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역사와 계급의식: 맑스주의 변증법연구 개정2판

역사와 계급의식: 맑스주의 변증법연구 개정2판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Lukacs, Georg 박정호 , 역 조만영 , 역
서명 / 저자사항
역사와 계급의식: 맑스주의 변증법연구 / 게오르그 루카치 지음 ; 박정호 ; 조만영 [공]옮김.
판사항
개정2판
발행사항
서울 :   거름 ,   1997.  
형태사항
494 p. ; 23 cm.
총서사항
거름아카데미 ; 001
원표제
Geschichte und KlassenbewuBtsein,studien uber marxistische dialektik
ISBN
8934000376
000 00806namccc200265 k 4500
001 000045137407
005 20100806072152
007 ta
008 041209s1997 ulk 000a kor
020 ▼a 8934000376 ▼g 93130: ▼c ₩1500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41 1 ▼a kor ▼h ger
082 0 4 ▼a 335.41 ▼2 21
090 ▼a 335.41 ▼b 1997
100 1 ▼a Lukacs, Georg ▼0 AUTH(211009)126481
245 1 0 ▼a 역사와 계급의식: ▼b 맑스주의 변증법연구 / ▼d 게오르그 루카치 지음 ; ▼e 박정호 ; ▼e 조만영 [공]옮김.
246 1 9 ▼a Geschichte und KlassenbewuBtsein,studien uber marxistische dialektik
250 ▼a 개정2판
260 ▼a 서울 : ▼b 거름 , ▼c 1997.
300 ▼a 494 p. ; ▼c 23 cm.
490 0 0 ▼a 거름아카데미 ; ▼v 001
700 1 ▼a 박정호 , ▼e▼0 AUTH(211009)144168
700 1 ▼a 조만영 , ▼e▼0 AUTH(211009)100294
900 ▼a 루카치, 게오르그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민족문화연구원/ 청구기호 335.41 1997 등록번호 192030140 도서상태 대출불가(자료실)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게오르크 루카치(지은이)

1885년 4월 13일 헝가리 부다페스트의 유대계 은행가 집안에서 태어난 루카치는, 한 사람에게서 나온 것이라 믿기 어려울 정도로 다채로운 언어와 폭넓은 사유를 이 세상에 남겼다. 약관을 갓 넘은 나이에 집필하기 시작한 글들로 구성된 『영혼과 형식』으로 현대 실존주의의 원형을 제시한 그는, 몇 년 뒤 발표한 『소설의 이론』을 통해서는 형식과 역사의 내적 연관성을 중시하는 소설론 계보의 초석을 놓았다. 그가 혁명적 공산주의자로 삶의 양식과 세계관을 통째로 바꾼 뒤 본격적으로 매진한 마르크스주의 연구와 정치적 실천 경험이 바탕에 놓인 『역사와 계급의식』은, 그에게 “서구 마르크스주의의 창시자”라는 위명을 부여했다. 1920년대 말 헝가리 공산당 내 분파투쟁에서 패한 뒤 정치일선에서 물러난 그는, 이론적.비평적 작업을 통해 공산주의 운동에 복무하는 이데올로그로서의 삶을 살아나갔다. 1930~40년대에 그는 “위대한 리얼리즘”에 대한 요구로 수렴되는 문학담론과 『청년 헤겔』, 『이성의 파괴』 등의 집필을 통해 명시적으로는 파시즘 및 그것으로 귀결되는 서구의 비합리주의 전통에 맞서면서, 은밀하게는 진정한 마르크스주의적 요소를 스탈린주의적 왜곡으로부터 지키고자 했다. 1950년대 중반부터 루카치는 스탈린주의와의 근본적 단절과 마르크스주의의 르네상스를 기치로 내걸고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이론적 작업에 들어갔다. 이에 따른 성과는 미학에서 『미적인 것의 고유성』과 『미학의 범주로서의 특수성』으로, 철학에서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을 위하여』와 『사회적 존재의 존재론을 위한 프롤레고메나』로 묶였다. 그리고 이러한 작업의 연장선상에서, 정치적 제안인 『사회주의와 민주화』와 문학비평인 『솔제니친』이 태어났다. 그의 “삶으로서의 사유”, “사유로서의 삶”은 1971년 6월 4일, 그의 죽음으로 대단원의 막을 내렸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서론(1967) = 9

서문(1922) = 49

제1장 정통 맑스주의란 무엇인가 = 59

 1. 이론과 실천: 변증법적 방법의 의미 = 62

 2. 사실과 총체성: 자연과학과 변증법 = 67

 3. 변증법적 방법과 속류 맑스주의적 방법 = 73

 4. 현실적 문제: 헤겔과 맑스 = 81

 5. 의식과 존재: 사적 유물론과 프롤레타리아트 = 85

제2장 맑스주의자로서의 로자 룩셈부르크 = 93

 1. 맑스주의에서의 총체성 = 95

 2. 맑스주의의 속류화 = 98

 3. (자본축적론)의 문제사적 서술 = 103

 4. 룩셈부르크에서의 당과 혁명 = 109

제3장 계급의식 = 119

 1. 계급의식이란 무엇인가 = 122

 2. 전자본주의 사회와 자본주의 사회에서의 계급의식 = 132

 3. 부르조아지와 소부르조아지의 계급의식 = 138

 4. 속류 맑스 주의자의 계급의식 = 150

 5. 프롤레타리아트의 계급의식: 경제투쟁과 정치투쟁 = 154

제4장 사물화와 프롤레타리아트의 인식 = 169

 제1절 사물화 현상 = 172

  1. 상품구조와 사물화 = 172

  2. 사물화와 합리화 = 183

  3. 사물화와 과학 = 196

 제2절 부르조아 사유의 이율배반 = 206

  1. 인식원리의 이율배반 = 207

  2. 실천원리의 이율배반 = 221

  3. 예술원리의 이율배반 = 239

  4. 모순의 변증법적 극복: 역사적 생성의 입장 = 247

 제3절 프롤레타리아트의 입장 = 259

  1. 직접성과 매개의 변증법 = 260

  2. 질과 양 = 272

  3. 고정성과 과정성 = 289

  4. 경험적 사실과 발전적 경향 = 300

  5. 상대주의와 역사변증법 = 306

  6. 이론의 실천으로서의 전화 = 322

제5장 사적 유물론과 기능변화 = 337

제6장 합법성과 비합법성 = 377

 1. 혁명과정에서의 이데올로기 문제 = 380

 2. 법률과 전술 = 385

 3. 프롤레타리아독재기의 합법성 문제 = 391

제7장 로자 룩셈부르크의(러시아 혁명 비판)에 대한 비판적 고찰 = 397

 1. 프롤레타리아혁명의 성격: 농업문제와 관련하여 = 401

 2. 프롤레타리아혁명의 성격: 민족문제와 관련하여 = 405

 3. 역사발전의 유기적 성격과 폭력적 성격 = 409

 4. 프롤레타리아혁명에서의 국가의 역할 = 413

 5. 당 조직의 문제: 기회주의와의 투쟁의 문제 = 418

 6. 조직문제의 전술적·정치적 결과 = 424

 7. 프롤레타리아독재기의 자유의 문제 = 428

제8장 조직문제의 방법론 = 435

 1. 조직문제의 의의 = 437

 2. 자연발생성과 의식성: 필연성과 자유 = 447

 3. 당과 당원의 관계: 규율의 의의 = 463

 4. 당과 계급의 관계 = 471

 5. 전술과 조직 = 482

역자후기 = 49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