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청년심리학 제3판

청년심리학 제3판 (8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장휘숙 章輝淑
서명 / 저자사항
청년심리학 / 章輝淑 著
판사항
제3판
발행사항
서울 :   博英社,   2004  
형태사항
516 p. : 삽화 ; 24 cm
ISBN
8910031247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133578
005 20150129114834
007 ta
008 041125s2004 ulka b 001c kor
020 ▼a 8910031247 ▼g 93180
040 ▼a 211009 ▼c 211009 ▼d 211009
082 0 4 ▼a 155.5 ▼2 23
085 ▼a 155.5 ▼2 DDCK
090 ▼a 155.5 ▼b 2004
100 1 ▼a 장휘숙 ▼g 章輝淑 ▼0 AUTH(211009)18723
245 1 0 ▼a 청년심리학 / ▼d 章輝淑 著
250 ▼a 제3판
260 ▼a 서울 : ▼b 博英社, ▼c 2004
300 ▼a 516 p. : ▼b 삽화 ; ▼c 24 cm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5 2004 등록번호 111299305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155.5 2004 등록번호 111299306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장휘숙(지은이)

이화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 졸업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심리학과 졸업(발달심리학 전공, 문학박사) 미국 미시간 주립대학교 객원교수 역임 한국발달심리학회 회장 역임 충남대학교 학생생활연구소장 역임 현재: 충남대학교 심리학과 교수 발달심리전문가 한국발달심리학회 이사, 편집위원 *관심분야 전생애 동안의 애착, 정체감, 정신병리, 탄력성 등을 광범위하게 연구하며 이미 각 주제에 관한 많은 논문들을 출판한 바 있다. *저서 발달정신병리학의 이해 제2판(저서, 창지사, 2005) 아동연구방법 제2판(저서, 창지사, 2005) 청년심리학 제3판(저서, 박영사, 2004) 애착장애의 치료: 이론에서 실제까지(역서, 시그마프레스, 2003) 여성심리학 제2판(저서, 박영사, 2002) 아동발달(저서, 박영사, 2001) 인간발달(저서, 박영사, 2000) 청년심리학 제2판(저서, 학지사, 1999) 발달정신병리학의 이해(저서, 학지사, 1998) 아동연구방법 초판(저서, 창지사, 1998) 여성심리학 초판(저서, 박영사, 1996) 가족심리학(저서, 박영사, 1996) 아동심리학 제2판(저서, 박영사, 1995) 발달심리학 제2판(공저, 박영사, 1994) 자녀문제 이럴 때 이렇게(저서, 창지사, 1994) 청년심리학 초판(도서출판 장승, 1993) 아동심리학 초판(저서, 박영사, 1990) 아동연구법(편역서, 창지사, 1989) 발달심리학 초판(공저, 박영사, 1987) 심리학개론(공저, 정민사, 1987) 어머니의 역할(역서, 창지사, 1986) 아버지의 역할(역서, 창지사, 1986) 외 다수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1부 서론
 제1장 청년기 이해를 위한 기초
  Ⅰ. 청년기와 관련된 문제들 = 5
   1. 왜 청년기를 연구하는가 = 5
   2. 독립된 발달단계로서 청년기의 확립 = 6
   3. 청년기의 정의 = 7
   4. 청년기의 발달과업 = 12
  Ⅱ. 청년기 연구의 문제점과 특징적 현상 = 14
   1. 청년기 연구의 문제점 = 14
   2. 청년기 연구의 특징적 현상 = 17
   3. 청년기 연구의 윤리적 문제 = 19
  Ⅲ. 청년심리학의 연구방법 = 20
   1. 양적 연구방법 = 21
   2. 질적 연구방법 = 30
 제2장 청년기를 설명하는 이론
  Ⅰ. 생물사회적 조망 = 38
   1. 스탠리 홀 = 38
   2. 로저 바커 = 39
  Ⅱ. 정신분석적 조망 = 40
   1. 지그문트 프로이트 = 40
   2. 안나 프로이트 = 43
  Ⅲ. 심리사회적 조망 = 44
   1. 프로이트와 에릭슨의 차이점 = 45
   2. 정체감 대 역할혼란의 시기로서 청년기 = 47
  Ⅳ. 사회인지적 조망 = 48
   1. 알버트 반두라 = 48
   2. 로버트 셀만 = 49
  Ⅴ. 사회문화적 조망 = 52
   1. 마가렛 미드 = 52
   2. 루스 베네딕트 = 54
   3. 킹스리 데이비스 = 55
  Ⅵ. 대인관계적 조망 = 56
   1. 헤리 스택 설리반 = 56
   2. 조지 레빙거 = 59
  Ⅶ. 맥락적 조망 = 60
   1. 쿠르트 레빈 = 61
   2. 브론펜브레너 = 65
   3. 리차드 러너 = 69
  Ⅷ. 적응적 조망 = 73
   1. 발달의 개념 = 74
   2. SOC이론 = 74
   3. SOC이론과 청년기의 정체감 연구 = 77
제2부 청년기의 특징적 변화
 제3장 신체변화와 성적 발달
  Ⅰ. 사춘기의 의미 = 82
   1. 사춘기의 시작 = 83
   2. 내분비체계의 변화 = 83
  Ⅱ. 청년기의 신체변화 = 86
   1. 신장과 체중의 변화 = 87
   2. 신체 다른 부위의 변화 = 92
   3. 성장의 가속화 현상 = 94
  Ⅲ. 청년기의 성적 변화 = 100
   1. 사춘기의 호르몬 변화 = 100
   2. 남성의 성적 성숙 = 101
   3. 여성의 성적 성숙 = 103
   4. 성욕의 발달 = 104
  Ⅳ. 신체성장의 영향 = 105
   1. 신체변화에 따른 심리적 변화 = 106
   2. 사춘기의 호르몬 변화와 청소년의 행동 = 106
   3. 외모와 체중이상 = 109
   4. 조숙과 만숙 = 114
 제4장 지적·인지적 변화
  Ⅰ. 지적 발달의 심리측정적 조망 = 120
   1. 지능과 인지 = 121
   2. 지능의 차원 = 121
   3. 지능의 측정 = 122
   4. 지능의 발달적 패턴 = 127
   5. 청년기 지능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29
   6. 정서지능 = 131
  Ⅱ. 지적 발달의 인지발달적 조망 = 133
   1. 인지발달을 위한 필수 요소 = 133
   2. 형식적 조작능력의 출현 = 134
   3. 형식적 조작능력의 부정적 영향 = 138
   4. 형식적 조작능력의 발달에 관한 연구 = 142
  Ⅲ. 지능과 정보처리 = 144
   1. 스턴버그의 지능의 삼원이론 = 145
   2. 청년기 동안 정보처리능력에서의 변화 = 147
   3. 청년기의 의사결정능력 = 149
   4. 인지발달에 대한 새로운 시각 = 151
  Ⅳ. 사회적 맥락에서의 인지의 역할 = 152
   1. 사회인지능력에서의 변화 = 152
   2. 청년기의 위험감행 행동 = 154
 제5장 가치관의 확립 : 도덕성 발달과 정치적 및 종교적 가치관의 발달
  Ⅰ. 가치관이란 무엇인가 = 160
  Ⅱ. 도덕성의 발달 = 162
   1. 정신분석 이론 = 163
   2. 사회학습 이론 = 164
   3. 인지발달 이론 = 166
   4. 친사회적 추론과 행동의 발달 = 178
  Ⅲ. 도덕성 발달에 영향을 주는 요인 = 179
   1. 부모의 영향 = 179
   2. 동년배와 TV의 영향 = 182
   3. 학교의 영향 = 185
   4. 전쟁이나 사회적 갈등의 영향 = 186
  Ⅳ. 정치적 및 종교적 가치관 = 188
   1. 정치적 가치관 = 188
   2. 종교적 가치관 = 192
 제6장 정서, 성격 및 대처양식의 변화
  Ⅰ. 청년기 동안의 정서변화 = 202
   1. 정서연구의 흐름 = 203
   2. 청년기의 정서조절 지표 = 204
   3. 청년기 정서변화의 원인 = 205
   4. 청년기의 대표적 정서 = 207
   5. 청년기 동안의 심리사회적 성숙 = 210
  Ⅱ. 청년기 동안의 성격변화 = 211
   1. 초기의 연구 = 211
   2. 레빙거의 자아발달 단계 - 성격에 대한 유형학적 접근 = 213
   3. 5요인 모델 - 성격에 대한 차원적 접근 = 221
   4. 기질과 적합도 = 223
   5. 청년기의 대표적 방어기제 = 225
  Ⅲ. 대처양식의 변화 = 226
   1.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사건 = 227
   2. 대처양식의 유형 = 230
   3. 대처양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35
 제7장 정체감 탐색
  Ⅰ. 정체감이란 무엇인가 = 238
   1. 청년기 문제로서의 정체감 = 238
   2. 자기개념으로서의 정체감 = 240
   3. 자기존중감으로서의 정체감 = 243
   4. 에릭슨의 자아정체감 = 251
  Ⅱ. 정체감 상태 = 254
   1. 네 가지 정체감 상태 = 255
   2. 발달단계로서의 정체감 상태 = 257
   3. 조셀슨의 종단연구 = 258
   4. 정체감 발달과 관련된 요인 = 260
  Ⅲ. 정체감 형성과 성역할 = 263
   1. 성역할 고정관념과 성역할 정체감 = 263
   2. 청년기 동안의 성역할 사회화 = 264
   3. 정체감 발달의 성차 = 266
  Ⅳ. 직업선택 = 271
   1. 직업선택의 발달적 특성 = 271
   2. 직업선택에 영향을 주는 요인 = 273
제3부 청년기의 맥락
 제8장 청년기의 맥락Ⅰ : 가족관계의 변화
  Ⅰ. 청년기와 가족생활주기 = 282
   1. 가족생활주기 모델 = 283
   2. 가족생활주기와 부부의 만족 = 284
  Ⅱ. 가족의 기능 = 285
   1. 가족체계 조망 = 285
   2. 가족기능에서의 변화 = 287
   3. 가족관계 지도 : 지노그램 = 289
   4. 가족구조의 변화 = 292
  Ⅲ. 부모-청소년의 상호작용 = 296
   1. 부모역할 양식 모델 = 297
   2. 애착 모델 = 302
   3. 직접적 부모통제 모델 = 305
  Ⅳ. 부모-청소년의 관계 = 306
   1. 청년기 자녀를 둔 부모 = 306
   2. 부모로부터의 분리 = 308
   3. 부모-청소년 관계의 구체적 양상 = 310
  Ⅴ. 청년기 동안의 형제자매 관계 = 316
   1. 형제자매들은 얼마나 유사한가 = 316
   2. 형제자매 관계의 질적 특성 = 317
 제9장 청년기의 맥락 Ⅱ : 동년배 관계, 학교 및 전자매체의 영향
  Ⅰ. 동년배 관계 = 322
   1. 애착대상의 변화 = 323
   2. 동년배 집단의 특성 = 326
   3. 우정의 본질 = 335
   4. 동년배 관계 연구의 문제점 = 339
  Ⅱ. 학교의 영향 = 341
   1. 학교의 기능 = 342
   2. 교사의 역할과 기대 = 344
   3. 학업 수행에 영향을 주는 요인 = 345
   4. 학교와 관련된 문제 = 347
  Ⅲ. 전자매체의 영향 = 351
   1. 인터넷 = 351
   2. 게임 = 356
제4부 청년기의 문제
 제10장 이성에 대한 관심과 성행동
  Ⅰ. 이성교제 = 364
   1. 이성교제의 특성 = 365
   2. 데이트의 기능 = 366
  Ⅱ. 청년기 문제로서의 성욕 = 366
   1. 성적 감정의 기원 = 367
   2. 성욕의 성차 = 368
   3. 건강한 성적 발달 = 369
  Ⅲ. 성에 대한 태도와 행동의 변화 = 370
   1. 성의 개방화 추세 = 370
   2. 이중기준의 변화 = 372
   3. 남성의 성과 여성의 성 : 성의 심리사회적 의미 = 372
   4. 성행동을 부추기는 위험요인 = 374
  Ⅳ. 청년기의 성행동 = 376
   1. 최초의 성행동 - 성적 환상과 자위행위 = 376
   2. 혼전성교 = 377
   3. 동성애 = 382
  Ⅴ. 청년기의 성행동과 관련된 문제 = 386
   1. 10대의 임신, 피임, 낙태 = 386
   2. 성병 = 389
   3. 성행동과 다른 위험행동의 관계 = 394
   4. 청소년을 위한 성교육 = 395
 제11장 청년기 문제행동의 특징과 물질사용
  Ⅰ. 청년기 문제행동의 특징 = 400
   1. 문제행동의 전반적 현황 = 402
   2. 문제행동의 분류 = 403
   3. 문제행동 증후군 = 404
   4. 문제행동의 맥락적 기초 = 407
  Ⅱ. 탄력성 = 408
   1. 탄력성의 정의 = 408
   2. 위험요인과 보호적 요인들 = 409
   3. 탄력적 청소년의 특징 = 411
   4. 컴퍼의 탄력성 모델 = 413
  Ⅲ. 청년기의 물질사용 = 415
   1. 물질사용의 일반적 특징 = 416
   2. 한국 청소년들의 물질사용 실태 = 418
   3. 남용되는 물질 = 420
   4. 물질남용의 예방과 처치 = 430
 제12장 청년기의 문제행동 : 외재화 장애와 내재화 장애
  Ⅰ. 외재화 장애 - 비행과 폭력 = 434
   1. 비행 = 434
   2. 폭력행동 = 448
   3. 외재화 장애의 예방과 처치 = 457
  Ⅱ. 내재화 장애 = 458
   1. 내재화 장애의 진단기준 = 459
   2. 구체적 내재화 장애 = 460
   3. 우울장애를 포함하는 내재화 장애의 원인과 처치 = 468
참고문헌 = 471
인명색인 = 507
사항색인 = 510


관련분야 신착자료

Gallwey, W. Timothy (2023)
School of Lif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