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Loan 93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Elman, Benjamin A., 1946- 양휘웅 梁輝雄, 역
Title Statement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 벤저민 엘먼 지음 ; 양휘웅 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예문서원,   2004  
Physical Medium
537 p. : 삽화 ; 23 cm
Varied Title
From philosophy to philology : intellectual and social aspects of change in late Imperial China (2nd, rev. ed.)
ISBN
8976461886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486-525)과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Learning and scholarship --China --History
Subject Added Entry-Geographic Name
China --Intellectual life --1644-1912
000 00000cam c2200205 c 4500
001 000045135182
005 20150122144734
007 ta
008 041026s2004 ulka b 001c kor
020 ▼a 8976461886 ▼g 93150
035 ▼a KRIC09540457
040 ▼a 211046 ▼d 211009 ▼c 211009
041 1 ▼a kor ▼h eng
082 0 4 ▼a 001.20951 ▼2 23
085 ▼a 001.20951 ▼2 DDCK
090 ▼a 001.20951 ▼b 2004
100 1 ▼a Elman, Benjamin A., ▼d 1946-
245 1 0 ▼a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 ▼d 벤저민 엘먼 지음 ; ▼e 양휘웅 옮김
246 1 9 ▼a From philosophy to philology : ▼b intellectual and social aspects of change in late Imperial China ▼g (2nd, rev. ed.)
260 ▼a 서울 : ▼b 예문서원, ▼c 2004
300 ▼a 537 p. : ▼b 삽화 ; ▼c 23 cm
504 ▼a 참고문헌(p. 486-525)과 색인수록
650 0 ▼a Learning and scholarship ▼z China ▼x History
651 0 ▼a China ▼x Intellectual life ▼y 1644-1912
700 1 ▼a 양휘웅 ▼g 梁輝雄, ▼e▼0 AUTH(211009)89429
900 1 0 ▼a 엘먼, 벤저민, ▼e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01.20951 2004 Accession No. 11130162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001.20951 2004 Accession No. 11130162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벤저민 엘먼(지은이)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양휘웅(옮긴이)

1973년 전북 남원에서 태어났다. 고려대학교 한문학과를 졸업하고,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현 한국고전번역원 부설 고전번역교육원)과 태동고전연구소에서 한문을 계속 수학했으며, 고려대학교 대학원 사학과에서 석사 학위를 취득했다. 현재 번역기획공동체 ‘窓’의 번역가로 활동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 『성리학에서 고증학으로』, 『신의 아들 홍수전과 태평천국』, 『삼국지 강의』(공역), 『사고전서』, 『황종희 평전』, 『건륭제』, 『만주족의 역사』, 『예교주의』, 『고대국가 부여의 역사: 고고학과 역사적 기억』(근간)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한국어판 서문 = 11
개정판 서문 = 24
초판 서문 = 43
1. 전근대 후기의 담론 혁명 = 53
 1. 양자강 하류 학술계의 상황 = 61
  학술 내부 및 외부 환경의 역사 = 61
  양자강 하류의 연계망 = 62
 2. 만청 시대의 정치와 학술 = 69
  만주족의 정책과 고증학 = 70
  사회비평가 대진 : 고증학에서 다시 철학으로 = 75
  금문 경학의 정치관 : 고증학과 성리학 = 83
 3. 도학의 해체 = 89
  고증학의 목적 = 90
  비평과 회의 = 93
  과거와 현재 = 98
2. 도심과 인심 논쟁 = 105
 1. 송대의 해석 : 의리적 접근 = 108
 2. 송대 소학의 활용 : 첫 번째 단계 = 117
 3. 명대의 주석 : 의리의 재확인 = 125
 4. 명대 소학의 활용 : 고거실학 대 의리철학 = 131
 5. 명청 시기 고증학의 영향 = 140
3. 고증학과 공유된 인식론적 관점의 형성 = 153
 1. 청대 고증학의 출현 = 157
  고증 담론의 기원 = 158
  명대 중후기 지식인 담론의 변화 = 160
  오경에 대한 관심의 부활 = 168
 2. 명조 멸망의 영향 = 173
  사상적 반응 = 174
  경세 의식과 몰락하는 도덕적 수양 = 179
 3. 실증 학풍의 영향 = 185
  한학과 송학 = 186
  고유한 경학과 과학 전통의 부활 = 190
  『사고전서』편찬 작업 = 196
 4. 전문화와 실증 학풍 = 199
  문헌의 진실성과 그 복원 = 200
  강남의 역사 연구 = 204
  제자학 : 선진 사상 기류의 부활 = 214
  18세기 강남의 자연과학과 수학 = 219
  고증에 종속된 과학 = 225
4. 강남 학자들의 전문직업화 = 229
 1. 고증학자들의 사회적 기원 = 232
 2. 전근대 후기 사회에 나타난 전문직업화 현상 = 243
 3. 관료 및 준관료 조직의 후원 = 249
  서건학의 후원 = 251
  18세기의 후원 = 255
  완원의 후원 = 261
 4. 강남의 학술공동체 내에서의 서원 = 268
  17세기의 지식인 사회 = 269
  관판 서원의 발전 = 277
  관판 서원과 고증학 = 280
 5. 지식인의 역할 변화 = 293
  직업으로서의 교육 = 294
  개인적인 연구 활동과 막료 생활 = 297
  비관료 조직을 통한 수입원 = 300
  강남의 연구 기구 = 302
5. 학술, 도서관, 서적 출판 = 305
 1. 강남의 장서루 = 312
  강소와 절강의 장서루 = 314
  18세기 항주의 장서루 = 319
 2. 강남의 출판업 = 323
  총서의 역할 = 324
  강남과 북경 간의 도서 교역 = 326
  장서루와 출판에 대한 청 황실의 지원 = 333
 3. 참고 자료와 고증학 = 337
 4. 학문의 분류 = 341
6. 강남 학술공동체의 교류 채널 = 349
 1. 연구 방식의 공유 : 차기체 저작들 = 353
 2. 고증 담론 내의 자료의 활용 = 358
  염약거의 고문『상서』연구 = 358
  수학, 천문학, 고고학 = 362
  고증학의 자료 활용과 인용 = 367
  고고학과 금석학 = 374
  금석학이 청대 서법에 끼친 영향 = 378
  족보와 연보 = 385
 3. 공동 연구, 서신 왕래, 모임 = 387
  고문『상서』에 대한 논쟁 = 389
  고증학에서의 서신의 역할 = 394
 4. 축적된 성과물에 근거한 연구 = 397
  청대 학술의 연속성 = 397
  1740년 이후에 진행된『상서』연구 = 401
  음운학의 연구 = 409
 5. 우선권 논쟁 = 422
  고문『상서』의 우선권 논쟁 = 424
  『수경』의 우선권 논쟁 = 427
  그 밖의 우선권 논쟁 = 429
 6. 고증학의 발전성 = 431
7. 대단원 = 435
 1. 고증 운동의 좌절 = 438
  경세 의식과 금문학 = 439
  광주의 방동수 : 한학 비판 = 451
  한·송학 절충론 = 458
 2. 태평천국운동의 충격 = 461
  사상적 충격 = 462
  학술과 동치중흥 = 465
 3. 에필로그 = 469
감사의 말(초판) = 473
추천의 말(초판) = 475
역자 후기 = 482
참고문헌 = 486
찾아보기 = 526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