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연구개요
Ⅰ. 서론 = 1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2. 연구 내용 = 4
가. 초등학교 국어과, 수학과 평가 문항 개발 방향 설정 = 5
나. 초등학교 국어과, 수학과 평가 문항 개발 및 검토 = 5
다. 평가시스템 수정 및 보완 = 5
라. 평가 도구 활용 방안 탐색 = 6
3. 연구 방법 = 6
가. 문헌 분석 = 7
나. 전문가 협의회 = 7
다. 워크숍 = 7
라. 시스템 모니터링 = 7
4. 연구 산출물 및 기대 효과 = 8
가. 연구 산출물 = 8
나. 기대 효과 = 8
Ⅱ. 평가 문항 개발 방향 = 9
1. 문항 개발을 위한 방향 탐색 = 9
가. 제7차 교육과정의 평가 방향 = 9
나. 문항 개발 요구 분석 = 15
2. 문항 개발을 위한 방향 설정 = 18
가. 성취기준 및 평가기준에 근거한 문항 개발 = 18
나. 교수·학습 개선을 위한 문항 개발 = 19
다. 수준별 문항 개발 = 20
라. 수행형 문항 개발 = 20
마. 다양한 문항 제시 방식 도입 = 21
바. 문항에 대한 자세한 정보 제공 = 22
Ⅲ. 평가 문항 개발의 실제 = 23
1. 국어과 = 23
가. 구성요소에 따른 평가 문항의 개발 = 23
나. 평가 문항의 제시 방식 = 57
다. 평가 문항의 개발 영역, 절차와 지침 = 64
2. 수학과 = 70
가. 구성요소에 따른 평가 문항의 개발 = 71
나. 평가 문항의 제시 방식 = 123
다. 평가 문항의 개발 영역, 절차와 지침 = 135
Ⅳ. 평가시스템의 개발 = 140
1. 평가시스템의 개요 = 140
2. 초등 국어·수학 시스템 개발 = 143
가. 시스템의 조정 = 144
나. 초등 국어과 평가시스템 = 147
다. 초등 수학과 평가시스템 = 159
Ⅴ. 평가 도구의 활용 방안 = 166
1. 교수·학습 상황에서의 활용 = 167
가. 일반적인 수업 준비 지원 = 167
나. 수준별 수업 자료로의 활용 = 169
다. 심화·보충 수업을 위한 학습 자료로의 활용 = 170
라. <변형 가능한 부분>의 활용 방안 - 수학과 = 171
2. 평가 상황에서의 활용 = 175
가. 진단평가, 형성평가, 총괄평가의 용이한 실시 = 175
나. 보충 학습 대상자 선정을 위한 활용 = 175
다. 다양한 수행평가 전개에 용이 = 176
Ⅵ. 요약 및 제언 = 178
1. 연구 요약 = 178
2. 제언 = 183
참고문헌 = 185
영문초록 = 189
부록 = 1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