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역자 서문 = 5
추천의 글 = 7
저자 서문 = 11
감사의 말 = 17
1부 서론
제1장 소아 강박장애에 대한 개념 = 31
진단과 평가 = 32
치료 = 39
요약 = 51
제2장 강박장애의 평가 = 53
평가 과정 = 54
강박장애 초기 평가에 사용되는 측정방법 = 60
피드백과 치료계획 = 61
요약 = 63
제3장 치료의 개관 = 65
이론적 근거 = 66
어휘 만들기 = 66
치료 과정의 변수 = 70
치료 프로토콜에 대한 요약 = 76
학술적인 고려 = 81
평가 = 87
인지 행동치료는 강박장애 증상들을 감소시켜 주는가? = 91
다음에 나오는 내용 = 92
2부 한 치료시간씩 진행되는 치료 프로그램
사례 = 95
제4장 치료시간 1 : 신경행동학적 체제 세우기 = 97
치료시간 1의 목표 = 97
공감적인 관계 형성 = 98
신경행동학적 체제 제공 = 98
치료과정에 대한 설명 = 102
이야기 은유법을 소개하기 = 107
발달학적 고려 = 107
부모 검진하기 = 108
평가 = 109
숙제 = 110
제5장 치료시간 2 : "도구세트(Tool Kit)" 소개하기 = 113
치료시간 2의 목표 = 113
숙제 검토 = 114
강박장애를 문제로 만들기 = 115
강박장애를 지도로 만들기 = 116
공포 온도계 소개하기 = 120
발달학적 고려 = 123
부모 검진하기 = 124
평가 = 125
숙제 = 125
제6장 치료시간 3 : 강박장애 지도 만들기 = 127
치료시간 3의 목표 = 127
숙제 검토 = 128
인지훈련 시작 = 128
보상 이용 학습 = 138
발달학적 고려 = 139
부모 검진하기 = 139
평가 = 140
숙제 = 140
제7장 치료시간 4 : 도구세트(Tool Kit) 완성하기 = 143
치료시간 4의 목적 = 144
숙제검토 = 144
전이구간을 완성시키기 = 145
도구세트를 완성시키기 = 146
노출작업을 시도하기 = 147
부모 검진하기 = 148
평가 = 148
숙제 = 149
제8장 치료시간 5 : 노출반응방지를 행동으로 하기 = 151
치료시간 5의 목표 = 152
숙제검토 = 152
가족과 함께 강박장애의 영향을 확인하기 = 153
증상위계를 새롭게 하기 = 154
노출/반응방지를 계속하기 = 154
발달학적 고려 = 160
부모 검진하기 = 161
평가 = 161
숙제 = 162
제9장 치료시간 6 : 노출/반응 방지 계속하기 = 163
치료시간 6의 목표 = 164
숙제검토 = 164
어려운 범위를 확인하기 = 164
치료자-도움에 의한 노출/반응 방지 계속하기 = 166
부모 검진하기 = 167
평가 = 167
숙제 = 167
제10장 치료시간 7 : 가족치료 시간 1 = 169
치료시간 7의 목표 = 170
숙제 검토 = 170
부모면담을 위한 배경 = 170
치료에 부모를 참여시키기 = 171
의식과 통지를 계획하기 = 179
발달학적 고려 = 179
평가 = 180
숙제 = 180
제11장 치료시간 8-11 : 자극위계로 올라가기 = 183
치료시간 8-11의 목표 = 184
숙제검토 = 184
보상, 의식과 통지에 대한 준비 = 184
동반이환과 치료 필요성에 대한 강조 = 185
치료자-도움에 의한 노출/반응 방지를 계속하기 = 187
발달학적 고려 = 187
부모 검진하기 = 188
평가 = 188
숙제 = 188
제12장 치료시간 12 : 가족치료시간 Ⅱ = 189
치료시간 12의 목표 = 190
숙제 검토 = 190
강박장애 지도를 고치기 = 192
소거과제를 시행하고 노출/반응방지를 지속하기 = 192
발달학적 고려 = 193
평가 = 193
숙제 = 194
제13장 치료시간 13-18 : 노출/반응방지 완성하기 = 195
치료시간 13-18의 목표 = 195
숙제와 전반적인 진행과정을 검토하기 = 196
안정 수준에 역점을 두어 다루기 = 196
어려운 노출/반응방지 과제를 선택하기 = 197
동반이환 = 199
부모 검진하기(부모의 노출/반응방지 목표를 선택하기) = 200
평가 = 201
숙제 = 202
제14장 치료시간 19 : 반응방지 = 203
치료시간 19의 목표 = 203
숙제 검토 = 204
반응방지에 대해 설명하기 = 204
상상노출을 촉진하기 = 204
치료 후에는 어떤 것들이 발생하게 되는가? = 206
부모 검진하기 = 207
평가 = 208
숙제 = 208
제15장 치료시간 20 : 졸업 = 209
치료시간 20의 목표 = 209
소아가 이룩한 성공에 대해 축하식을 해주기 = 210
성공에 대한 증명서를 수여하기 = 210
알리는 것에 대한 격려 = 210
부모 검진하기 = 211
평가 = 211
숙제 = 211
제16장 치료시간 21 : 추가 치료시간 = 213
치료시간 21의 목표 = 213
점검하기 = 214
도구세트 검토하기 = 214
부모 검진 = 214
평가 = 215
숙제 = 215
3부 조정하기
제17장 함정 = 219
치료자 요인 = 220
발달학적 요인 = 223
인지 행동 치료를 수행하는데 있어서 증상의 함정 = 224
약물에 대한 필요성 : 인지행동치료와 약물의 구분 = 230
동반이환 = 231
다양한 양식의 "팀" 치료 = 232
가족과 학교의 구속 = 233
제18장 특별한 정보 : 보조적 치료요법 = 235
불안조절 훈련(Anxiety Management Training) = 236
사고정지(Thought Stopping) = 240
포만기법(Satiation) = 242
집중실행(Massed Practice) = 242
습관반전(Habit Reversal) = 243
강박적 지연에 대한 중재 = 248
요약 = 252
제19장 가족과 함께 작업하기 = 253
강박장애가 가족도 속박한다 = 254
강박장애에서 가족개입의 정도를 평가하기 = 255
치료에서 가족 참여의 수준 = 257
소아의 주도권을 따르기 = 259
강박장애는 의미가 있다 = 260
수반관계(Contingency)요법의 역할 = 260
요약 = 262
제20장 학교와 함께 작업 : Gail Adams와 함께 = 263
학교 환경에서 강박장애를 인식하기 = 263
강박사고 = 264
강박사고의 행동적 양상 = 265
강박행동 = 266
동반이환질환 = 268
강박장애의 치료에 대한 학교관계자의 역할 = 269
학교 환경에서 강박장애 증상을 다루기 위한 제안 = 270
강박장애 소아, 청소년을 위한 교육적인 서비스 = 272
요약 = 273
부록 1. 유인물과 그림 = 275
유인물 1. 인지행동치료 프로그램 = 277
유인물 2. 지도 도해 = 278
유인물 3. 공포온도계 = 279
유인물 4. 증상 목록(자극위계) = 280
유인물 5. 숙제장 = 281
부록 2. 평가 도구 = 283
NIMH Global Obssesive-Compulsive Scale = 285
Clinical Global Impairement Scale = 286
Clinical Global Improvement Scale = 286
Children's Yale-Brown Obsessive Compulsive Scale = 287
Leyton Obsessional Inventory = 306
부록 3. 부모를 위한 안내서, 조언 = 309
안내서 = 309
단체 = 309
강박장애에 관한 출판물 = 310
다른 상황에 관한 출판물 = 311
부모를 위한 조언 = 316
치료를 위한 조언 = 318
"도구세트' = 321
아이가 강박장애를 "물리치는 것"을 도와주십시오 = 327
노출/반응방지와 보조를 맞추십시오 : 협력치료자 역할의 선택 = 329
재발방지 = 331
언제 치료가 끝나게 됩니까? = 332
강박장애에 대한 전문가 합의 치료지침 = 335
강박장애는 어떻게 치료되는가? = 340
교육 = 340
정신 치료 = 343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흔한 질문 = 346
약물 치료 = 347
유지 치료 = 354
지지 집단 = 3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