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머리말 = 15
제1편 정보사회의 도래와 사회변화
제1장 정보사회의 전자민주주의와 전자정부 개관 = 19
제1절 들어가는 말 = 19
제2절 정보사회의 도래와 발전 = 22
제3절 전자민주주의와 전자정부의 상관성 = 24
1. 전자민주주의와 전자정부 = 24
2. 전자민주주의의 실현 가능성 = 28
3. 전자정부 구현과 행정개혁 = 30
제4절 맺음말 = 33
제2장 정보사회와 민주주의의 논의 = 39
제1절 들어가는 말 = 39
제2절 정보사회의 논의와 그 개념 = 42
1. 정보사회의 논의 = 42
2. 정보사회의 개념 = 45
제3절 정보사회와 민주주의의 변화 = 48
1. 정보통신기술 발달과 사회구조 변화 = 48
2. 정보통신기술과 민주주의의 함의 = 51
제4절 정보사회와 민주주의의 이행 = 57
제5절 맺음말 = 64
제3장 정보사회의 기본 관점과 담론 = 71
제1절 들어가는 말 = 71
제2절 정보사회를 바라보는 관점 = 74
1. 기술발달과 사회변화와의 관계 = 74
2. 사회체계의 연속성 = 77
3. 사회체계론 비교 = 86
제3절 정보사회로의 이행 = 89
1. 기술결정론에 의한 사회체계 단절성 = 89
2. 사회결정론에 의한 사회체계 연속성 = 96
제4절 맺음말 = 102
제4장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 = 109
제1절 들어가는 말 = 109
제2절 인터넷의 개념과 발전 = 111
1. 인터넷의 개념 = 111
2. 인터넷의 발전 = 115
3. 인터넷의 서비스와 유용성 = 117
제3절 정보통신기술의 속성과 가상공동체 = 119
1. 정보통신기술의 속성 = 119
2. 가상공동체 형성과 네트워크 = 122
제4절 맺음말 = 129
제2편 전자민주주의와 사이버 정치
제5장 전자민주주의의 논의와 그 유형 = 137
제1절 들어가는 말 = 137
제2절 전자민주주의 개념과 그 유형 = 139
1. 전자민주주의의 개념 = 139
2. 전자민주주의의 등장배경 논의 = 141
3. 전자민주주의의 유형 = 144
제3절 전자민주주의 각 유형의 행태와 사례 = 151
제4절 전자민주주의 유형의 한계 = 158
제5절 맺음말 = 164
제6장 전자민주주의와 정치참여 = 173
제1절 들어가는 말 = 173
제2절 참여민주주의 실현 논의 = 176
제3절 전자민주주의와 정치참여 주체 = 181
1. 네티즌 : 개인과 일반 시민 = 181
2. 전자정부 = 183
3. 정치인, 정당 그리고 정치권 = 183
4. 시민단체(NGO) = 185
제4절 전자민주주의 실현과 정치참여 방법 = 186
1. 인터넷을 통한 정치참여 = 186
2. 자유토론과 공론장 = 189
3. 인터넷을 이용한 선거운동 = 191
제5절 전자민주주의의 사례 논의와 그 한계 = 194
1. 전자민주주의의 사례 논의 = 194
2. 전자민주주의의 한계 = 203
제6절 맺음말 = 205
제7장 전자민주주의와 분권·정보공개 = 211
제1절 들어가는 말 = 211
제2절 전자민주주의와 권력, 그리고 정보 = 213
1. 정보화와 권력관계 = 2l3
2. 정보의 속성과 분권 = 218
3. 전자민주주의와 정보공개 = 220
제3절 분권화와 정보공개 = 223
1. 정보사회와 분권화 = 223
2. 정보공개와 알 권리 = 225
3. 인터넷을 통한 정보공개 = 229
4. 정보접근의 한계 = 23l
제4절 전자민주주의의 분권과 정보공개 사례 = 232
1. 전자민주주의와 분권 사례 = 232
2. 정보공개와 접근 사례 = 234
3. 정보공개와 접근의 한계 = 238
제5절 맺음말 = 239
제8장 사이버 정치와 정치비용 = 247
제1절 들어가는 말 = 247
제2절 사이버 정치의 실현과 정치비용 관계 = 250
1. 사이버 정치와 정치비용 = 25O
2. 사이버 정치의 전제조건과 한계 = 253
제3절 사이버 정치의 저비용 고효율 정치 = 256
1. 사이버 공간과 홈페이지 활용 = 257
2. 온라인 선거운동과 정치비용 = 260
3. 전자투표 활용방안 = 263
제4절 사이버 정치와 저비용 고효율 생산적 정치 = 265
1. 홈페이지 활동 사례 = 265
2. 온라인 정치활동 사례 = 267
3. 인터넷 전자투표 사례 = 271
제5절 맺음말 = 273
제3편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패러다임
제9장 전자정부의 유형과 추진체계 = 279
제1절 들어가는 말 = 279
제2절 전자정부의 이론적 배경과 개념 = 28l
1. 전자정부의 등장배경 = 28l
2. 전자정부의 개념과 논의 = 284
제3절 전자정부의 구성요소와 유형 = 290
1. 전자정부의 구성요소 = 290
2. 전자정부의 유형 분류 = 297
제4절 전자정부의 추진체계와 정향 = 304
1. 전자정부의 추진목적 = 304
2. 전자정부의 위상 = 306
3. 전자정부의 역할 = 307
4. 전자정부의 이념 = 308
5. 국민을 보는 시각 = 309
제5절 맺음말 = 311
제10장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논의 = 317
제1절 들어가는 말 = 317
제2절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 320
1. 전자정부의 행정개혁 의의 = 320
2. 전자정부의 행정개혁 이념 = 322
3. 전자정부의 행정개혁 역할과 조직구조 = 324
4. 전자정부와 행정개혁 정향 = 327
제3절 전자정부의 행정개혁 추진현황 = 329
1. 전자정부의 효율성 강화와 행정개혁 = 329
2. 전자정부의 민주성 강화와 서비스 개선 = 341
제4절 전자정부의 한계와 문제점 = 353
1. 전자정부 내부의 구조개혁의 한계 = 354
2. 전자정부 추진체계 부족과 리더십 부재 = 354
3. 전자정부 업무의 한계 = 355
4. 전자정부의 정보공개와 서비스 문제 = 355
5. 정보인권 침해 문제 = 356
6. 법적·제도적 준비 미비 = 356
제5절 맺음말 = 357
제11장 우리나라 전자정부의 추진현황과 발전방향 = 363
제1절 전자정부 개관 = 363
제2절 정보화 추진현황과 전자정부 구축 = 366
1. 정보화 추진현황 = 366
2. 전자정부 추진과정과 내용 = 371
3. 전자정부 법·제도 정비 = 379
제3절 전자정부 구현과 그 내용 = 385
1. 대국민 행정 서비스 혁신 = 385
2. 전자정부 생산성 향상 = 387
3. 전자정부 기반 구축 = 390
제4절 맺음말 = 393
제12장 세계 각 국의 전자정부 추진현황 = 399
제1절 들어가는 말 = 399
제2절 세계 각 국의 전자정부 추진목표 = 401
1. 미국의 전자정부 추진목표 = 401
2. 일본의 전자정부 추진목표 = 404
3. 영국의 전자정부 추진목표 = 407
4. 프랑스의 전자정부 추진목표 = 410
5. 독일의 전자정부 추진목표 = 412
6. 중국의 전자정부 추진목표 = 415
제3절 전자정부의 서비스 = 418
1. 미국의 전자정부 서비스 = 418
2. 일본의 전자정부 서비스 = 421
3. 영국의 전자정부 서비스 = 422
4. 프랑스의 전자정부 서비스 = 425
5. 독일의 전자정부 서비스 = 426
6. 중국의 전자정부 서비스 = 428
제4절 전자정부의 구축현황 = 429
1. 전자정부의 포털 사이트 추진 = 429
2. 전자정부의 인프라 구축 = 431
3. 전자정부의 추진체계 = 432
4. 전자정부의 수요 반영 = 433
5. 전자정부의 서비스 제공 = 434
제5절 맺음말 = 436
색인 = 4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