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72camccc200241 k 4500 | |
001 | 000045139504 | |
005 | 20100806075523 | |
007 | ta | |
008 | 030901s2002 ggka b HE 000a korBU | |
040 | ▼d 211009 | |
082 | 0 4 | ▼a 616.81 ▼2 20 |
090 | ▼a 616.81 ▼b 2002a | |
110 | ▼a 아주대학교 . ▼b 의과대학 . ▼b 뇌졸중 및 치매중재요법 연구센터 | |
245 | 1 0 | ▼a 뇌졸중과 치매의 모델제작, 제어 방법 및 기술, 예방 전략의 개발 / ▼d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뇌졸중 및 치매중재요법 연구센터 연구 ; ▼e 과학기술부 [편]. |
260 | ▼a [과천] : ▼b 과학기술부 , ▼c 2002. | |
300 | ▼a 38 p. : ▼b 삽도 ; ▼c 30 cm. | |
500 | ▼a 곽병주 책임연구 | |
500 | ▼a 요약문: p. 2-4 | |
500 | ▼a Summary: p. 5 | |
504 | ▼a 참고문헌: p. 34-38 | |
700 | 1 | ▼a 곽병주 |
710 | ▼b 과학기술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보존서고4/ | 청구기호 616.81 2002a | 등록번호 13101965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목차
제1장 서론(Introduction and Specific Aims of Study) = 9 제1절 연구 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9 1. 연구개발의 경제·사회·기술적 중요성 = 9 2. 연구개발의 범위 = 10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Trends in Technology Development) = 12 제1절 기술 개발 현황 = 12 제2절 국·내외 기술 개발 현황에서 차지하는 위치 = 1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Methods and Results) = 14 제1절 이론적, 실험적 접근방법 = 14 제2절 주요 결과 = 14 1. 뇌질환의 세포 배양 모델 및 동물 모델 구축 = 14 가. 세포배양 모델 구축 = 14 나. 신경세포 사멸에 관여하는 유전자 기능을 탐색하기 위한 CELL LINE 구축 = 17 다. 뇌졸중의 동물 모델 구축 = 17 라. 외상성 동물 모델 구축 = 17 2. 마이토콘드리아에 의한 뇌신경세포의 사멸 제어 = 18 3. Single cell RT-PCR 방법의 개발 = 18 4. Caspase 단백질 분해 효소의 뇌세포 특이적 기질 단백질 검색 = 20 5. 뇌세포 사멸 분석용 DNA microarray 개발 = 20 6. 알츠하이머 치매환자의 뇌 조직 확보 = 21 7. 국소적 뇌허혈 과정에서 일어나는 세포사멸에 관한 새로운 견해 제시 = 21 8. 노화에 따른 뇌신경 세포 사멸의 양상의 변화 = 22 9. 뇌세포 사멸시 Ca²의 역할에 대한 재조명 = 22 10. 뉴로트로핀의 양면성 = 23 11. 뉴로트로핀의 독성 기전 규명 = 24 12. 활성 산소에 의한 death signal cascade의 활성화 = 25 13. 뇌질환 동물 모델에서 활성 산소를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의 개발 = 25 14. NMDA와 AMPA/Kainate수용체의 dual antagonist인 complestatin (NET 98001)의 선상구조 유사체의 합성 및 약리학적 효능 확인 = 26 15. Book Chapter 출판 (chapter 5. Excitotoxicity, Oxidative stress, and Apoptosis in Iscemic Neuronal Death in "New concept in cerebral ischemia" CRC press) = 26 제3절 기타 계획하지 않은 연구성과 = 26 1. 활성 산소종에 의한 motor neuron (spinal cord)의 선택적 사멸 = 26 2. 항 조울증 약물인 lithium의 선택적 항고사 효과 및 작용 기전의 규명 = 27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Achievement and Contribution of Projects) = 29 제1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 29 제2절 대외 기여도 = 30 1. Homepage 운영 현황 = 30 2. 산학연 협력거점활동 = 30 3. 국내외 연구기관과의 협력 정도 = 30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Application and Perspectives of Achieved Results) = 32 제6장 참고문헌(References) = 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