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165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강현석 주동범
서명 / 저자사항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 Curriculum & educational evaluation / 강현석 ; 주동범 공저.
발행사항
서울 :   학지사 ,   2004.  
형태사항
533 p. : 삽도 ; 27 cm.
ISBN
897548503X
일반주기
부록: 1.제6차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외  
서지주기
참고문헌(p.519-525)과 색인수록
000 00690namccc200217 k 4500
001 000045137384
005 20100806072134
007 ta
008 041209s2004 ulka 001a kor
020 ▼a 897548503X ▼g 93370: ▼c \18,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82 0 4 ▼a 375 ▼2 21
090 ▼a 375 ▼b 2004a
100 1 ▼a 강현석 ▼0 AUTH(211009)94962
245 1 0 ▼a 현대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 ▼x Curriculum & educational evaluation / ▼d 강현석 ; ▼e 주동범 공저.
260 ▼a 서울 : ▼b 학지사 , ▼c 2004.
300 ▼a 533 p. : ▼b 삽도 ; ▼c 27 cm.
500 ▼a 부록: 1.제6차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외
504 ▼a 참고문헌(p.519-525)과 색인수록
700 1 ▼a 주동범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4a 등록번호 1113058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4a 등록번호 1113058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5 2004a 등록번호 1511667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4a 등록번호 11130583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75 2004a 등록번호 11130583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75 2004a 등록번호 15116670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강현석(지은이)

경북대 사대 교육학과 학사, 석사 졸업 경북대 대학원 교육학 박사 Univ. of Wisconsin-Madison Post-Doc. Fellow 한국대학교육협의회 선임연구원 역임 (현재) 한국교육과정학회 회장 경북대 교육학과 교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 = 15
 1. 교육과정의 정의와 이미지 = 15
  1) 교과목 혹은 교과에 담긴 내용 = 16
  2) 학교의 지도 아래 학생이 겪는 실제 경험 = 16
  3) 계획된 활동으로 구성된 프로그램 = 17
  4) 수행할 일련의 과제 = 17
  5) 의도한 학습결과 = 18
  6) 문화적 재생산의 도구 = 18
  7) 사회재건을 위한 의제(agenda) = 18
  8) 학생의 삶에 대한 해석과 전망 = 18
  9) 은유 = 19
 2. 교육과정의 유사용어 = 19
  1) 스코프와 시켄스 = 19
  2) 강의요목 = 20
  3) 내용개요 = 20
  4) 교과서 = 20
  5) 교수요목(course of study) = 21
  6) 계획된 학습경험 = 22
 3. 교육과정의 영역 = 22
  1) 교육과정의 기초 = 22
  2) 교육과정 설계 = 23
  3) 교육과정 구성 = 23
  4) 교육과정 개발 = 24
  5) 교육과정 실행 = 25
  6) 교육과정 공학 = 26
  7) 교육과정 개선과 변화 = 26
제2장 교육과정의 역사와 유형 = 29
 1. 교육과정의 역사 = 30
  1) 교육과정의 역사적 기초 = 30
  2) Bobbitt의 교육과정 구성 = 32
  3) 교과와 경험의 대립 : Dewey의 교육과정 이론 = 33
  4) 학문중심 교육과정의 등장 : 교과의 새로운 부활 = 34
  5) 한국 교육과정의 역사적 변천 = 35
 2. 교육과정의 유형 = 55
  1) 개념상의 유형 = 55
  2) 의사결정 수준상의 유형 = 57
  3) 내용조직상의 유형 = 60
제3장 교육과정의 이론과 다양한 관점 = 73
 1. 교육과정의 이론 = 74
  1) 형식도야이론 = 74
  2) Tyler 이론 = 76
  3) Dewey의 경험 교육과정 = 77
  4) Bruner의 지식의 구조 = 79
  5) Pinar의 재개념주의 : 쿠레레로서의 교육과정 = 84
 2. 교육과정의 다양한 관점 = 85
  1) 교육과정의 정치경제학 = 85
  2) 지식사회학적 접근 = 86
  3) 현상학적 접근 = 87
  4) 해설학적 접근 = 87
  5) 교육과정의 미학적 접근 = 88
제4장 교육과정의 설계 = 93
 1. 교육과정 설계의 개념 = 94
 2. 교육과정 설계의 구조 = 95
  1) 스코프 = 96
  2) 계열 = 96
  3) 계속성 = 97
  4) 통합성 = 98
  5) 연계성 = 99
  6) 균형성 = 99
 3. 대표적 교육과정 설계 유형 = 100
  1) 교과중심 설계 = 100
  2) 학습자 중심 설계 = 102
  3) 문제중심 설계 = 104
제5장 교육과정 개발 = 109
 1. 교육과정 개발의 이해 = 110
  1)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과 기초 = 110
  2) 개발 모형 = 112
  3) 개발의 과정 = 129
  4) 단원의 구성 = 196
 2. 교육과정 개발의 수준 = 200
  1) 국가수준 교육과정 = 202
  2) 지역수준 교육과정 = 210
  3) 학교수준 교육과정 = 213
  4) 교사수준 교육과정 = 214
 3.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실제 = 214
  1) 학교 교육과정 개발의 개념 = 214
  2) 학교 교육과정의 실제 = 216
제6장 교육과정 실행 및 운영 = 229
 1. 교육과정 실행 = 230
  1) 교육과정 실행의 개념 = 230
  2) 교육과정 실행의 성격 = 231
  3) 교육과정 실행의 극단적 견해 = 233
  4) 교육과정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34
  5) 교육과정 실행의 관점 = 234
 2. 교육과정의 운영 = 239
  1) 운영의 의미 = 239
  2) 교육과정 운영과 교사 = 240
 3. 교사의 역할과 운영 수준 = 241
  1) 실행의 관점에 따른 역할 = 241
  2) 교사의 관심 수준에 따른 교육과정 운영 수준 = 242
 4. 교육과정과 수업 = 245
  1)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 = 245
  2) 교육과정과 수업의 관계에 대한 오해 = 247
제7장 교육과정 평가 = 253
 1.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254
 2. 교육과정 평가의 쟁점과 성격 = 256
  1) 교육과정 평가의 쟁점 = 256
  2) 교육과정 평가의 성격 = 257
 3. 교육과정 평가의 모형 = 258
  1) 목표지향 모형 = 259
  2) 판단지향 모형 = 261
  3) 의사결정지향 모형 = 263
  4) 자연주의 모형 = 265
제8장 교육과정의 최근 동향 = 269
 1. 교육과정 차별화 = 270
 2. 학습자 중심 교육과정 = 272
  1) 학습자에게 선택의 권한을 부여 = 273
  2) 학습자의 필요(needs) 반영 = 274
  3) 학습자의 적성, 호기심, 관심사 반영 = 275
 3. 구성주의 교육과정 = 276
  1) 지식은 인식의 주체에 의해 구성된다 = 276
  2) 지식은 맥락적이다 = 276
  3) 지식은 사회적 협상을 통해 형성된다 = 277
 4. 선택 교육과정 = 278
  1) 교육과정의 구조 = 278
  2) 선택권한의 배분 = 280
  3) 교과목 이수체계 = 282
  4) 운영상의 주요 특징 = 284
 5. 통합교육과정 = 286
  1) 교육과정 통합의 개념 = 286
  2) 교육과정 통합의 접근법 = 288
 6. 기준 교육과정 운동 = 293
제9장 교육평가의 의미 = 301
 1. 교육평가의 개념 = 301
  1) 교육평가의 정의 = 302
  2) 교육평가의 구성요소 = 304
 2. 교육평가와 관련된 용어의 이해 = 306
  1) 측정 = 306
  2) 사정 = 307
  3) 검사 = 308
 3. 교육평가의 역사 = 309
  1) 서구에서 교육평가의 역사 = 309
  2) 우리나라에서 교육평가의 역사 = 311
 4. 교육평가의 기능 = 313
  1) 형성적 기능 = 314
  2) 총괄적 기능 = 314
  3) 전략적 기능 = 315
 5. 교육평가의 유형 = 316
  1) 평가대상에 따른 유형 = 316
  2) 평가영역에 따른 유형 = 318
  3) 평가기능에 따른 유형 = 319
  4) 평가기준에 따른 유형 = 323
  5) 평가방법에 따른 유형 = 328
제10장 교육평가의 일반적 절차 = 333
 1. 평가목적의 확인 = 333
 2. 평가영역 및 내용의 선정 = 334
 3. 평가방법의 결정 = 335
 4. 평가도구의 선정 및 개발 = 335
 5. 평가시행을 위한 계획 수립 = 336
 6. 평가환경의 구축 = 337
 7. 자료의 수집 = 338
 8. 자료의 분석 = 338
 9. 평가결과에 대한 해석 = 339
 10. 평가결과의 보고 = 340
  1) 서식이 있을 때 = 341
  2) 서식이 없을 때 = 341
 11. 평가결과의 활용 = 341
 12. 메타평가 = 342
제11장 교육평가 방법과 도구 = 347
 1. 관찰법 = 348
  1) 의미 = 348
  2) 장단점 = 348
  3) 사용 시 유의사항 = 349
  4) 도구 = 350
 2. 면접법 = 354
  1) 의미 = 354
  2) 종류 = 354
  3) 장단점 = 355
  4) 사용 시 유의사항 = 356
  5) 도구 = 356
 3. 조사법 = 357
  1) 의미 = 357
  2) 장단점 = 357
  3) 사용 시 유의사항 = 358
  4) 도구 = 358
 4. 검사법 = 363
  1) 의미 = 363
  2) 장단점 = 363
  3) 도구 = 363
제12장 교수-학습에서 검사 = 367
 1. 교수-학습에서 검사의 계획 = 368
  1) 검사제작의 일반적 절차 = 368
  2) 검사제작의 계획 = 370
 2. 검사문항의 작성 = 377
  1) 검사문항의 유형 = 378
제13장 수행평가 = 389
 1. 수행평가의 개념 = 390
  1) 수행평가의 등장 배경 = 390
  2) 수행평가의 의미 = 393
  3) 수행평가의 특징 = 395
 2. 수행평가의 방법 = 397
  1) 일반적 절차 = 397
  2) 평가기법 = 397
 3. 수행평가의 예 = 401
  1) 고등학교 국어과 수행평가의 예 = 401
  2) 고등학교 과학과 수행평가의 예 = 405
제14장 검사도구의 구비조건 = 411
 1. 신뢰도 = 412
  1) 의미 = 412
  2) 신뢰도 추정방법 = 413
  3)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418
 2. 타당도 = 419
  1) 의미 = 419
  2) 종류 = 420
  3) 타당도와 신뢰도의 관계 = 423
 3. 객관도 = 424
 4. 실용도 = 425
제15장 검사결과의 분석 = 429
 1. 기초통계 개념 = 430
  1) 빈도분포와 그래프 = 430
  2) 집중경향치 = 432
  3) 분산도 = 433
 2. 점수표시 방법 = 435
  1) 원점수 = 435
  2) 백점만점점수 = 436
  3) 등위점수 = 436
  4) 백분위점수 = 437
  5) 표준점수 = 438
 3. 상관계수 = 440
  1) 의미 = 440
  2) 종류 = 441
 4. 문항분석 = 442
  1) 의미 = 442
  2) 문항분석이론 = 443
  3) 문항분석이론의 비교 = 446
  4) 문항분석 방법 = 446
제16장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 = 457
 1. 교육평가의 동향에 대한 여러 입장들 = 458
 2. 학교 현장에서 고려해야 할 교육평가의 최근 동향 = 463
  1) 평가기관의 변화 = 464
  2) 평가원리의 변화 = 464
  3) 평가방법의 변화 = 464
  4) 새로운 유형의 문항 개발 = 465
  5) 문항반응이론 적용의 활성화 = 465
  6) 차별기능문항 추출 = 466
  7) 컴퓨터화 검사 = 466
  8) 신 교육목표분류학에 따른 평가의 변화 = 467
  9) 기준운동에 따른 수행기준과 벤치마크 선정 = 467
부록 = 471
 부록Ⅰ : 제6차 유치원·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교육과정의 편성과 운영 = 471
 부록Ⅱ : 제7차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 497
참고문헌 = 519
찾아보기 = 527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