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000nam c2200205 k 4500 | |
001 | 000045137007 | |
005 | 20221128114620 | |
007 | ta | |
008 | 041207s2003 ulka 000a kor | |
020 | ▼a 8984725080 ▼g 93370 | |
040 | ▼a 3211009 ▼d 211009 ▼c 211009 | |
082 | 0 4 | ▼a 375.006 ▼2 21 |
090 | ▼a 375.006 ▼b 1998a ▼c RRI2003-2 | |
110 | ▼a 한국교육과정평가원 ▼0 AUTH(211009)3587 | |
245 | 1 0 | ▼a 초, 중등학교 교수, 학습지원을 위한 KICE와 시, 도 교육청간 인적 네트워크 구축 / ▼d 한국교육과정평가원 편 ; ▼e 김수동 책임연구. |
260 | ▼a 서울 : ▼b 한국교육과정평가원, ▼c 2003. | |
300 | ▼a xviii, 357 p. : ▼b 삽도 ; ▼c 26 cm. | |
490 | 1 0 | ▼a 연구보고 ; ▼v RRI2003-2 |
504 | ▼a 참고문헌: p. 263-265 | |
700 | 1 | ▼a 김수동 ▼g 金秀東 ▼0 AUTH(211009)102509 |
830 | 0 | ▼a 연구보고(한국교육과정평가원) ; ▼v RRI 2003-2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1/ | Call Number 375.006 1998a RRI2003-2 | Accession No. 111288397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Table of Contents
목차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의 내용 및 범위 = 4 가. 교수·학습지원과 조직의 네트워크 관련 문헌 고찰 = 4 나. 외국의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 사례 분석 = 4 다. 우리나라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의 실태 및 요구 분석 = 4 라. 교수·학습지원을 위한 인적 네트워크 구축 방안 모색 = 5 3. 연구의 방법 = 5 가. 문헌연구 = 5 나. 사례조사 = 6 다. 설문조사 = 10 라. 심층면담 = 10 마. 전문가 협의회 = 10 바. 세미나 = 11 4. 연구의 한계 = 11 Ⅱ. 교수·학습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 13 1. 조직과 네트워크 = 13 가. 네트워크의 개념과 특성 = 13 나. 네트워크의 구성 = 15 다. 네트워크의 효과와 가치 = 23 2. 교수·학습지원과 네트워크 = 27 가. 교육성취와 교수·학습지원 = 27 나.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의 기본 모형 = 29 Ⅲ. 외국의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 사례 = 31 1. 일본 = 31 가. 교수·학습지원 기본 체제 = 32 나.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의 의사소통 = 35 다.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의 기능 = 36 2. 프랑스 = 37 가. 교수·학습지원 기본 체제 = 38 나.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의 의사소통 = 41 다.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의 기능 = 42 3. 미국 = 43 가. 교수·학습지원 기본 체제 = 44 나.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의 의사소통 = 47 Ⅳ. 국내의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 실태 및 요구 = 49 1. 인적 네트워크 구축방안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 = 49 가. 설문조사의 목적 = 49 나. 조사방법 = 49 다. 조사결과 및 해석 = 53 2. 심층면담조사 = 184 가. 조사 방법 = 184 나. 결과 및 해석 = 186 3. 국내의 교수·학습지원을 위한 네트워크 실태 = 192 가.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 체제 = 192 나.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 의사소통 = 209 다.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 기능 = 211 Ⅴ.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 구축 및 운영 방안 = 217 1.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의 기초 = 217 가. 문헌 연구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 217 나. 외국 사례 분석 결과의 요약 및 시사점 = 219 다. 실태 및 요구조사의 요약 및 시사점 = 225 2.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 구축 방안 = 235 3.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 운영 방안 = 244 가.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의 기본체제 측면 = 244 나.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의 통합 측면 = 245 다.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의 의사소통 측면 = 246 라. 교수·학습지원 네트워크의 기능 측면 = 248 Ⅵ. 요약 및 제언 = 251 참고문헌 = 263 Abstract = 267 부록 〈부록 1〉 설문지 = 272 〈부록 2〉 면담지 = 303 〈부록 3〉 심층면담 사례(예시) = 3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