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7
역자 서문 = 9
제1부 실제적 평가를 위한 생태학적 접근 방법의 이론적 기초
제1장 학습관 및 평가관의 변화 = 23
생태학적 평가(Ecological Assessment) = 24
수행 평가(Performance-based Assessment) = 25
학습자로서의 아동을 보는 새로운 관점 = 27
최근의 학습관과 대립되는 표준화 검사 = 27
성장에 대한 기대 = 28
평가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 = 29
제2장 평가는 왜 하는가? = 31
교사는 학급에 대한 판단을 내리기 위해 평가를 한다 = 31
교수 안내를 위해 제작된 평가의 특징 = 32
교육청 단위 학구는 책무성 부여를 위해 평가를 한다 = 33
하나의 평가 절차가 서로 다른 두 가지 목적을 다 만족시킬 수 있을 것인가? = 34
제3장 왜 생태학적 평가를 해야 하는가? = 37
읽기 = 37
쓰기 = 40
제4장 읽기 발달 = 44
학습자의 발달은 문식력 발달의 기초가 된다 = 44
읽기 과정 및 읽기 습득 발달 유형에 대한 지식은 생태학적 평가의 토대가 된다 = 45
읽기 습득의 발달 단계 = 46
학년과 읽기 습득 발달 단계와의 관계 = 51
읽기 습득을 넘어 : 지식 영역 안에서의 문식성 발달 기술하기 = 53
몇 가지 유의점 = 55
요약 = 56
제5장 쓰기 발달 = 57
쓰기 과정 = 57
쓰기 발달의 여러 가지 차원들 = 60
발달적 전망 : 입문기 글쓰기를 넘어서 = 69
제6장 발달적 쓰기 연속체 구성하기 = 72
표준적인 총체적 평가(Standard Holistic Scoring) = 72
쓰기 연속체 개발을 위해 보완된 총체적 평가 = 73
제2부 읽기와 쓰기를 위한 생태학적 포트폴리오 시스템
제7장 읽기와 쓰기 평가를 위한 맥락과 목표 창출하기 = 79
균형잡힌 문식성 프로그램(Balanced Literacy program)의 목표 = 79
균형잡힌 문식성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주요 활동들 = 84
핵심적인 문식성 활동 구성하기 = 90
요약 = 91
제8장 포트폴리오 시스템의 기본 틀 = 93
포트폴리오란 무엇인가? = 95
작업용 포트폴리오 = 95
비활성 읽기·쓰기 파일 = 96
교사의 관찰 기록부 = 96
학구 단위의 평가 = 97
제출용 포트폴리오 = 97
포트폴리오와 생태학적 평가 - 자연스런 동반자 = 98
제9장 전문적 관찰 - 생태학적 포트폴리오 시스템의 핵심 요소 = 99
관찰자로서의 교사 = 100
전문적 관찰을 위한 자산 모델 = 100
마음의 눈으로 관찰하기 = 103
몇 가지 유의점 = 104
관찰할 준비가 되어 있는가? = 105
제10장 교사의 관찰 기록 노트 구성하기 = 107
학습자 관찰 지침 = 107
관찰 기록부를 통한 정보 수집법 = 108
체크리스트 = 110
교사의 관찰 기록부와 읽기 쓰기 포트폴리오의 관찰 내용 종합하기 = 112
제3부 생태학적 포트폴리오 체제 안에서 읽기와 쓰기 관찰하기
제11장 도입...교수와 평가 통합하기 = 117
관찰할 때 = 118
제12장 읽기 관찰하기 : 읽기 상황 기록(running record) 및 독해 = 121
읽기 상황 기록은 어떻게 하는가? = 121
읽기 상황 기록은 언제 하는가? = 125
읽기 상황 기록은 누구를 대상으로 해야 하는가? = 125
읽기 상황 기록은 얼마나 자주 해야 하는가? = 128
읽기 상황 기록은 어떤 용도로 활용할 수 있는가? = 128
통합적 독자와 완숙기 독자를 대상으로 한 수정된 체계의 읽기 상황 기록을 어떻게 사용할 것인가? = 132
시작하면서... = 133
무엇을 어떻게 관찰할 것인가? = 134
제13장 읽기 전략, 자기주도성, 상위인지적 자각, 읽기 습득의 단계, 태도 및 흥미, 참여, 그리고 목적에 따른 읽기 관찰하기 = 141
전략적 측면... 학습자가 읽기 전략을 사용하여 얼마나 효율적으로 단어 분석, 단어 의미 파악, 독해를 할 수 있는가? = 141
요약(Summary) = 158
교사도 학습자이다. 스스로에게 학습할 시간을 주어라 = 158
제14장 작업용 읽기 포트폴리오 = 160
사용할 포트폴리오 준비하기 - 포트폴리오를 어디에 둘 것인가? = 161
작업용 읽기 포트폴리오의 주요 내용 = 161
작업용 읽기 포트폴리오 구성하기 = 162
수업과 포트폴리오를 통합하기 = 168
제15장 쓰기 관찰하기 = 169
관찰 지침(Guidelines for Observation) = 169
아이디어 생성하기(쓰기 전 활동) = 171
초고쓰기 = 173
교정하기 = 174
편집하기 = 176
제16장 작업용 쓰기 포트폴리오 = 178
작업용 쓰기 포트폴리오의 핵심 내용 = 179
포트폴리오를 교수 학습 과정과 통합하기 = 183
제17장 시작하기와 끝내기 : "아는 것으로부터 시작하기"와 제출용 포트폴리오 개발하기 = 185
학년 초 - 출발점 = 185
인터뷰를 통한 전기 쓰기 = 190
제출용 포트폴리오 개발하기 = 190
제출용 포트폴리오의 내용 = 191
포트폴리오 전달을 위해 조직하기 = 195
제18장 학생의 문식성 발달에 관해 학부모와 의사소통하기 = 196
문식성의 성장 및 발달에 관한 지속적인 학부모와의 의사소통 = 196
학생 발달에 관한 공식적 의사소통 = 201
요약 = 215
제19장 뭔가 잘못된 것이 틀림없어, 우린 너무 재미있어요 = 216
배경 = 216
왜 변화가 필요한가? = 217
평가 계획 = 219
학년 초의 개별 평가 = 220
초기의 소집단 평가 = 220
수업 중에 진행되는 학급 평가 = 221
생태학적 평가의 효과에 대한 반성 = 222
생태학적 평가는 교수 방법을 변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것인가? = 223
제20장 중학년에서의 문식성 포트폴리오 : "작업중" = 225
배경 = 225
자발적으로 수업에 변화를 시도한 이유는 무엇인가? = 225
어떻게 변화가 진행되었는가? = 226
수업을 변화시켜 가는 과정에서 도움이 된 것은 무엇이고 방해가 된 것은 무엇인가? = 227
포트폴리오 작업을 시작하기 전에는 평가를 어떻게 하였는가? = 228
현재 읽기 포트폴리오 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 228
현재 쓰기 포트폴리오 속에는 무엇이 있는가? = 231
교사는 어떠한 기록을 하는가? = 231
학생들의 자기 평가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235
모든 사람은 어떻게 반응하는가? = 237
마지막 의견 = 237
제21장 초등학교 쓰기 평가 : 발달적인 관점 = 238
배경 = 238
계획을 실행에 옮기기 = 239
쓰기 표본(writing sample) 수집을 위한 지침 설정하기 = 239
채점 참조글(anchor paper) 확정하기 = 241
쓰기 발달 수준별 평가 기준표(Rubrics) 마련하기 = 241
합의 도출 및 평가 기준표의 쟁점 = 244
4-5학년의 평가 기준표 재검토하기 = 244
학교 수준의 쓰기 발달 연속체 구성하기 = 245
과정에 대한 반성 = 246
새로운 초점, 새로운 학습, 새로운 질문 = 248
쓰기 평가 기준표 재검토하기 - 2차 년도 = 249
제4부 생태학적 평가 : 교실 밖에 보고하기
제22장 신뢰도 및 타당도에 관한 쟁점 = 255
해결되어야 할 논점들 : 타당도, 신뢰도, 효용도 = 257
효용도 - 생태학적 평가는 실행 가능한 것인가? = 265
결론 = 265
제23장 교실을 넘어선 의사소통하기 = 266
학구 및 학교의 관심사 = 268
생태학적 평가가 학년간, 학교간, 학구간 비교에 활용될 수 있는가? = 269
조정 : 평가의 일관성 확보를 위한 절차 = 273
지역 사회에 평가 결과 제공하기 = 276
결론 = 277
이 책을 읽는 이에게 = 279
참고문헌 = 281
생태학적 평가 체제 구축을 위한 부가적인 참고자료 = 291
부록 : 사용가능한 양식 = 3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