = 113
   Ⅰ. 노조의 자격요건 = 113
    1. 의의 = 113
    2. 객관적 요건 = 114
     1) 구성주체 = 114
     2) 자주성(독립성) = 120
     3) 단체성 = 127
     4) 복수노조 문제 = 128
    3. 주관적 요건 = 129
     1) 적극적 측면 = 129
     2) 소극적 측면 = 130
   Ⅱ. 노조의 설립과 심사 = 131
    1. 의의와 입법례 = 131
     1) 의의 = 131
     2) 입법례 = 132
    2. 규약 = 133
     1) 의의 = 133
     2) 사단법인 정관과의 비교 = 134
     3) 규약의 법적 성격 = 135
     4) 불완전한 규약의 문제 = 135
    3. 설립 = 136
     1) 문제점 = 136
     2) 신고의 주체 = 136
     3) 설립신고서 = 136
     4) 신고절차 = 137
     5) 설립심사제도의 문제 = 138
    4. 성립시기 = 139
    5. 신고증교부 후의 변화 = 140
     1) 변경신고 = 140
     2) 신고증교부의 철회 = 140
   Ⅲ. 노동단체의 법적 보호 = 141
    1. 보호대상인 노동단체 = 141
    2. 헌법에 의한 보호 = 141
    3. 민사법에 의한 보호 = 141
    4. 노조법에 의한 보호 = 141
    5. 노조법 외 노동단체의 능력 = 142
  제3절 조합원의 지위, 권리 및 의무 = 142
   Ⅰ. 조합원의 지위 = 142
    1. 지위의 취득 = 142
     1) 노조의 결성 = 142
     2) 노조에의 가입 = 142
    2. 자격취득의 효과 = 147
     1) 단체관계의 의의 = 147
     2) 규약의 법적 규범성 = 147
    3. 지위의 상실 = 147
     1) 의의 = 147
     2) 노조의 탈퇴 = 148
     3) 노조에 의한 제명 = 150
     4) 규약상의 자격상실규정 = 150
    4. 조직유도 = 150
     1) 서설 = 150
     2) 적법성 = 153
     3) 발생요건 = 156
     4) 효력과 범위 = 156
   Ⅱ. 조합원의 권리 = 158
    1.서설 = 158
     1) 의의 = 158
     2) 내용 = 158
     3) 성격 = 159
    2. 평등권 = 159
     1) 의의 = 159
     2) 내용 = 160
    3. 임원의 임면권 = 160
     1) 의의 = 160
     2) 선거권 = 161
     3) 피선거권 = 161
     4) 선거운동의 제한 = 162
     5) 파면권 = 162
    4. 비판과 토론의 자유 = 163
     1) 의의와 한계 = 163
     2) 노조의사의 확정 이전단계 = 164
     3) 노조의사의 확정 이후단계 = 164
     4) 임원비판 = 165
    5. 노조의사의 확정권 = 165
     1) 총회개최청구권 = 165
     2) 총회출석권 = 166
     3) 총회발언권 = 166
     4) 의안제출권 = 166
     5) 의결권 = 166
   Ⅲ. 조합원의 의무 = 167
  제4절 노조의 내부운영 = 168
   Ⅰ. 노조자치와 법적 규제 = 168
    1. 노조자치의 민주주의 = 168
    2. 법적 규제 = 170
     1) 거래안전을 위한 규제 = 170
     2) 노조 민주주의를 위한 규제 = 171
   Ⅱ. 노조의 기관 = 174
    1. 종류 = 174
    2. 의사결정기관 : 총회 = 175
     1) 구성 = 175
     2) 의결사항 = 175
     3) 개최방법 = 175
     4) 의결방법 = 177
     5) 결의의 효력 = 177
     6) 대의원회 = 178
    3. 임원 : 집행기관 = 179
     1) 의의 = 179
     2) 선거 = 179
     3) 자격요건 = 180
     4) 임기 = 180
     5) 겸임 = 180
     6) 임무 = 181
     7) 임원후보의 추천제 = 181
    4. 회계감사원 : 통제기관 = 182
     1) 지위 = 182
     2) 임무 = 182
    5. 노조의 법적 책임 = 182
     1) 노조에 권리·의무가 귀속되어야 할 행위의 범위 = 182
     2) 노조의 업무집행과 대표 = 182
     3) 노조의 대외적 책임 = 183
     4) 각종 기관의 대내적 책임 = 183
    6. 사법적 구제 = 184
     1) 임원선거 = 184
     2) 총회의 소집과 출석 = 184
   Ⅲ. 노조의 조직통제 = 184
    1. 의의 = 184
    2. 근거 = 185
     1) 논의의 의의 = 185
     2) 학설 = 185
     3) 검토 = 186
    3. 한계 = 186
     1) 원칙 = 186
     2) 노조의 정치활동과 통제권 = 187
     3) 위법지령과 통제권 = 187
     4) 통제권과 조합원의 언론자유와의 관계 = 188
     5) 노조의 방침과 결의의 위반 = 188
     6) 단체교섭의 저해 = 188
    4. 내용 = 189
    5. 절차 = 189
    6. 효과 = 189
    7. 사법심사 = 190
     1) 의의 = 190
     2) 정도 = 190
   Ⅳ. 노조의 재정 = 190
    1. 의의 = 190
    2. 수입 = 191
     1) 조합비 = 191
     2) 기부금 및 사업수익금 = 195
    3. 지출 = 195
    4. 조세의 면제 = 196
    5. 노조재산의 소유형태 = 196
   Ⅴ. 노조의 소송능력 = 197
  제5절 노조의 단체활동 = 198
   Ⅰ. 서설 = 198
    1. 성격과 유형 = 198
     1) 성격 = 198
     2) 유형 = 198
    2. 보편성과 특수성 = 199
     1) 보편성 = 199
     2) 기업별 노조로 인한 특수성 = 200
    3. 근거와 효과 = 201
     1) 근거 = 201
     2) 효과 = 201
   Ⅱ. 단체활동의 정당성 = 203
    1. 주체에 따른 정당성 = 203
     1) 미조직근로자 활동의 정당성 = 203
     2) 조합원활동의 정당성 = 203
    2. 목적에 따른 단체활동의 정당성 = 204
    3. 태양에 따른 정당성 = 204
     1) 취업시간 중 단체활동의 정당성 = 204
     2) 기업시설이용의 정당성 = 207
   Ⅲ. 단체활동의 보장 = 212
    1. 전임자의 인정 = 212
     1) 의의와 실태 = 212
     2) 근거 = 212
     3) 임금지급문제 = 213
     4) 전임자 이외의 단체활동보장 = 213
    2. 노조휴가 = 214
  제6절 노조의 조직변동 = 214
   Ⅰ. 서설 = 214
   Ⅱ. 노조의 해산 = 215
    1. 의의 = 215
    2. 사유와 절차 = 215
     1) 사유 = 215
     2) 절차와 효력의 발생시기 = 216
     3) 문제점 = 216
    3. 잔여재산의 귀속 = 217
   Ⅲ. 노조의 조직변경 = 218
    1. 서설 = 218
    2. 태양과 절차 = 218
    3. 신고 = 219
    4. 효과 = 219
   Ⅳ. 노조의 분할 = 220
   Ⅴ. 노조의 합병 = 221
 제3장 단체교섭법과 단체협약법
  제1절 단체교섭법 = 223
   Ⅰ. 서설 = 223
    1. 단체교섭의 의의 = 223
     1) 정의 = 223
     2) 내용 = 224
     3) 단체교섭의 성질과 법 = 224
     4) 단체교섭의 법적 취급 = 225
    2. 단체교섭의 형태와 기능 = 226
     1) 형태 = 226
     2) 기능 = 227
    3. 유사개념과의 구별 = 229
     1) 단체교섭과 단체협약 = 229
     2) 단체교섭과 경영참가 = 229
     3) 단체교섭과 노사협의 = 229
     4) 노사협의와 고충처리 = 230
     5) 단체교섭과 대중교섭 = 231
   Ⅱ. 단체교섭의 주체 = 231
    1. 당사자 = 231
     1) 근로자측 당사자 = 231
     2) 사용자측 당사자 = 235
    2. 담당자 = 236
     1) 근로자측 담당자 = 236
     2) 사용자측 담당자 = 241
   Ⅲ. 단체교섭의 대상 = 242
    1. 의의와 구별 = 242
     1) 교섭방식과 교섭사항 = 242
     2) 대상의 구별 = 243
    2. 구체적 사항 = 244
     1) 근로조건 기타의 여부 = 244
     2) 인사관계사항 = 245
     3) 경영·생산관계사항 = 246
     4) 노사관계의 운영에 관한 사항 = 247
     5) 단체교섭에 이미 정해진 사항 = 247
   Ⅳ. 단체교섭의 방법과 절차 = 249
    1. 방법 = 249
     1) 서면교환과 단체교섭 = 249
     2) 예비절충 = 249
     3) 교섭 룰의 설정 = 249
     4) 룰의 기본원칙 = 250
    2. 절차 = 250
     1) 교섭의 일정 = 250
     2) 교섭의 장소·시간의 설정 = 251
     3) 출석자와 인원수 = 251
     4) 단체교섭의 지원 = 251
   Ⅴ. 성실교섭의무와 단체교섭의 거부 = 251
    1. 성실교섭의무의 의의 = 251
    2. 사용자측의 성실교섭의무 = 252
     1) 내용 = 252
     2) 협의의 성실교섭의무 = 252
     3) 복수노조간의 단체교섭차별 = 253
     4) 단체교섭의 교착 = 254
     5) 협약화의 거부 = 255
     6) 근로조건의 일방적 변경과 개별교섭 = 255
     7) 단체행동 중의 단체교섭의무 = 256
    3. 근로자측의 성실교섭의무 = 256
   Ⅵ. 단체교섭거부의 구제 = 256
    1. 노동위원회에 의한 행정구제 = 256
     1) 부당노동행위 구제절차에 의한 구제 = 256
     2) 노동쟁의의 조정절차에 의한 구제 = 257
    2. 법원에 의한 사법구제 = 257
     1) 단체교섭청구권 = 257
     2) 단체교섭을 요구하는 법적 지위 = 258
     3) 단체교섭응낙 가처분 = 258
     4) 손해배상청구 = 260
  제2절 단체협약법 = 260
   Ⅰ. 서설 = 260
    1. 단체협약의 의의 = 260
     1) 정의 = 260
     2) 단체교섭의 형태와 단체협약 = 260
    2. 단체협약의 기능 = 262
    3. 단체협약의 법적 취급유형 = 262
    4. 한국 단체협약의 특징 = 263
    5. 단체협약의 법적 성질 = 264
     1) 서설 = 264
     2) 단체협약 자체의 법적 성질 = 265
     3) 규범적 효력부여의 법적 근거 = 266
     4) 규범적 효력의 내용 = 268
   Ⅱ. 단체협약의 성립요건 = 269
    1. 당사자 = 269
     1) 서설 = 269
     2) 노조 = 269
     3) 사용자 또는 그 단체 = 270
     4) 체결권한 = 271
    2. 내용 = 271
    3. 체결의 형식 = 271
     1) 서설 = 271
     2) 형태 = 272
     3) 신고 = 273
     4) 주지의무 = 273
    4. 유효기간 = 273
   Ⅲ. 단체협약의 효력 = 273
    1. 서설 = 273
    2. 규범적 효력 = 274
     1) 의의와 성질 = 274
     2) 유리원칙 = 277
     3) 규범적 부분의 범위 = 279
     4) 협약자치의 한계 = 284
     5) 규범적 효력의 인적 적용범위 = 287
     6) 규범적 효력과 실행의무 = 288
    3. 채무적 효력 = 289
     1) 의의와 법적 처리 = 289
     2) 채무적 부분 = 290
     3) 이행의무 = 290
     4) 평화의무·평화조항 = 293
   Ⅳ. 단체협약의 효력확장 = 297
    1. 의의 = 297
    2. 일반적 구속력 = 298
     1) 의의 = 298
     2) 요건 = 300
     3) 효과 = 302
     4) 특별한 경우 = 303
    3. 지역적 구속력 = 304
     1) 의의 = 304
     2) 요건 = 304
     3) 효과 = 304
     4) 특별한 경우 = 305
     5) 성질 = 305
   Ⅴ. 단체협약의 종료 = 306
    1. 종료사유 = 306
     1) 유효기간의 만료 = 306
     2) 당사자의 취소 = 309
     3) 해지·해제 = 309
     4) 목적의 달성 = 310
     5) 당사자의 변동 = 310
     6) 반대협약의 성립 = 311
     7) 행정관청에 의한 변경 또는 취소 = 311
    2. 단체협약종료 후의 근로관계와 단체관계 = 311
     1) 채무적 부분(노사관계) = 311
     2) 규범적 부분(근로관계) = 312
  제3절 노사협의회 = 313
   Ⅰ. 서설 = 313
    1. 의의와 기능 = 313
    2. 경영참가와 노사협의 = 314
    3. 정의 = 314
   Ⅱ. 노사협의회의 설치 = 314
   Ⅲ. 노사협의회의 구성 = 315
   Ⅳ. 노사협의회의 운영 = 316
   Ⅴ. 노사협의회의 임무 = 317
    1. 원칙 = 317
    2. 협의 = 317
    3. 의결 = 318
    4. 보고 = 319
   Ⅵ. 고충처리 = 319
   Ⅶ. 중앙노사정협의회 = 320
 제4장 단체행동법
  제1절 서론 = 323
   Ⅰ. 서설 = 323
    1. 단체행동 = 323
     1) 정의 = 323
     2) 정당성 = 324
     3) 집단성과 특수성 = 325
     4) 보편성과 특수성 = 325
    2. 단체행동법 = 327
     1) 서설 = 327
     2) 단체행동 인정의 의의 = 327
     3) 위법집단행위 = 328
     4) 단체행동에 대한 국가개입 = 328
     5) 이론대립의 격화 = 329
    3. 한국 단체행동법의 특수문제 = 329
     1) 복잡한 개념구조 = 329
     2) 노조법상의 쟁의행위 금지와 제한 = 339
   Ⅱ. 단체행동권 = 343
    1. 서설 = 343
     1) 헌법규정과 문제점 = 343
     2) 법적 보장의 연혁 = 343
    2. 성격과 이념 = 344
     1) 성격 = 344
     2) 이념 = 345
     3) 헌법 제33조의 특징 = 346
    3. 주체 = 347
     1) 의의 = 347
     2) 권리주체와 행사주체 = 347
     3) 쟁의단의 성격 = 348
    4. 효과 = 348
     1) 법령에 대한 효과 : 위헌의 근거 = 348
     2) 국가에 대한 효과 : 국가에 대한 노사자치의 준중과 중립의무 = 348
     3) 사용자에 대한 효과 : 민사법의 적용배제와 불이익처분의 금지 = 351
   Ⅲ. 단체행동권의 제한 및 금지 = 353
    1. 서설 = 353
     1) 헌법의 문제 = 353
     2) 제한 또는 금지된 단체행동의 정당성 = 353
     3) 쟁의행위의 제한 및 금지와 단체행동의 개념확정의 문제 = 354
    2. 헌법에 의한 제한 = 354
     1) 공무원에 대한 단체행동의 금지 = 354
     2) 국가, 지방자치단체 및 특별조치법에 의해 지정된 방위산업체에 종사하는 근로자에 대한 단체행동의 금지 = 356
     3) 전면금지법제의 위헌성과 입법적 해결의 필요성 = 357
     4) 한미행정협정에 의한 제한 = 357
    3. 노조법에 의한 제한 = 358
     1) 단체행동 자체의 제한 = 358
     2) 노동쟁의 조정절차상의 제한 = 367
    4. 단체협약에 의한 제한 = 371
     1) 의의와 태양 = 371
     2) 단체협약 위반의 쟁의행위와 정당성 = 372
     3) 단체협약 위반의 쟁의행위와 손해배상 = 373
  제2절 위법집단행위 = 374
   Ⅰ. 단체행동과 위법집단행위의 구별 = 374
    1. 서설 = 374
     1) 단체행동 정당성의 의의 = 374
     2) 정당성의 상대성 = 375
     3) 정당성에 관한 논의의 방법 = 376
     4) 정당성 판단의 방법 = 377
    2. 단체행동의 정당성 = 378
     1) 주체에 따른 정당성 = 378
     2) 목적에 따른 정당성 = 382
     3) 절차에 따른 정당성 = 389
     4) 수단에 따른 정당성 = 392
   Ⅱ. 위법집단행위에 대한 책임 = 400
    1. 형사책임 = 400
     1) 단순한 근로제공의 거부에 대한 형사책임 = 400
     2) 물리력이 수반되는 경우의 형사책임 = 400
     3) 법규위반의 형사책임 = 400
     4) 개인의 형사책임 = 401
    2. 민사책임 = 401
     1) 손해배상책임 귀속의 근거 = 401
     2) 개인책임론의 구조와 비판 = 406
     3) 단체책임론의 법적 구성 = 407
    3. 징계처분 = 409
     1) 징계처분의 가부 = 409
     2) 위법집단행위 자체의 참가를 이유로 한 징계처분 = 410
     3) 단체행동 중의 부수행위를 이유로 한 징계처분 = 411
     4) 위법집단행위에 대한 임원의 책임 = 411
    4. 위법집단행위와 가처분 = 412
  제3절 단체행동과 임금 = 413
   Ⅰ. 단체행동 참가자의 임금 = 413
    1. 파업시의 무노동 무임금 원칙과 예외 = 413
     1) 원칙과 근거 = 413
     2) 예외 = 414
    2. 파업시 임금공제의 범위 = 415
     1) 임금공제의 원칙 = 415
     2) 생활보조비적 성격의 수당공제문제 = 415
    3. 태업 등의 경우 = 416
   Ⅱ. 단체행동 불참자의 임금 = 417
    1. 단체행동 불참자 임금지급의 원칙과 근거 = 417
    2. 파업불참자와 휴업수당 = 417
  제4절 단체행동과 사용자 및 제3자 = 418
   Ⅰ. 단체행동에 대한 사용자의 대항행위 = 418
    1. 조업의 계속 = 418
     1) 조업의 자유 = 418
     2) 대체노동금지협정 = 419
    2. 직장폐쇄 = 420
     1) 서설 = 420
     2) 직장폐쇄와 임금 = 421
     3) 직장폐쇄와 출입금지 = 424
     4) 직장폐쇄의 종료시기 = 425
    3. 반피켓팅 = 425
   Ⅱ. 쟁의행위와 제3자 = 425
    1. 서설 = 425
    2. 제3자에 대한 근로자 및 노동조합의 책임 = 426
     1) 제3자에 대한 불법행위책임 = 426
     2) 법규위반의 단체행동 = 427
    3. 제3자에 대한 사용자의 책임 = 428
     1) 거래처에 대한 채무불이행책임 = 428
     2) 일반이용자에 대한 불법행위책임 = 429
  제5절 노동쟁의의 조정 = 430
   Ⅰ. 노동쟁의조정의 의의 = 430
    1. 필요성 = 430
    2. 종류와 한계 = 430
     1) 종류 = 430
     2) 한계 = 431
    3. 대상 = 431
     1) 일반대상 = 431
     2) 특별대상 : 공익사업 = 432
   Ⅱ. 노동쟁의조정의 원칙 = 443
    1. 자주조정존중의 원칙 = 443
     1) 당사자의 책무 : 자주조정기관의 설치 = 443
     2) 국가 등의 책무 = 443
     3) 자주적 조정과 노조법 = 434
    2. 신속처리의 원칙 = 434
    3. 노동쟁의 존재의 필요성 = 434
   Ⅲ. 노동쟁의조정의 절차 = 434
    1. 일반조정절차 = 435
     1) 조정 = 435
     2) 중재 = 438
    2. 특별조정절차 = 440
     1) 담당자 = 440
     2) 절차 = 441
     3) 효과 = 441
    3. 긴급조정절차 = 441
     1) 의의 = 441
     2) 요건 = 441
     3) 효과 = 442
     4) 담당기관과 조정절차 = 442
제5장 부당노동행위법
 제1절 서론 = 443
  Ⅰ. 부당노동행위법의 의의 = 443
   1. 노동단체권 침해에 대한 구제 = 443
   2. 사법적 구제 = 443
   3. 행정적 구제 = 444
   4. 형사처벌의 병용 = 444
  Ⅱ. 부당노동행위법의 연혁 = 444
   1. 1953년 노조법의 부당노동행위 규정 = 444
   2. 1963년 노조법 개정 이후 현행 부당노동행위 제도로의 개편 = 445
   3. 현행 노조법상의 부당노동행위제도 = 445
  Ⅲ. 부당노동행위법의 목적과 성격 = 446
   1. 목적 = 446
    1) 와그너법상의 목적 = 446
    2) 한국 헌법상의 목적 = 446
   2. 성격과 구제 = 447
   3. 보호대상인 노조의 범위 = 448
  Ⅳ. 부당노동행위법의 특수성 = 448
   1. 금지행위의 특수성 = 448
   2. 구제기관과 절차의 특수성 = 448
  Ⅴ. 부당노동행위법의 특색 = 449
   1. 내용의 특색 = 449
   2. 노위의 특색 = 449
   3. 구제절차의 특색 = 450
  Ⅵ. 부당노동행위 인정의 방법 = 450
 제2절 부당노동행위의 유형과 성립요건 = 450
  Ⅰ. 유형과 상호관계 = 450
   1. 유형 = 450
   2. 상호관계 = 451
  Ⅱ. 주체 = 451
   1. 주체의 범위 = 451
   2. 사용자의 개념 = 452
    1) 문제점 = 452
    2) 시간적 차원의 사용자개념 확대 = 452
    3) 공간적 차원의 사용자개념 확대 = 453
  Ⅲ. 불이익취급 = 455
   1. 보호대상 = 455
    1) 학설 = 455
    2) 검토 = 455
   2. 보호행위 = 456
    1) 노조에의 '가입' = 456
    2) 노조에 '가입하려고 하였거나' 그것을 '조직하고자 한 것' = 456
    3) '노동조합의 정당한 행위' = 457
   3. 인과관계 = 459
    1) 내용 = 459
    2) 원인의 경합 = 461
   4. 유형 = 461
    1) 종업원의 지위에 관한 불이익취급 = 462
    2) 인사상의 불이익취급 = 464
    3) 경제적 대우상의 불이익취급 = 464
    4) 종업원의 대우 및 기타의 불이익취급 = 464
   5. 특수유형 = 464
    1) 반조약계약 = 464
    2) 보복적 불이익취급 = 465
  Ⅳ. 단체교섭거부 = 465
   1. 의의 = 465
   2. 주체와 객체 = 466
    1) 주체 = 466
    2) 객체 = 466
   3. 태양 = 466
    1) 정당한 이유없는 단체교섭의 거부 = 466
    2) 성실교섭의무의 위반 = 467
  Ⅴ. 지배개입 = 467
   1. 의의 = 467
   2. 주체 = 467
   3. 의사 = 468
    1) 학설 = 468
    2) 검토 = 468
   4. 태양 = 469
    1) 사례 = 469
    2) 사용자의 의견의 표명과 지배개입 = 469
    3) 시설관리권의 행사와 지배개입 = 470
   5. 경비원조 = 471
    1) 법규정 = 471
    2) 경비원조에 해당되는 것 = 472
 제3절 부당노동행위의 구제절차 = 473
  Ⅰ. 서설 = 473
   1. 의의 = 473
    1) 노동단체권의 보장 = 473
    2) 부당노동행위제도의 이중성 = 473
   2. 특징 = 474
    1) 사법적 구제와의 차이와 경합 = 474
    2) 병용주의 : 형벌부과의 취지 = 476
    3) 부당노동행위 구제절차의 연혁과 비교 = 476
    4) 원상회복주의와 과벌주의의 차이 = 476
   3. 노동위원회의 판정적 기능과 관할 및 구조 = 477
  Ⅱ. 초심 = 477
   1. 관할 = 477
   2. 신청 = 477
    1) 방식 = 477
    2) 신청인 = 478
    3) 피신청인 = 479
    4) 신청기간 = 479
    5) 신청의 취하 = 479
   3. 심사 = 480
    1) 구조 = 480
    2) 조사 = 480
    3) 신청의 각하 = 480
    4) 심문 = 481
    5) 화해 = 482
   4. 합의 = 482
   5. 구제명령 = 482
    1) 발부 = 482
    2) 내용 = 483
    3) 한계 = 484
    4) 실효성의 확보 = 486
  Ⅲ. 재심사 = 487
   1. 의의 = 487
   2. 신청 = 487
   3. 절차 및 명령 = 487
  Ⅳ. 행정소송 = 488
   1. 의의 = 488
    1) 성질 = 488
    2) 사법심사의 범위 = 488
    3) 행정소송의 관할 = 488
   2. 대상 = 489
   3. 제소 = 489
    1) 제소기간 = 489
    2) 당사자 = 489
    3) 제소와 명령의 효력 = 489
   4. 긴급명령 = 490
    1) 의의 = 490
    2) 요건 = 490
    3) 효과 = 491
   5. 명령심사 = 491
   6. 판결의 확정과 심사절차의 재개 = 491
  Ⅴ. 부당노동행위의 사법심사 = 492
제6장 노동쟁송법
 제1절 노동쟁송 = 493
  Ⅰ. 노동쟁송의 처리기관 = 493
   1. 구조 = 493
   2. 법원 = 493
   3. 노동위원회 = 494
    1) 설치이유 = 494
    2) 기능 = 494
   4. 특질과 기능의 비교 = 495
  Ⅱ. 노동쟁송과 노사관계 = 496
   1. 노사관계에 대한 태도 = 496
    1) 법원의 태도 = 496
    2) 노동위원회의 태도 = 496
   2. 노동쟁송의 구체적 관계 = 496
    1) 노동쟁의 및 단체행동상의 쟁송 = 496
    2) 근로조건에 관한 분쟁 = 497
    3) 부당노동행위 = 497
   3. 노동쟁송처리의 원칙 = 497
    1) 노사의 실질적 평등구현 = 497
    2) 신속성과 신중성 = 498
    3) 노사관계의 실태파악 = 498
    4) 실질적 평등의 절차적 보상 = 498
 제2절 노동위원회 = 498
  Ⅰ. 노동위원회의 구성 = 498
   1. 종류 = 498
    1) 구조 = 498
    2) 일반 노동위원회 = 499
    3) 특별 노동위원회 = 499
   2. 구성 = 499
    1) 3자구성의 원칙 = 499
    2) 위원의 임명 = 500
    3) 위원의 임기·대우 및 신분보장 = 502
    4) 사무국 = 502
   3. 회의 = 503
    1) 구성과 처리사항 = 503
    2) 소집과 의결 = 504
  Ⅱ. 노동위원회의 권한과 의무 = 505
   1. 의의 = 505
   2. 조정권한 = 505
    1) 조정사항 = 505
    2) 조정권한 = 506
   3. 심판권한 = 506
    1) 의결권한 = 506
    2) 판정권한 = 507
   4. 기타 권한 = 508
   5. 의무 = 508
  Ⅲ. 노동위원회의 문제점 = 508
   1. 기존의 논의 = 508
    1) 판정적 권한의 처리문제 = 508
    2) 중립성의 문제 = 509
   2. 개혁과제 = 509
 제3절 법원 = 510
  Ⅰ. 노동소송의 개념 = 510
   1. 노동소송제도의 입법례 = 510
   2. 한국의 노동민사소송 = 510
  Ⅱ. 노동민사소송 = 512
   1. 범위 = 512
   2. 유형 = 512
    1) 근로자와 사용자 사이의 소송 = 512
    2) 노조와 사용자 사이의 소송 = 513
    3) 근로자(조합원)와 노조 사이의 소송 = 513
    4) 노조 상호간의 소송 = 513
    5) 제3자와 노조간의 소송 = 513
    6) 제3자와 사용자간의 소송 = 514
   3. 특색 = 514
    1) 전신적 소송 = 514
    2) 자주적 해결의 지향 = 514
    3) 신속한 해결의 필요 = 514
    4) 노사간의 실질적 평등의 고려 = 514
    5) 재판관 전문화의 요청 = 515
   4. 손해배상청구소송 = 515
    1) 청구와 답변 = 515
    2) 변론과 선고 = 515
   5. 노동민사소송과 가처분 = 516
    1) 서설 = 516
    2) 신중한 심리의 결여 = 516
    3) 노동가처분의 본안화현상 = 516
    4) 보전소송화 = 516
   6. 문제점 = 517
    1) 법원 = 517
    2) 소송비용 = 517
  Ⅲ. 노동형사소송 = 517
   1. 수사 = 517
    1) 수사의 개시 = 517
    2) 구속시의 문제 = 519
    3) 수사의 종결 = 519
   2. 재판과정 = 519
   3. 노동단체활동과 관련된 형사범죄의 처리 = 520
    1) 긴급구속사유 = 520
    2) 일반구속사유 = 520
찾아보기 = 523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