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000nam c2200205 c 4500 | |
001 | 000045136367 | |
005 | 20150114150448 | |
007 | ta | |
008 | 041202s2004 ulka 000c kor | |
020 | ▼a 8958200162 ▼g 03600 | |
020 | 1 | ▼a 8988804406 (세트) |
040 |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700.82 ▼2 23 |
085 | ▼a 700.82 ▼2 DDCK | |
090 | ▼a 700.82 ▼b 2004 | |
245 | 0 0 | ▼a 미술, 여성 그리고 페미니즘 / ▼d 이브 미쇼 외 지음 ; ▼e 정재곤 옮김 |
246 | 1 9 | ▼a Feminisme, art et histoire de l'art |
260 | ▼a 서울 : ▼b 궁리, ▼c 2004 | |
300 | ▼a 222 p. : ▼b 삽화 ; ▼c 23 cm | |
440 | 0 0 | ▼a 대림이미지총서 ; ▼v 04 |
650 | 0 | ▼a Feminism and art ▼v Congresses |
650 | 0 | ▼a Art ▼x Historiography ▼v Congresses |
700 | 1 | ▼a Michaud, Yves ▼0 AUTH(211009)9866 |
700 | 1 | ▼a 정재곤, ▼e 역 ▼0 AUTH(211009)143826 |
900 | 1 0 | ▼a 미쇼, 이브,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82 2004 | 등록번호 1113042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82 2004 | 등록번호 1113042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700.82 2004 | 등록번호 1511648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82 2004 | 등록번호 111304234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700.82 2004 | 등록번호 111304235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2/ | 청구기호 700.82 2004 | 등록번호 15116484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1990년 3월, 에콜 데 보자르에서 마틸드 페레와 이브 미쇼가 주관한 심포지엄 '페미니즘, 미술 그리고 미술의 역사 - 또 다른 이야기'에서 발표된 글들을 묶었다. 지은이들은 1980년대부터 1990년대까지 '해체주의' 미술운동을 주도한 2세대 페미니즘 주역들로, 영국에서 해체주의 미술운동의 전위 역할을 했던 그리젤다 폴록과 리사 티크너, 미국 행동주의 전통을 계승한 마샤 터커, 로지 훈과 니콜 뒤브레이유 블롱댕 등이다.
책은 잊혀진 여성 미술가들을 발굴한 글과 여성의 특수성을 구조적으로 분석한 글들, 미술과 여성, 페미니즘에 대한 이론 등을 정리한 글을 담아 해체주의 페미니즘의 다양한 스펙트럼을 여러 작품들과 함께 엿볼 수 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이브 미쇼(지은이)
1944년 리옹에서 태어났으며, 프랑스 파리 제1대학의 철학과 교수. 1989년부터 1996년까지 에콜 데 보자르 학장으로 재직하면서 청소년을 위한 획기적인 정책들을 펼쳤으며, 프랑스에서 가장 유명한 대안 대학인 ‘모든 지식의 대학’의 설립자이기도 하다. 삶의 정체성에 관한 청소년들의 질문에 답하기 위해 유명 청소년 잡지 《오카피》에 철학, 심리학, 사회학 관련 기사를 연재하고 있다. <철학 대장간>은 그 기사들을 묶어낸 책으로, 출간 후 화제의 베스트셀러가 되었다. 한국에도 철학 분야 스테디셀러인 <내일 지구에 종말이 온다면 나도 한그루 사과나무를 심을 수 있을까> 등 일곱 권의 책이 번역 출판되었다.
정재곤(옮긴이)
서울대 인문대학원 불문학과를 졸업하고, 프랑스 파리 8대학에서 마르셀 프루스트의 소설에 대한 정신분석비평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역서로 『가난한 사람들을 위한 은행가』 『자유를 생각한다』 『가족의 비밀』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 『정신과 의사의 콩트』 『앙리 카르티에 브레송과의 대화』 등이, 저서로 『나를 엿보다』가 있다. 프루스트 소설의 수사학적 면모를 파헤치는 논문 「프루스트의 알려지지 않은 문채(文彩)」를 프랑스 문학 전문지 『리테라튀르(Litterature)』에 게재했다. 이후 로렌 대학에서 심리학 석사학위를 받고, 프랑스 정부 공인 심리전문가 자격증(다문화심리학)을 취득했다.

목차
목차 머리말 / 이브 미쇼 = 7 뮤즈에서 뮤지엄까지 : 미국에서의 현대 페미니즘과 미술 활동 / 마샤 터커 = 33 페미니즘과 미술사 : 아직 끝나지 않은 여정 / 리사 티크너 = 55 역사와 정치 : 페미니즘 이후 미술사는 살아남을 것인가? / 그리젤다 폴록 = 89 현대 여성 미술가와 이성의 광기 : 타자를 향한 도약 / 로지 훈 = 133 여성의 특수성, 미술의 특수성 : 화해를 기다리는 부부 / 니콜 뒤브레이유 블롱댕 = 169 주 = 197 옮긴이의 말 = 2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