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독설의 팡세

독설의 팡세 (Loan 45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Cioran, E. M. (Emile M.), 1911-1995 김정숙, 역
Title Statement
독설의 팡세 / 에밀 시오랑 지음 ; 김정숙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파주 :   문학동네,   2004  
Physical Medium
191 p. ; 20 cm
Series Statement
문학동네 교양선
Varied Title
Syllogismes de l'amertume
ISBN
8982818952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137656
005 20170501103303
007 ta
008 041209s2004 ggk 000ce kor
020 ▼a 8982818952 ▼g 0386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041 1 ▼a kor ▼h fre
082 0 4 ▼a 844.914 ▼2 21
085 ▼a 844.9 ▼2 DDCK
090 ▼a 844.9 ▼b C576 독
100 1 ▼a Cioran, E. M. ▼q (Emile M.), ▼d 1911-1995 ▼0 AUTH(211009)120626
245 1 0 ▼a 독설의 팡세 / ▼d 에밀 시오랑 지음 ; ▼e 김정숙 옮김
246 1 9 ▼a Syllogismes de l'amertume
260 ▼a 파주 : ▼b 문학동네, ▼c 2004
300 ▼a 191 p. ; ▼c 20 cm
440 0 0 ▼a 문학동네 교양선
700 1 ▼a 김정숙, ▼e▼0 AUTH(211009)84633
900 1 0 ▼a 시오랑, 에밀, ▼e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44.9 C576 독 Accession No. 11142006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44.9 C576 독 Accession No. 1114200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44.9 C576 독 Accession No. 15116616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44.9 C576 독 Accession No. 15116616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44.9 C576 독 Accession No. 11142006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Call Number 844.9 C576 독 Accession No. 11142006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44.9 C576 독 Accession No. 15116616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2/ Call Number 844.9 C576 독 Accession No. 15116616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절망과 허무의 철학자, 20세기의 가장 뛰어난 산문가인 에밀 시오랑의 잠언집. 에밀 시오랑이 프랑스어로 발표한 두번째 책으로 1952년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처음 출간되었으며, 국내에는 처음으로 소개된다.

이 책은 에밀 시오랑이 프랑스어로 쓴 첫 책 <해체의 개설>과 마찬가지로 출간 직후 평단으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나 대중적 인기와 판매로 이어지지는 못하다가, 시간이 흘러 작가가 언론과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면서 20여 년 뒤(1976년) 문고판으로 재출간되어 뒤늦게 대중적으로 커다란 성공을 거둔 흔치 않은 사연을 지닌 책이기도 하다.

'언어의 위축'에서 시작하여 마지막장 '공허의 근원에서'까지 모두 10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들은 극도로 절제된 단상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어느 곳을 펼쳐 읽어도 작가의 심오하고 통찰력 넘치는 정신세계와 삶에 대한 대담하고 치명적인 진실을 엿볼 수 있다.

동서양의 역사, 철학, 언어의 특성, 사랑에 대한 고찰은 물론, 셰익스피어, 괴테 등의 문학작품,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 등의 음악에 대한 감상, 서양 사회가 내포하고 있는 폐해에 이르기까지, 저자의 관심은 우리 삶의 중심부와 변두리를 종횡무진 가로지른다.

인간 조건의 부조리를 파헤치는 냉소와 허무의 지성

절망과 허무의 철학자, 20세기의 가장 뛰어난 산문가인 에밀 시오랑의 잠언집 『독설의 팡세』가 출간되었다. 시오랑은 루마니아에서 태어나 철학을 공부했고, 으젠 이오네스코, 미르치아 엘리아데와 함께 루마니아 문학의 새로운 희망으로 기대를 한몸에 받다가, 1937년 프랑스로 이주한 뒤 사망할 때까지 프랑스에 머무르며 프랑스어로 글을 발표한 독특한 이력의 문필가이다. 그는 생전에 “사르트르 이후 프랑스 최고의 지성”이라 일컬어졌고 “프랑스어를 가장 아름답게 구사하는 산문가”라는 명성을 얻었다. 인간의 비극적 조건, 삶에 대한 허무와 절망을 특유의 아포리즘과 아름다운 문장으로 표현해내어 생트 뵈브 상, 콩바 상, 니미에 상 등 각종 문학상의 수상자로 선정되었으나, 수상을 거부하고 세상으로부터 자신을 철저히 격리시킨 채 집필에만 몰두하며 은둔의 삶을 살다 간 작가로도 유명하다. 『독설의 팡세』는 그가 프랑스어로 발표한 두번째 책으로 1952년 갈리마르 출판사에서 처음 출간되었으며, 국내에는 이번에 처음으로 소개된다. 이 책은 그가 프랑스어로 쓴 첫 책 『해체의 개설』과 마찬가지로 출간 직후 평단으로부터 호평을 받았으나 대중적 인기와 판매로 이어지지는 못하다가, 시간이 흘러 작가가 언론과 대중의 주목을 받기 시작하면서 20여 년 뒤(1976년) 문고판으로 재출간되어 뒤늦게 대중적으로 커다란 성공을 거둔 흔치 않은 사연을 지닌 책이기도 하다.

삶의 본질을 근원까지 파헤치는 역설과 희망의 아포리즘

『독설의 팡세』는 「언어의 위축」에서 시작하여 마지막장 「공허의 근원에서」까지 모두 10개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각 장들은 극도로 절제된 단상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어느 곳을 펼쳐 읽어도 작가의 심오하고 통찰력 넘치는 정신세계와 삶에 대한 대담하고 치명적인 진실을 엿볼 수 있다. 동서양의 역사, 철학, 언어의 특성, 사랑에 대한 고찰은 물론, 셰익스피어, 괴테 등의 문학작품, 바흐, 모차르트, 베토벤 등의 음악에 대한 감상, 서양 사회가 내포하고 있는 폐해에 이르기까지, 저자의 관심은 우리 삶의 중심부와 변두리를 종횡무진 가로지른다. 그런데 제목 ‘독설의 팡세’에서 미루어 짐작할 수 있듯이, 그것을 제시하는 방식이 심각하면서도 동시에 우스꽝스럽다. 그는 자신의 사고를 매우 집약적이고 분절된 형태로 제시한다. 첫 문단부터 마지막 문단까지, 고뇌와 웃음이라는 이중의 특권을 유지하려는 강박관념이 등장한다. 그는 반항이 유머에, 일종의 평온함에 자리를 양보하는 가운데 시대와 역사, 그리고 인간에 대해 두루 살핀다. 그러나 그는 허무적이고 염세적인 태도로 우리가 사는 이 세계를 제시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계에 대한 사고를 극단까지 펼침으로써 역설적으로 삶에 대한 지극한 열정과 희망을 표현하고 있다. 치명적이고 차가운 진실을 똑바로 대면하는 용기와 사색의 결과물을 정확하면서도 우아한 문장으로 표현해내는 능력이 읽는 사람에게 강하면서도 깊은 여운을 남긴다. 『독설의 팡세』는 삶에 대한 깊은 사색의 열매를 품위 있는 문체로 풀어놓은 요즘 보기 드문 철학적 잠언집이다. 투신 자살을 하려고 강으로 가던 사람이 잠시 책방에 들렀다가 시오랑의 단상들을 읽고 자살 의지를 꺾었다는 일화가 말해주는 것처럼, 고된 삶 속에서 새로운 희망과 열정을 끌어올려주는 책이기도 하다. “삶이란 근본적인 오류를 논하기 이전에 죽음으로도, 그리고 시의 세계로도 교정할 수 없는 저질 취미에 속한다.” “열정을 느끼는 대상이 막연한 것일수록 그 열정은 인간을 파멸시킨다. 내 열정의 대상은 권태다. 나는 그 막연함에 압도되고 말았다.” “동양은 꽃과 체념에 기울어져 있다. 우리는 그 동양과 대립하여 기계와 노력, 그리고 그 광적인 우울함을 내세운다. 서양의 마지막 발악이다.” “자신의 적들을 더이상 선택하지 않는 순간, 자신이 갖고 있는 적들로 만족하는 순간, 젊음은 끝난 것이다.” “자살에 대한 반박: 우리의 슬픔에 그리도 기꺼이 봉사했던 이 세계를 버린다는 것은 얼마나 무례한 일인가!” “심한 시련 속에서는 복음서보다 담배가 우리에게 더 효과적인 도움이 된다.” “사랑의 기술이란, 아네모네 꽃의 조심스러운 사려에 흡혈귀 같은 기질을 결합할 줄 아는 것이다.” “바흐가 없었다면 신학의 탐구 대상은 없었을 것이다. 천지창조는 허구이며, 시효를 상실한 공허였을 것이다.” “우리가 음악을 통해 시간의 감촉을 느끼지 못한다면 그건 진정한 음악이 아니다.” “전쟁에 대한 책―클라우제비츠의 책―은 레닌과 히틀러의 애독서였다. 그런데도 이 세기가 왜 유죄를 선고받았는지 자문하고 있는가?” “인간이라는 종족이 그토록 성실하게 어리석지 않았더라면 한 세대를 넘어 버틸 수 있었을까?” ―본문 중에서 “20세기의 가장 풍부한 정신의 소유자.” 르 피가로 “시오랑은 전혀 다른 사고를 음미하는 희귀한 기쁨과, 경쾌한 문체를 천천히 읽는 기분 좋은 독서의 기회를 우리에게 선사한다.” 장 프랑수아 르벨(철학자)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에밀 시오랑(지은이)

“언어를 바꾸면서 나는 내 인생의 한 시절과 결별했다.” 모국어인 루마니아어를 버리고 사유한 모든 것을 프랑스어로 옮겨놓은 허무주의 철학자이자 작가. 시오랑은 제1차세계대전이 시작되기 조금 전, 1911년 카르파티아산맥 작은 마을 트란실바니아에서 태어났다. 당시 트란실바니아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왕국에 속해 있었는데, 아버지 에밀리안 시오랑은 조국이 헝가리화되는 데 대한 저항의 표시로 자식들에게 라틴어 이름을 지어주었다. 시오랑은 우수적 기질을 이미 드러내 보이긴 했지만 행복했던 어린 시절을 보낸다. 1928년 루마니아 부쿠레슈티 철학과에 입학한 시오랑은 불면증과 자살에 대한 충동에 시달렸는데, 당시의 자신에 대해 끝없는 불면으로 기진맥진한 반항아였다고 회고한다. 니체나 쇼펜하우어에 심취했던 시오랑은 1934년 첫 작품 『해뜨기 전이 가장 어둡다』(원제: Sur les cimes du desespoir)를 출간, 신예 작가들에게 주는 루마니아 왕립 아카데미상을 받으며 “장래가 촉망되는 작가”로 문단의 주목을 받는다. 그의 저서로는 『패자들의 애독서』, 『독설의 팡세』, 『존재의 유혹』, 『해체의 개설』, 『태어났음의 불편함』, 『고백과 저주』 등이 있다. 1987년 『고백과 저주』를 끝으로 절필했으며, 1995년 파리에서 생을 마감한다. 『역사와 유토피아』는 1950년대 후반 당시의 정치와 역사, 유토피아에 대한 시오랑의 도발적인 견해로, 1960년 출간되어 프랑스어권 독자들에게 강한 인상을 남긴 작품이다.

김정숙(옮긴이)

전북 정읍 출생. 한신대학교 문예창작대학원 석사과정 수료. 1993년 계간 『시와 사회』 겨울호 등단. 시집 『하늘 자물쇠』 『슬픈 자유』 『널 소유하지 않으면서 또한 소유하는』 출간. 한국어교육지도사, 사회복지사.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언어의 위축 = 7
심연의 도둑 = 31
시간과 빈혈 = 54
서양 사회 = 70
고독의 서커스 = 85
종교 = 111
사랑의 생명력 = 128
음악에 대하여 = 138
역사의 현기증 = 144
공허의 근원에서 = 160
에밀 시오랑 연보 = 181
역자 후기 : 신비로운 역설을 빚는 절망의 노래 = 18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Sansot, Pierre (2023)
Camus, Albert (2023)
Quignard, Pascal (2023)
Desan, Philippe (2022)
Montaigne, Michel de (2023)
Saint-Exupéry, Antonie d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