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韓國近代音樂史硏究

韓國近代音樂史硏究 (26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송방송
서명 / 저자사항
韓國近代音樂史硏究 / 宋芳松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민속원,   2003   (2007 2쇄)  
형태사항
879 p. : 삽도 ; 26 cm.
ISBN
8956381127 9788956381121
요약
Studies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music : p. 811-838
서지주기
참고문헌(p. 797-810)과 색인 포함
비통제주제어
한국음악, 근대음악사,,
000 00000nam c2200205 k 4500
001 000045138227
005 20220404100329
007 ta
008 040207s2003 ulka b 001a kor
020 ▼a 8956381127 ▼g 93670 : ▼c ₩55000
020 ▼a 9788956381121 ▼g 93670
035 ▼a KRIC09186378
040 ▼a 241008 ▼d 211009 ▼c 211009
082 0 4 ▼a 780.9519 ▼2 21 ▼a 780.953
090 ▼a 780.953 ▼b 2003a
100 1 ▼a 송방송 ▼0 AUTH(211009)18691
245 1 0 ▼a 韓國近代音樂史硏究 / ▼d 宋芳松 [지음].
260 ▼a 서울 : ▼b 민속원, ▼c 2003 ▼g (2007 2쇄)
300 ▼a 879 p. : ▼b 삽도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797-810)과 색인 포함
520 3 ▼a Studies in the modern history of Korean music : p. 811-838
653 ▼a 한국음악 ▼a 근대음악사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03a 등록번호 1113023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780.953 2003a 등록번호 1410394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53 2003a 등록번호 15135877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07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청구기호 780.953 2003a 등록번호 11130238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780.953 2003a 등록번호 14103949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2층)/ 청구기호 780.953 2003a 등록번호 151358774 도서상태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3-06-07 예약 예약가능 R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송방송(옮긴이)

일해一海 송방송宋芳松 학력 및 경력 1960~1965 서울대음대 국악과(학사) 1965~1968 서울대대학원 국악과(석사) 1968~1972 캐나다 토론토(Toronto)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학 1973~1975 미국 웨스레얀(Wesleyan)대 대학원(음악학박사(Ph.D.) 취득) 1975~1977 캐나다 맥길(McGill)대학교 음대 조교수 1978~1980 문화공보부 국립국악원 원장 1980~1998 영남대학교 음악대학 국악과 교수 및 음대학장 역임 1998~2008 한국예술종합학교 전통예술원 한국예술학과 교수 2008~2009 중앙대학교 초빙교수 2010~현재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 국문서 및 영문서 『朝鮮王朝呈才史硏究』. 서울: 보고사, 2013. 『한겨레음악대사전』. 서울: 보고사, 2012. (인터넷 네이버 사전에 탑재) 『한겨레음악인대사전』. 서울: 보고사, 2012. 『한국현대음악인사전』. 서울: 보고사, 2011. 『조선음악인열전』. 서울: 보고사, 2010. 『악학궤범용어총람』. 서울: 보고사, 2010. 『한국근대음악인사전』. 서울: 보고사, 2009. (문광부 우수도서 선정) 『궁중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 찾기』. 서울: 보고사, 2009. 『한국근대음악기사자료집:색인편』. 서울: 민속원, 2009. 『한국유성기음반총목록색인』. 서울: 민속원, 2008. 『한국전통음악의 전승양상』. 서울: 보고사, 2008. (문광부 우수도서 선정) 『의궤 속의 우리 춤과 음악을 찾아서』. 서울: 보고사, 2008.(2013년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우수도서 선정) 『增補韓國音樂通史』. 서울: 민속원, 2007. (문광부 우수도서 선정) 『韓國近代音樂史硏究』. 서울: 민속원, 2003.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한국음악학의 현단계』. 서울: 민속원, 2002. 『음악연구 어떻게 하는 것인가』. 서울: 음악춘추사, 2002. 『朝鮮朝音樂史硏究』. 서울: 민속원, 2001. 『韓國音樂史論叢』. 서울: 민속원, 1999. (학술원 우수도서 선정) 『韓國音樂學의 方向』. 서울: 도서출판 예솔, 1998. 『韓國音樂史論攷』. 경산: 영남대출판부, 1995. 『朝鮮王朝實錄音樂記事總索引』. 서울: 국립국악원, 1991. 『韓國音樂學序說』. 서울: 세광음악출판사, 1989. 『高麗音樂史硏究』. 서울: 일지사, 1988. 『韓國古代音樂史硏究』. 서울: 일지사, 1985. 『韓國音樂通史』. 서울: 일조각, 1984. 『韓國音樂史硏究』. 경산: 영남대출판부, 1982. 『韓國音樂學論著解題』. 성남: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樂掌謄錄硏究』. 경산: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1980. KOREAN MUSIC:Its Historical and Other Aspects. Seoul: Jimoonding Publishing Co., 2000. The Sanjo Tradition of Korean Kŏungo Music. Seoul: Jung Eum Sa, 1986. Source Readings in Korean Music. Seoul: Korean National Commission for UNESCO, 1980. The Korean-Canadian Folk Songs:An Ethnomusicological Study. Ottawa: National Museums of CANADA, 1974. An Annotated Bibliography of Korean Music. Providence, R.I: Asian Music Publications, Brown University, 1971.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책머리에 = ⅲ
표목차 = xi
本書 收錄 論文 發表誌名 = xviii
제1편 近代音樂硏究의 音樂社會史的 接近
 제1장 近現代音樂史의 總體的 視覺
  1. 머리말 : 현행 音樂史學의 限界性 克服을 위하여 = 3
  2. 日帝時代 音盤資料의 音樂社會學的 接近 = 5
  3. 콜럼비아音盤에 담긴 大衆歌謠의 音樂社會學的 點檢 = 7
  4. 맺는말 : 近代音樂史硏究의 總體的 視覺 = 31
 제2장 日帝前期의 音樂史硏究를 위한 試論
  1. 머리말 : 韓國古音盤硏究會와 집필동기 = 33
  2. 傳統聲樂의 갈래용어 검토 = 35
  3. 日蓄音盤에 출연한 名人의 갈래별 공연활동 = 50
  4. 맺는말 : 音盤資料의 重要性과 앞으로의 과제 = 70
 제3장 漢城妓生組合所의 藝術社會史的 照明
  1. 머리말 : 妓生組合 연구의 필요성과 과제 = 73
  2. 大韓帝國 末期의 시대배경과 음악상황 = 75
  3. 漢城妓生組合所의 설립 경위 = 78
  4. 漢城妓生組合所 소속 妓生의 공연활동 = 89
  5. 맺는말 : 漢城妓生組合所의 공연예술사적 위치 = 109
 제4장 韓國近代音樂史의 한 樣相
  1. 머리말 : 韓國音樂史에서 作曲家의 등장 = 111
  2. 新民謠 등장 이전의 사회 상황 = 113
  3. 新民謠의 기존 연구성과 및 갈래용어 검토 = 116
  4. 留聲器音盤의 新民謠 고찰 = 123
  5. 맺음말 : 新民謠 등장의 음악사적 의미 = 143
 제5장 日帝下 판소리의 傳承樣相
  1. 머리말 : 판소리의 근대 五名唱과 관련된 의문사항 = 155
  2. 『朝鮮唱劇史』에 나오는 五名唱의 판소리 = 157
  3. 京城放送局에 출연한 五名唱의 판소리 점검 = 159
  4. 音盤資料에 보이는 五名唱의 판소리 검토 = 176
  5. 맺는말 : 근대 五名唱의 판소리사적 공헌 = 187
 제6장 現行 十二雜歌와 短歌의 歷史的 照明
  1. 머리말 : 執筆背景과 본 연구의 한계성 = 189
  2. 1920년대 긴雜歌와 현행 十二雜歌의 비교고찰 = 190
  3. 1920년대의 短歌와 현행 短歌의 비교고찰 = 201
  4. 맺는말 : 현행 十二雜歌와 短歌의 남는 과제 = 210
 제7장 日帝初期 散調 放送의 한 樣相
  1. 머리말 : 音樂史料 索引의 중요성과 연구방법 = 212
  2. 京城放送局의 라디오에서 1920년대 방송된 散調 점검 = 214
  3. 1920년대의 散調放送에 출연한 명인 열전 = 221
  4. 맺는말 : 1920년대 散調의 새로운 이해 = 229
제2편 音樂社會史的 관점에서 본 近代音樂史의 樣相들
 제1장 1920년대 방송된 傳統音樂의 公演樣相
  1. 머리말 : 近代音樂史硏究의 현황과 과제 = 233
  2. 라디오 프로그램에 나타난 傳統音樂의 公演樣相 = 235
  3. 1920년대의 라디오방송에 출연한 전통음악인 = 248
  4. 맺는말 : 1920년대 방송된 傳統音樂의 음악사적 의미 = 268
 제2장 京城放送局에 출연한 藝妓의 공연활동
  1. 머리말 : 日帝時代 音樂史硏究의 현황과 과제 = 270
  2. 1910년대 京城府의 券番과 藝妓 개관 = 271
  3. 1920년대의 라디오방송에 출연한 藝妓와 전통음악 = 281
  4. 맺는말 : 1920년대 라디오방송과 藝妓의 새로운 이해 = 292
 제3장 日帝初期 傳統聲樂의 갈래 用語論
  1. 머리말 : 日帝時代의 음악사료와 집필배경 = 294
  2. 日帝初期에 사용된 傳統聲樂의 갈래용어 개관 = 295
  3. 1920년대 京城雜歌와 서울소리의 公演樣相 = 300
  4. 맺는말 : 1920년대 傳統聲樂의 갈래용어에 대한 새로운 이해 = 311
 제4장 新民謠歌手의 音樂社會史的 照明
  1. 머리말 : 한 大衆歌手의 訃告와 집필배경 = 313
  2. 1930年代 留聲器音盤의 新民謠歌手 개관 = 315
  3. 券番 출신 新民謠歌手의 공연활동 = 325
  4. 맺는말 : 新民謠歌手 등장의 음악사적 의미 = 364
 제5장 韓國近代洋樂史의 片鱗에 대하여
  1. 머리말 : 留聲器音盤資料와 집필동기 = 366
  2. 『朝鮮레코드總目錄』의 日蓄音盤 개관 = 367
  3. 日蓄音盤에 취임한 洋樂의 先驅者 = 373
  4. 맺는말 : 洋樂史硏究에서 音盤資料의 중요성 = 386
 제6장 1930年代 韓國洋樂史의 一局面
  1. 머리말 : 韓國洋樂史와 최초 流行歌手의 문제 = 338
  2. 『每日申報』를 통해 조명한 바리톤가수 蔡奎燁 = 390
  3. 留聲器音盤에 나타난 蔡奎燁의 음악활동 = 410
  4. 맺음말 : 韓國歌謠史 및 韓國洋樂史에서의 蔡奎燁 = 422
 제7장 洪蘭坡 童謠의 音樂史學的 再檢討
  1. 머리말 : 20세기 전반기 음악사연구와 音盤資料 = 424
  2. 洪蘭坡가 작곡한 童謠의 실증적 검토 = 426
  3. 맺음말 : 童謠 등장의 음악사적 의미 = 443
 제8장 1930年代 流行歌의 音樂社會史的 接近
  1. 머리말 : 韓國近代音樂史와 流行歌 = 445
  2. 일제시대 流行歌의 등장배경과 갈래용어 = 447
  3. 1930년대 流行歌의 음악사회사적 접근 = 453
  4. 맺는말 : 1930년대 流行歌의 새로운 이해 = 486
제3편 日帝强占期 傳統音樂의 名人·名唱論
 제1장 宋萬甲 명창의 音樂活動 小考
  1. 머리말 : 최근의 연구성과와 집필동기 = 533
  2. 宋萬甲의 일대기와 관련된 두 쟁점 = 534
  3. 1920∼30년대 宋萬甲 명창의 음악활동 = 539
  4. 맺는말 : 宋萬甲 음악활동의 음악사회사적 조명 = 560
 제2장 日帝强占期 李東伯 명창의 公演活動
  1. 머리말 : 집필배경과 연구목적 = 561
  2. 李東伯의 출생연도 및 출생지 재점검 = 562
  3. 일제강점기 李東伯이 전개한 공연활동 = 567
  4. 맺는말 : 李東伯의 음악활동에 대한 음악사적 조명 = 588
 제3장 金昌龍 명창의 音樂活動에 대한 文獻的 點檢
  1. 머리말 : 집필동기와 연구배경 = 590
  2. 라디오방송을 통한 金昌龍의 음악활동 = 591
  3. 金昌龍이 취입한 音盤資料의 갈래 검토 = 605
  4. 신문자료에 나오는 金昌龍관련의 기사 점검 = 611
  5. 맺는말 : 金昌龍의 업적에 대한 음악사적 조명 = 621
 제4장 젓대명인 朴鍾基의 公演活動
  1. 머리말 : 『韓國音樂通史』에서의 취약점 = 623
  2. 京城放送局에서의 방송활동 = 625
  3. 다른 자료에 보이는 朴鍾基의 공연활동 = 643
  4. 맺는말 : 朴鍾基의 공연활동에 대한 새로운 이해 = 657
 제5장 거문고명인 白樂俊과 가야금명인 丁南希
  1. 머리말 : 집필배경과 近代音樂史料 정리의 중요성 = 659
  2. 거문고산조의 창시자 白樂俊의 음악활동 = 660
  3. 伽倻琴散調 명인 丁南希의 음악활동 = 675
  4. 맺는말 : 白樂俊과 丁南希에 대한 새로운 이해 = 701
 제6장 일제 때 여류명창 金素姬의 公演活動
  1. 머리말 : 집필배경과 金素姬 명창의 약력 = 705
  2. 京城放送局자료에서 확인된 金素姬의 공연활동 = 709
  3. 留聲器音盤에 취입된 金素姬의 곡목 점검 = 719
  4. 신문기사에 나오는 金素姬의 공연활동 = 728
  5. 맺음말 : 金素姬의 업적이 지니는 근대음악사적 의미 = 735
 제7장 1930년대 藝妓 金雲仙의 공연활동
  1. 머리말 : 집필 배경과 연구방향 = 738
  2. 京城放送局에 출연한 金雲仙의 방송활동 = 739
  3. 음반자료 및 신문기사에 나타난 金雲仙의 음악활동 = 749
  4. 맺는말 : 金雲仙에 대한 근대음악사적 조명 = 765
 제8장 日帝强占期 朴綠珠 명창의 公演活動
  1. 머리말 : 집필동기 및 朴綠珠의 약력 = 767
  2. 방송자료와 음반자료에 나타난 朴綠珠의 공연활동 = 770
  3. 신문기사에 나오는 朴綠珠의 공연활동 = 783
  4. 맺음말 : 朴綠珠의 공연활동에 대한 음악사회학적 조명 = 794
참고문헌 = 794
영문초록 = 794
용어색인 = 794
곡명색인 = 794
인명색인 = 794
책명색인 = 79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