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財務行政序說
제1절 行政學과 財務行政 = 2
제2절 財務行政의 槪念 = 5
제3절 財務行政의 硏究對象과 方法 = 6
1. 硏究對象 = 6
2. 接近方法 = 9
제2장 財務行政과 發展論
제1절 經濟發展과 財務行政 = 12
1. 發展途上國의 經濟 = 12
2. 政府活動과 經濟發展 = 16
제2절 財務行政과 國民經濟 = 19
1. 國民經濟計算과 財政支出 = 19
2. 國民總生産과 一般會計歲出額 = 20
3. 財政收支의 機能 = 24
4. 財政의 金融的 機能 = 29
제3절 財務行政(財政)의 機能 = 30
1. 資源配分의 調整 = 31
2. 所得의 再分配 = 32
3. 景氣의 調整 = 33
제3장 財務行政과 財政計劃
제1절 主要國의 財政計劃 = 38
1. 美國의 長期財政展望 = 39
2. 英國의 公共支出計劃 = 40
3. 獨逸 = 42
4. 프랑스 = 44
제2절 韓國의 中期財政計劃 = 44
1. 中期財政計劃의 意義 = 44
2. 中期財政計劃制度導入의 背景 = 49
3. 中期財政計劃의 運用方式과 效果 = 51
4. 中期財政計劃의 制約性 = 55
제3절 PPBS = 56
1. PPBS의 意義와 背景 = 56
2. PPBS의 開發要因 = 57
3. PPBS의 基本原則 = 59
4. 成果主義豫算制度와 PPBS = 60
5. PPBS의 效用 = 60
6. PPBS의 限界 = 61
7. MBO와 PPBS = 62
제4절 ZBB = 64
1. ZBB의 意義 = 64
2. ZBB의 節次 = 65
3. PPBS와 ZBB = 67
4. 日沒法과 ZBB = 68
5. ZBB의 評價 = 69
제4장 財務行政의 組織과 法的 根據
제1절 財務行政의 組織 = 72
1. 企劃豫算處 = 72
2. 財政經濟部 = 74
3. 監査院 = 77
4. 調達廳 = 83
제2절 中央豫算機關 = 85
1. 中央豫算機關의 意義 = 85
2. 中央豫算機關의 機能 = 87
3. 中央豫算機關의 地位 = 88
4. 主要國의 中央豫算機關 = 89
5. 韓國의 中央豫算機關 = 98
제3절 財務行政의 法的 根據 = 102
1. 憲法的 規定 = 102
2. 國會法 = 104
3. 豫算會計法關係法 = 107
4. 主要國의 其他 基本法規 = 122
제5장 豫算의 一般理論
제1절 豫算의 意義 = 126
1. 豫算의 槪念 = 126
2. 豫算의 機能 = 127
제2절 豫算制度의 發達 = 135
1. 外國의 豫算制度의 發達 = 135
2. 韓國豫算制度의 發達 = 136
제3절 豫算의 原則 = 138
1. 傳統的 豫算原則 = 138
2. 現代的 豫算原則 = 140
3. 傳統的 原則과 現代的 原則의 調和 = 142
제4절 豫算의 種類 = 142
1. 一般會計豫算과 特別會計豫算 = 142
2. 本豫算·修正豫算·追加更正豫算 = 150
3. 暫定豫算·假豫算·準豫算 = 151
4. 品目別 豫算·成果主義豫算·計劃豫算·零基準豫算 = 153
제5절 豫算의 分類 = 154
1. 豫算分類의 意義 = 154
2. 機能別 分類 = 156
3. 組織別 分類 = 160
4. 品目別 分類 = 163
5. 經濟性質別 分類 = 165
6. 統合豫算 = 167
7. 複式豫算制度 = 171
제6장 豫算의 法的 性格과 構造
제1절 豫算의 法的 性格 = 176
제2절 豫算의 法形式과 節次上 特色 = 177
제3절 會計區分 = 180
1. 會計年度 = 180
2. 會計區分 = 183
제4절 豫算의 形式 = 187
1. 韓國의 豫算形式 = 187
2. 主要國의 豫算形式 = 189
제7장 豫算의 過程
제1절 豫算過程의 意義 = 198
제2절 豫算의 編成 = 200
1. 豫算編成의 意義 = 200
2. 豫算編成의 過程 = 200
3. 豫算編成과 커뮤니케이션 = 213
4. 豫算編成의 特色과 問題點 = 217
5. 主要國의 豫算編成 = 219
제3절 豫算의 審議 = 226
1. 豫算審議의 意義 = 226
2. 豫算審議에 영향을 미치는 諸要因 = 227
3. 豫算審議의 過程 = 228
4. 豫算審議의 問題點 = 260
5. 主要國의 豫算審議 = 262
6. 議會에서의 豫算修正 = 272
제4절 豫算의 執行 = 273
1. 豫算執行의 意義 = 273
2. 豫算執行과 政府의 責任 = 276
3. 豫算執行에 있어서의 財政統制 = 278
4. 豫算執行의 伸縮性 = 284
5. 豫算執行의 問題點 = 289
6. 앞으로의 方向 = 290
제5절 會計檢査 = 291
1. 會計檢査의 意義 = 291
2. 會計檢査機關의 類型 = 293
3. 韓國의 會計檢査機關-監査院 = 294
4. 會計檢査의 方法 = 296
5. 會計檢査의 問題點과 改善方向 = 299
제6절 決算 = 300
1. 決算의 意義 = 300
2. 決算의 機能 = 301
3. 豫算과 決算의 不一致 = 301
4. 決算의 效果 = 301
5. 會計年度整理期限 = 302
6. 決算의 節次 = 303
7. 歲計剩餘金의 處理 = 308
제8장 審査評價制度
제1절 事業評價와 審査評價 = 317
1. 公共事業評價의 現住所 = 318
2. 評價調査 = 319
3. 調査·評價方法의 問題點 = 320
4. 評價體制 = 321
제2절 審査評價制度의 意義 = 322
1. 審査評價의 意義 = 322
2. 審査評價의 對象 = 327
3. 審査評價의 過程 = 329
제3절 審査評價制度의 沿革 = 333
1. 國務總理 企劃調整室 = 333
2. 經濟企劃院 審査評價局 = 335
3. 國務總理 國務調整室 = 338
제4절 審査評價制度의 組織과 法的 根據 = 339
1. 審査評價制度의 組織 = 339
2. 審査評價制度의 法的 根據 = 341
제5절 現行 審査評價制度의 類型과 內容 = 343
1. 定期審査評價 = 343
2. 隨時審査評價 = 344
제6절 主要國 審査評價關聯制度와의 比較 = 345
1. 美國의 OMB와 GAO = 345
2. 캐나다의 內閣豫算處 = 348
3. 日本의 行政管理廳 = 349
4. 世界銀行 = 350
5. 主要國 審査評價關聯制度의 比較 = 352
제7절 審査評價制度의 課題 = 357
1. 豫算運用과 審査評價制度 = 357
2. 審査評價制度의 問題點과 改善方向 = 357
제9장 豫算過程과 意思決定
제1절 意思決定에 관한 一般理論 = 370
1. 合理的 接近法 = 370
2. 漸增的 接近法 = 371
3. 混合觀照的 接近法 = 373
제2절 意思決定과 環境的 變數 = 375
1. 參與와 意思決定 = 375
2. 權限委任과 意思決定 = 377
3. 組織構造 및 節次 = 378
4. 政治性 = 379
제10장 公共基金과 豫算
제1절 基金의 意義 = 383
1. 基金의 槪念 = 383
2. 基金의 性格 = 385
3. 基金의 必要性 = 388
제2절 基金의 分類 = 390
1. 管理主體에 의한 分類 = 391
2. 設置目的에 의한 分類 = 393
3. 運用方式에 의한 分類 = 394
4. 會計處理方式에 의한 分類 = 395
제3절 基金의 運用 = 395
1. 基金의 財源造成方法 = 395
2. 基金의 造成規模 = 397
3. 基金의 運用 = 397
4. 餘裕資金의 運用 = 399
5. 公共資金管理基金 預託 = 404
제4절 公共基金과 다른 財政部門과의 關係 = 406
1. 基金과 財政運用 = 407
2. 基金과 財政融資 = 408
3. 基金과 金融活動 = 411
제5절 公共基金運用에 관한 政策方向 = 413
1. 基金分類의 合理化 = 413
2. 基金의 整備 = 414
3. 基金造成方法의 客觀化 = 420
4. 基金運用의 效率化 = 421
5. 統綜合豫算中心의 管理運用 = 424
6. 基金에 대한 民主的 統制의 保障要求와 自律性要求와의 調和 = 425
제11장 豫算制度改革과 行政改革
제1절 韓國豫算制度史와 豫算制度改編의 努力 = 428
1. 韓國豫算制度史의 槪觀 = 428
2. 豫算制度改編 = 431
3. 行政改革委員會 = 434
4. 韓國開發硏究院 = 438
제2절 韓國豫算制度上의 問題點과 改善方案 = 441
1. 單年度主義 - 中期主義 = 441
2. 漸增主義 - Zero-Base = 444
3. 投資審査制度의 强化 = 445
제12장 租稅支出豫算制度의 導入必要性
제1절 租稅支出의 意義 = 448
제2절 租稅支出의 類型 = 451
제3절 租稅推定 = 453
제4절 主要國의 租稅支出豫算制度 = 455
1. 美國 = 456
2. 英國 = 457
3. 獨逸 = 458
4. 캐나다 = 459
제5절 우리 나라의 租稅支出政策 = 460
1. 變遷過程 = 461
2. 租稅支出類型 = 463
3. 租稅支出方法 = 464
4. 租稅支出現況 = 465
제6절 租稅支出豫算制度의 有用性과 導入課題 = 468
1. 有用性과 導入必要性 = 468
2. 課題 및 考慮事項 = 470
제13장 租稅論
제1절 租稅의 本質 = 474
1. 租稅의 槪念 = 474
2. 租稅의 分類 = 475
3. 租稅의 原則 = 478
제2절 租稅各論 = 481
1. 所得稅 = 481
2. 法人所得稅 = 484
3. 消費稅 = 487
4. 財産稅 = 491
제3절 우리 나라의 租稅制度 = 492
1. 租稅制度의 變遷 = 492
2. 租稅行政組織 = 495
3. 現行 租稅體系와 歲入構造 = 501
4. 租稅制度의 改善方案 = 506
제4절 準租稅 負擔金 = 509
1. 準租稅 負擔金의 意義 = 509
2. 準租稅 負擔金 整備의 必要性 = 510
3. 負擔金 整備對象 및 基準 = 514
4. 準租稅 整備現況 = 515
5. 準租稅 整備效果 = 517
제14장 地方財政
제1절 地方財政의 本質 = 520
1. 地方財政과 地方自治 = 520
2. 地方財政의 性格 = 521
3. 地方財政의 特徵 = 522
제2절 中央과 地方과의 財政關係 = 523
1. 中央財政과 地方財政의 關係 = 523
2. 財政機能의 配分 = 526
3. 地方財政法上의 事務配分 = 527
4. 財源調達機能의 配分 = 528
제3절 地方稅 = 529
1. 地方稅의 特徵 = 529
2. 地方稅制 = 531
제4절 地方財政調整 = 532
1. 地方財政調整의 意義 = 532
2. 國庫補助金 = 532
3. 地方交付稅 = 535
4. 地方讓與金 = 539
5. 廣域自治團體의 基礎自治團體 財政調整制度 = 542
제5절 地方債 = 544
1. 地方債의 意義 = 544
2. 地方債承認制度 = 545
3. 地方債發行制度의 課題 = 546
제6절 地方財政의 現況分析 = 547
1. 槪觀 = 547
2. 地方自治團體의 總財政規模分析 = 548
3. 地方自治團體의 一般會計 歲入·歲出構造分析 = 548
제15장 政府와 企業
제1절 企業에 대한 政府의 役割 = 556
1. 政府介入의 必要性·方向 및 限界 = 556
2. 政府役割의 一般的 定義 = 558
제2절 現代政府의 企業에 대한 統制 = 558
1. 現代經濟에 있어서의 政府의 役割 = 558
2. 美國에서의 政府와 企業의 關係 = 560
3. 日本에서의 政府와 企業의 關係 = 561
4. 開發途上國에서의 政府와 企業의 關係 = 563
제3절 韓國企業의 現況 = 564
1. 企業에 대한 憲法上의 保障 = 564
2. 韓國企業의 變遷過程과 成長 = 565
제4절 韓國政府의 企業政策 = 569
1. 企業公開促進을 위한 政府의 役割 = 569
2. 輸出企業에 대한 政府의 支援策 = 571
3. 中小企業에 대한 育成策 = 572
4. 重化學工業에 대한 政策 = 575
5. 政府와 企業間의 媒介體로서의 經濟團體 = 576
제5절 韓國에서의 政府와 企業의 關係 = 578
제6절 責任運營機關制度 = 580
1. 責任運營機關制度의 意義 = 580
2. 類似槪念과의 比較 = 581
3. 責任運營機關制度의 有用性 = 583
4. 責任運營機關制度 導入 推進經過 = 584
5. 責任運營機關制度의 運營體系 = 586
제7절 公企業 = 588
1. 公企業의 意義 = 588
2. 公企業의 發達 = 589
3. 公企業의 類型 = 592
4. 우리 나라 公企業의 類型 = 594
5. 公企業의 統制 = 595
제8절 公正去來制度 = 599
1. 公正去來制度의 意義와 導入背景 = 599
2. 公正去來制度의 機能과 內容 = 599
3. 公正去來委員會組織 및 事件處理節次 = 613
제16장 政府會計
제1절 政府會計의 本質 = 620
1. 政府會計의 意義 = 620
2. 政府會計의 原則 = 620
3. 政府會計의 目的 = 621
4. 政府會計의 特徵 = 622
제2절 收入 = 623
1. 收入의 意義 = 623
2. 歲入事務의 管理 = 623
3. 徵收 = 624
4. 收納 = 626
5. 徵收와 收納의 分離 = 628
6. 收入에 이르지 못한 경우의 處理 = 629
7. 過年度收入과 過誤納金의 返還 = 629
제3절 支出 = 631
1. 支出의 意義 = 631
2. 支出原因行爲 = 631
3. 支出總則 = 633
4. 支出의 特例 = 634
5. 支給 = 636
6. 計算과 報告 = 637
제4절 統合支出官制度 = 638
1. 統合支出官의 意義 = 639
2. 統合支出官의 機能 = 639
3. 統合支出의 節次 및 方法 = 639
4. 統合支出官制度의 問題點 = 641
5. 統合支出官制度의 導入背景 = 641
제5절 政府會計의 複式簿記 導入 = 644
1. 政府會計의 區分 = 644
2. 政府會計의 記錄方式 = 645
3. 우리 나라 政府會計의 問題點 = 646
4. 複式簿記制度의 導入效果 = 647
제17장 政府購買·調達·物品管理
제1절 政府購買의 意義 = 650
1. 購買의 意義 = 650
2. 購買와 調達의 比較 = 651
제2절 集中購買制度 = 652
1. 集中購買와 分散購買 = 652
2. 集中購買와 長短點 = 652
제3절 主要國의 購買機關 = 654
1. 美國의 購買機關 = 654
2. 캐나다의 購買機關 = 657
3. 英國의 購買機關 = 657
4. 日本의 購買機關 = 658
5. 韓國의 購買機關 = 659
6. 主要國의 調達制度 比較 = 660
제4절 購買行政의 節次 = 662
1. 需要判斷 = 662
2. 購買契約 = 662
3. 檢査와 收納 = 668
4. 引渡 및 保管 = 668
5. 代金支給 = 668
제5절 物品管理制度와 機關 = 669
1. 物品管理의 意義 = 669
2. 物品管理法의 位置 = 670
3. 物品의 槪念 및 範圍 = 671
4. 物品의 管理機關 = 671
제6절 物品의 分類 = 675
1. 物品分類의 內容 = 675
2. 物品의 所屬分類의 決定과 分類轉換 = 675
제7절 物品의 分類 및 標準化 = 676
1. 物品分類의 意義 = 676
2. 物品分類基準 = 677
3. 規格管理 = 677
4. 物品의 標準化 = 678
제8절 物品의 需給과 在庫管理 = 679
1. 需給管理 = 679
2. 在庫管理 = 680
3. 物品의 保管 및 出納 = 681
4. 不用品의 發生原因과 效果的 管理 = 682
제9절 在物調査 및 損亡失處分 = 682
1. 特別在物調査와 物品管理監査 = 682
2. 定期在物調査와 隨時在物調査 = 683
3. 物品의 損亡失處理 = 683
參考文獻 = 685
附錄 = 7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