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상담의 맥락 = 1
이 장의 목적 = 2
이 장을 읽으면서 고려해 볼 사항들 = 2
상담이란 무엇인가? = 3
상담의 준거 = 5
상담조건과 효과 = 14
상담성과의 사례 예시 = 18
유능한 상담자의 특성 = 19
상담학습의 발달적 본질 = 27
요약 = 28
연습 = 29
토론할 질문 = 30
추천도서 = 31
제2장 상담의 단계와 기술 = 33
이 장의 목적 = 34
이 장을 읽으면서 고려해 볼 사항들 = 34
상담의 단계 = 35
상담에서 내담자의 경험 = 51
요약 = 60
연습 = 61
토론할 질문 = 62
추천도서 = 62
제3장 라포와 관계형성 = 65
이 장의 목적 = 66
이 장을 읽으면서 고려해 볼 사항들 = 66
'진실한 관계'의 특징들 = 67
공감을 전달하기 = 73
진실성을 전달하는 조건들 = 85
긍적적 관심을 전달하는 조건들 = 90
치료적 관계의 기능들 = 92
내담자에 대한 치료적 관계의 효과들 = 94
관계형성 단계 = 95
아동과의 상담관계 형성 = 97
요약 = 98
연습 = 99
연습에 대한 피드백 = 103
토론할 질문 = 105
추천도서 = 105
제4장 내담자 문제의 평가 = 107
이 장의 목적 = 108
이 장을 읽으면서 고려해 볼 사항들 = 108
평가의 목적 = 109
평가의 요소 = 111
아동을 대상으로 한 임상평가 = 116
부부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임상평가 = 119
평가정보의 활용 = 120
평가와 관련된 기술 = 121
평가가 내담자에게 미치는 효과 = 124
접수면접 = 126
문제정의와 치료계획의 통합 = 131
요약 = 132
연습 = 132
연습에 대한 피드백 = 134
토론할 질문 = 134
추천도서 = 135
제5장 상담목표의 개발 = 137
이 장의 목적 = 138
이 장을 읽으면서 고려해 볼 사항들 = 138
상담목표의 기능 = 139
목표설정의 구성요소 : 과정목표와 결과 목표 = 141
바람직한 결과목표의 세 가지 요소 = 143
구체적 목표수립의 장애요소 = 143
목표수립을 위한 기법 = 146
목표수립이 내담자에게 미치는 효과 = 149
아동상담에서의 목표수립 = 151
목표수립에 있어 다문화적 고려 = 151
실존적 상담과 영적 상담에서의 목표수립 = 153
목표수립에 있어서 내담자의 참여 = 154
목표수립에 대한 내담자의 저항 = 155
목표수립에 대한 사례 예시 = 159
요약 = 162
연습 = 163
연습에 대한 피드백 = 164
토론할 질문 = 165
추천도서 = 166
제6장 상담의 전략과 개입의 선택 = 167
이 장의 목적 = 168
이 장을 읽으면서 고려해 볼 사항들 = 168
이론과 작업동맹 = 169
세계관과 작업동맹 = 170
문제제시와 작업동맹 = 173
시간과 작업동맹 = 177
수립된 목표와 치료계획 = 178
치료전략의 선택 = 180
상담개입의 범주 = 181
치료전략과 개입선택의 사례 = 184
상담전략에 대한 정의 = 186
아동상담에서의 전략 = 189
요약 = 189
연습 = 190
연습에 대한 피드백 = 194
토론할 질문 = 194
추천도서 = 195
제7장 정서적 개입 = 197
이 장의 목적 = 198
이 장을 읽으면서 고려해 볼 사항들 = 198
감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들 = 200
정서적 개입 = 200
내담자가 감정을 표현하도록 돕기 = 202
비언어적 감정단서들 = 203
언어적 감정단서들 = 204
감정정리 돕기 = 211
초점화 기법 = 216
초점화에 대한 사례 예시 = 216
내담자의 감정상태를 통합하거나 변화시키도록 돕기 = 219
신체 작업치료 = 232
정서개입에 대한 내담자의 반동 = 233
요약 = 234
연습 = 234
토론할 질문 = 236
추천도서 = 236
제8장 인지적 개입 = 239
이 장의 목적 = 240
이 장을 읽으면서 고려해 볼 사항들 = 240
인지적 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들 = 242
인지적 개입의 목적 = 242
문화와 인지적 과정 = 243
인지적 문제의 평가 = 243
A-B-C-D 분석 = 245
A-B-C-D 분석의 사례 = 249
지시와 재결단 작업 = 256
지시와 재결단 작업의 사례 = 258
인지재구조화 = 260
REBT와 인지재구조화의 차이점 = 264
역설적 개입들 = 265
영적 문제의 인지적 개입 = 269
인지적 전략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 271
요약 = 275
연습 = 275
연습에 대한 피드백 = 279
토론할 질문 = 281
추천도서 = 281
제9장 행동적 개입 = 283
이 장의 목적 = 284
이 장을 읽으면서 고려해 볼 사항들 = 284
행동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이론들 = 285
행동개입의 목적 = 288
사회적 모델링 = 289
모델링, 시연 및 피드백 : 기술훈련의 구성요소 = 301
기술훈련의 사례 = 304
조작적 조건형성 개입 = 306
불안감소법 = 306
불안감소에 대한 사례 = 317
안구운동의 둔감화 = 319
자기 관리 = 320
자기 관리의 사례 = 330
행동적 개입에 대한 내담자의 반응 = 332
요약 = 335
연습 = 336
토론할 질문 = 339
추천도서 = 340
제10장 체계적 개입 = 343
이 장의 목적 = 344
이 장을 읽으면서 고려해 볼 사항들 = 344
체계의 중요성을 강조한 이론들 = 345
대인간 체계적 사고 = 347
의사소통 패턴 바꾸기 = 349
의사소통 기술훈련 = 350
도망자/추적자의 사례 예시 = 353
가족구조 바꾸기 = 359
가족조각술의 사례 예시 = 364
전략적으로 가족과 작업하기 = 371
요약 = 375
연습 = 376
토론할 질문 = 377
추천도서 = 377
제11장 종결과 추수상담 = 379
이 장의 목적 = 380
이 장을 읽으면서 고려해 볼 사항들 = 380
종결 단계 = 381
과정으로서의 종결 = 386
의뢰 과정 = 389
의뢰에 협조하기 = 391
종결을 방해하는 요인들 = 392
종결 사례 예시 : Alex의 사례 = 395
요약 = 399
연습 = 400
토론할 질문 = 401
추천도서 = 401
제12장 위기에 처한 내담자 상담 = 403
이 장의 목적 = 404
이 장을 읽으면서 고려해 볼 사항들 = 404
위기의 본질 = 405
위기개입 모델 = 406
위기개입 단계 = 408
위기상담 단계에서의 상담자 개입 = 410
위기개입 사례 = 414
요약 = 426
토론할 질문 = 428
추천도서 = 429
부록 A 통합적인 실습훈련 = 431
부록 B 상담에 상용되는 양식과 지침 = 443
참고문헌 = 463
찾아보기 =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