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 = 15
1. 교육과정의 정의와 이미지 = 15
1) 교과목 혹은 교과에 담긴 내용 = 16
2) 학교의 지도 아래 학생이 겪는 실제 경험 = 16
3) 계획된 활동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 17
4) 수행할 일련의 과제 = 17
5) 의도한 학습결과 = 18
6) 문화적 재생산의 도구 = 18
7) 사회재건을 위한 의제(agenda) = 18
8) 학생의 삶에 대한 해석과 전망 = 18
9) 은유 = 19
2. 교육과정의 유사용어 = 19
1) 스코프와 시켄스 = 19
2) 강의요목 = 20
3) 내용개요 = 20
4) 교과서 = 20
5) 교수요목(course of study) = 21
6) 계획된 학습경험 = 22
3. 교육과정의 영역 = 22
1) 교육과정의 기초 = 22
2) 교육과정 설계 = 23
3) 교육과정 구성 = 23
4) 교육과정 개발 = 24
5) 교육과정 실행 = 25
6) 교육과정 공학 = 26
7) 교육과정 개선과 변화 = 26
제2장 교육과정의 역사와 유형 = 29
1. 교육과정의 역사 = 30
1)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초 = 30
2) Bobbitt의 교육과정 구성 = 32
3) 교과와 경험의 대립 : Dewey의 교육과정 이론 = 33
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등장 : 교과의 새로운 부활 = 34
5) 한국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 35
2. 교육과정의 유형 = 55
1) 개념상의 유형 = 55
2) 의사결정 수준상의 유형 = 57
3) 내용조직상의 유형 = 60
제3장 교육과정의 이론과 다양한 관점 = 73
1. 교육과정의 이론 = 74
1) 형식도야이론 = 74
2) Tyler 이론 = 76
3) Dewey의 경험 교육과정 = 77
4) Bruner의 지식의 구조 = 79
5) Pinar의 재개념주의 : 쿠레레로서의 교육과정 = 84
2. 교육과정의 다양한 관점 = 85
1) 교육과정의 정치경제학 = 85
2) 지식사회학적 접근 = 86
3) 현상학적 접근 = 87
4) 해설학적 접근 = 87
5) 교육과정의 미학적 접근 = 88
제4장 교육과정의 설계 = 93
1. 교육과정 설계의 개념 = 94
2. 교육과정 설계의 구조 = 95
1) 스코프 = 96
2) 계열 = 96
3) 계속성 = 97
4) 통합성 = 98
5) 연계성 = 99
6) 균형성 = 99
3. 대표적 교육과정 설계 유형 = 100
1) 교과중심 설계 = 100
2) 학습자 중심 설계 = 102
3) 문제중심 설계 = 104
제5장 교육과정 개발 = 109
1. 교육과정 개발의 이해 = 110
1)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과 기초 = 110
2) 개발 모형 = 112
3) 개발의 과정 = 129
4) 단원의 구성 = 196
2.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 200
1) 국가수준 교육과정 = 202
2) 지역수준 교육과정 = 210
3) 학교수준 교육과정 = 213
4) 교사수준 교육과정 = 214
3.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214
1)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 214
2) 학교 교육과정의 실제 = 216
제6장 교육과정 실행 및 운영 = 229
1. 교육과정 실행 = 230
1) 교육과정 실행의 개념 = 230
2) 교육과정 실행의 성격 = 231
3) 교육과정 실행의 극단적 견해 = 233
4)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34
5)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 = 234
2. 교육과정의 운영 = 239
1) 운영의 의미 = 239
2) 교육과정 운영과 교사 = 240
3. 교사의 역할과 운영 수준 = 241
1) 실행의 관점에 따른 역할 = 241
2) 교사의 관심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수준 = 242
4. 교육과정과 수업 = 245
1)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 = 245
2)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에 대한 오해 = 247
제7장 교육과정 평가 = 253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254
2. 교육과정 평가의 쟁점과 성격 = 256
1) 교육과정 평가의 쟁점 = 256
2) 교육과정 평가의 성격 = 257
3. 교육과정 평가의 모형 = 258
1) 목표지향 모형 = 259
2) 판단지향 모형 = 261
3) 의사결정지향 모형 = 263
4) 자연주의 모형 = 265
제8장 교육과정의 최근 동향 = 269
1. 교육과정 차별화 = 270
2.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 272
1) 학습자에게 선택의 권한을 부여 = 273
2) 학습자의 필요(needs) 반영 = 274
3) 학습자의 적성, 호기심, 관심사 반영 = 275
3. 구성주의 교육과정 = 276
1) 지식은 인식의 주체에 의해 구성된다 = 276
2) 지식은 맥락적이다 = 276
3) 지식은 사회적 협상을 통해 형성된다 = 277
4. 선택 교육과정 = 278
1) 교육과정의 구조 = 278
2) 선택권한의 배분 = 280
3) 교과목 이수체계 = 282
4) 운영상의 주요 특징 = 284
5. 통합교육과정 = 286
1) 교육과정 통합의 개념 = 286
2) 교육과정 통합의 접근법 = 288
6. 기준 교육과정 운동 = 293
제9장 교육평가의 의미 = 301
1. 교육평가의 개념 = 301
1) 교육평가의 정의 = 302
2) 교육평가의 구성요소 = 304
2. 교육평가와 관련된 용어의 이해 = 306
1) 측정 = 306
2) 사정 = 307
3) 검사 = 308
3. 교육평가의 역사 = 309
1) 서구에서 교육평가의 역사 = 309
2) 우리나라에서 교육평가의 역사 = 311
4. 교육평가의 기능 = 313
1) 형성적 기능 = 314
2) 총괄적 기능 = 314
3) 전략적 기능 = 315
5. 교육평가의 유형 = 316
1) 평가대상에 따른 유형 = 316
2) 평가영역에 따른 유형 = 318
3) 평가기능에 따른 유형 = 319
4) 평가기준에 따른 유형 = 323
5) 평가방법에 따른 유형 = 328
제10장 교육평가의 일반적 절차 = 333
1. 평가목적의 확인 = 333
2. 평가영역 및 내용의 선정 = 334
3. 평가방법의 결정 = 335
4. 평가도구의 선정 및 개발 = 335
5. 평가시행을 위한 계획 수립 = 336
6. 평가환경의 구축 = 337
7. 자료의 수집 = 338
8. 자료의 분석 = 338
9. 평가결과에 대한 해석 = 339
10. 평가결과의 보고 = 340
1) 서식이 있을 때 = 341
2) 서식이 없을 때 = 341
11. 평가결과의 활용 = 341
12. 메타평가 = 342
제11장 교육평가 방법과 도구 = 347
1. 관찰법 = 348
1) 의미 = 348
2) 장단점 = 348
3) 사용 시 유의사항 = 349
4) 도구 = 350
2. 면접법 = 354
1) 의미 = 354
2) 종류 = 354
3) 장단점 = 355
4) 사용 시 유의사항 = 356
5) 도구 = 356
3. 조사법 = 357
1) 의미 = 357
2) 장단점 = 357
3) 사용 시 유의사항 = 358
4) 도구 = 358
4. 검사법 = 363
1) 의미 = 363
2) 장단점 = 363
3) 도구 = 363
제12장 교수-학습에서 검사 = 367
1. 교수-학습에서 검사의 계획 = 368
1) 검사제작의 일반적 절차 = 368
2) 검사제작의 계획 = 370
2. 검사문항의 작성 = 377
1) 검사문항의 유형 = 378
제13장 수행평가 = 389
1. 수행평가의 개념 = 390
1) 수행평가의 등장 배경 = 390
2) 수행평가의 의미 = 393
3) 수행평가의 특징 = 395
2. 수행평가의 방법 = 397
1) 일반적 절차 = 397
2) 평가기법 = 397
3. 수행평가의 예 = 401
1) 고등학교 국어과 수행평가의 예 = 401
2) 고등학교 과학과 수행평가의 예 = 405
제14장 검사도구의 구비조건 = 411
1. 신뢰도 = 412
1) 의미 = 412
2) 신뢰도 추정방법 = 413
3)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18
2. 타당도 = 419
1) 의미 = 419
2) 종류 = 420
3)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 423
3. 객관도 = 424
4. 실용도 = 425
제15장 검사결과의 분석 = 429
1. 기초통계 개념 = 430
1) 빈도분포와 그래프 = 430
2) 집중경향치 = 432
3) 분산도 = 433
2. 점수표시 방법 = 435
1) 원점수 = 435
2) 백점만점점수 = 436
3) 등위점수 = 436
4) 백분위점수 = 437
5) 표준점수 = 438
3. 상관계수 = 440
1) 의미 = 440
2) 종류 = 441
4. 문항분석 = 442
1) 의미 = 442
2) 문항분석이론 = 443
3) 문항분석이론의 비교 = 446
4) 문항분석 방법 = 446
제16장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 = 457
1. 교육평가의 동향에 대한 여러 입장들 = 458
2. 학교 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 = 463
1) 평가기관의 변화 = 464
2) 평가원리의 변화 = 464
3) 평가방법의 변화 = 464
4) 새로운 유형의 문항 개발 = 465
5) 문항반응이론 적용의 활성화 = 465
6) 차별기능문항 추출 = 466
7) 컴퓨터화 검사 = 466
8)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른 평가의 변화 = 467
9) 기준운동에 따른 수행기준과 벤치마크 선정 = 467
부록 = 471
부록Ⅰ : 제6차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 471
부록Ⅱ :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 497
참고문헌 = 519
찾아보기 =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