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장 정서의 풍경 = 19
1. 정서를 연구하기가 어려운 이유 = 23
정서를 나타내는 언어 = 23
2. 이분법 = 25
이성 대 열정 = 25
와해 대 조직화 = 26
적극적 대 수동적 = 27
적응적 대 비적응적 = 27
의식적 대 무의식적 = 28
긍정적 대 부정적 = 29
3. 말 못하는 사람들의 정서 = 30
4. 동물의 정서 = 32
개의 정서 = 32
침팬지의 정서 = 36
동물에 대한 태도 = 38
5. 어문적 보고의 문제점 = 39
행동주의의 영향 = 39
정신분석의 영향 = 40
연구의 윤리적 문제 = 41
어문적 보고가 정서를 측정하는 최선의 수단일까 = 41
6. 정서에 대한 대략적 정의 = 43
제2장 정서 연구의 역사적 전통 = 53
1. Charles Darwin과 진화론적 전통 = 55
2. William James와 심리생리학적 전통 = 60
3. Walter B. Cannon과 신경학적 전통 = 64
4. Sigmund Freud와 정신역동학적 전통 = 69
5. 이론 통합을 위한 시도 = 74
6. 최근의 발달 = 76
제3장 정서와 인지 = 81
1. 역사적 발단 = 81
행동주의 = 81
인지적 전통 = 83
그 밖의 공헌자들 = 85
인지의 역할에 관한 임상적 견해 = 86
순서에 관한 논쟁 = 87
인지적 연구 : 몇 가지 예 = 88
2. 인지와 진화 = 92
뇌의 진화 = 93
뇌의 크기 변화 = 95
진화에서 인지의 기능 = 97
3. 왜 환경을 예측해야 하는가 = 98
제4장 정서언어 = 101
1. 정서와 관련된 용어 = 104
정서와 정의 = 104
정서와 기분 = 106
정서와 기질 = 106
2. 정서언어를 찾아내는 방법 = 107
단어 의미의 다중성 = 111
정서를 유발하는 자극상황에 대한 연구 = 113
언어의 진화 = 115
3. 기본 정서는 몇 개나 되나 = 116
4. 기본 정서와 이차적 정서의 관계 = 121
5. 정서사전? = 124
6. 정서는 서로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가 = 125
정서 연구에 이용되는 의미미분법 = 126
정서 동그라미에 대한 연구 = 127
7. 다른 언어의 정서단어도 동그라미 모양을 취하는가 = 132
잠재의미분석이론 = 140
제5장 정서이론 = 143
1. 정신생리이론과 동기이론 = 147
Sylvan S. Tomkins : 증폭기로서의 정서 = 147
Carroll E. Izard : 차별적인 정서이론 = 149
Richard Lazarus : 정서, 평가 그리고 대처 = 151
Ross Buck : 의사소통과 정보해독으로서의 정서 = 155
Nico H. Frijda : 행위준비성 변화로서의 정서 = 157
2. 임상적 정서이론 = 158
Charles Spezzano : 정서의 소통과 해석으로서의 정신분석 = 158
Joseph M. Jones : 비기호적 통제기제로서의 정서 = 160
3. 진화론적 정서이론 = 162
Robert Plutchik : 심리진화론적 정서이론 = 163
Randolph M. Nesse : 정서의 진화적 기능 = 174
Leda Cosmides와 John Tooby : 진화심리학과 정서 = 177
제6장 정서의 측정 = 181
1. 정서에 대한 자기-보고식 측정법 = 183
형용사 체크리스트 = 184
기분상태 프로파일 = 185
정서-기분지표 = 185
2. 기분에 대한 최근 연구 = 189
'Ecstasy'의 효과 측정 = 189
기분과 성욕 = 190
상태와 특성 측정용 체크리스트 = 191
3. 자기-보고 질문지형 척도 = 192
Taylor의 표명불안척도 = 193
상태-특성 불안검사 = 194
정서 프로파일 지수 = 195
4. 정서에 대한 문화간 질문지 연구 = 198
5. 행동 평정을 통한 정서 측정 = 199
정신과 환자용 평정척도 = 200
정신지체 환자용 평정척도 = 201
아동용 평정척도 = 202
유아의 행동 평정 = 203
6. 동물의 정서 평정 = 205
개코원숭이와 침팬지 정서의 평정 = 206
침팬지에게서 발견된 이상행동의 예 = 208
쥐의 공격성 측정 = 210
7. 인간 행동의 부산물을 통한 정서 측정 = 211
정서 측정용 인물화 그리기 = 214
8. 정서에 대한 생리적 측정과 신경적 측정 = 217
생리적 측정 = 217
뇌기능 측정 = 220
제7장 얼굴표정과 정서 = 223
1. 얼굴 근육에 관한 연구 = 225
2. 사진을 이용한 연구 = 230
포즈를 취한 얼굴표정에 대한 판단 = 230
포즈를 취하지 않은 '자연적' 표정 = 232
3. 보편적인 얼굴표정 탐색 = 234
얼굴표정은 학습된 것인가 아니면 타고난 것인가 = 234
문맹사회에서의 얼굴표정에 관한 판단 = 235
4. 얼굴표정에 대한 컴퓨터 시뮬레이션 = 237
노아 가면 이용 = 238
합성 이미지 = 239
얼굴표정과 동그라미 모형 = 243
5. 공예품에 관한 연구 = 244
6. 선천적 시각장애 아동들의 정서적 표현 = 248
7. 신체적 정서 표현 = 252
비어문적 행동으로서의 얼굴표정 = 252
체취를 통한 표현 = 252
땀을 통한 표현 = 253
8. 음성을 통한 정서 표현 = 253
9. 의사소통수단으로서의 몸짓 = 255
10. 얼굴표정의 신경생리학 = 258
얼굴 근육 = 258
신경 손상이 얼굴표정에 미치는 효과 = 259
유아의 얼굴표정 = 261
11. 정서적 얼굴표정에 관한 이론 = 261
핵심 쟁점 = 261
Darwin의 원리 = 264
얼굴표정에 대한 말초이론 = 265
얼굴표정에 대한 중추이론 = 266
얼굴표정에 대한 기능이론 = 267
12. 얼굴표정의 진화론적 기원 = 268
개코원숭이 = 269
긴꼬리원숭이 = 269
얼굴표정의 기원 = 270
제8장 정서의 발달 = 275
1. 영아의 행동양상 = 277
Darwin의 관찰 = 278
Watson의 관찰 = 280
영아와 어린 아동들이 보이는 노여움 = 282
2. 영아 행동의 다양성 = 284
3. 영아의 정서에 대한 추론 = 288
미소 = 288
놀라움 = 289
4. 원숭이 정서에 대한 추론 = 290
5. 영아의 사회적 애착과 두려움 = 290
6. 정서 표현으로서의 발성 = 291
7. 영아의 정서행동이 갖는 기능 = 294
8. 부모와 영아의 상호작용 = 296
9. 영아의 얼굴표정 = 299
10. 애착이론 = 303
애착형태의 문화간 차이 = 304
Bowlby의 생각을 확장한 Harlow = 305
11. 아동은 언제 정서개념을 배우는가 = 308
12. 아동은 정서의 원인을 이해할 수 있는가 = 311
제9장 정서와 진화 = 315
1. 진화의 본질 = 319
유전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 321
진화적 기록과 생물의 연속성 = 324
2. 일반적인 진화적 적응 = 326
유전과 학습 = 328
포괄적 적합성 = 329
인접 원인과 궁극적 원인 = 331
안정적 특성과 가변적 특성 = 333
환경적으로 안정적인 특성의 예 = 334
적합성 개념 = 336
3. 정서의 기능 = 337
단세포 유기체의 적응행동 = 328
정서에 대한 진화론적 정의 = 340
4. 동물의 정서 = 341
침팬지의 정서에 관한 Hebb의 생각 = 342
동물의 정신상태 확인하기 = 345
선택행동을 근거로 한 정서 판단 = 346
또래집단행동을 근거로 한 정서 판단 = 347
치환행동을 근거로 한 정서 판단 = 349
5. 정서상태에 대한 자각 = 350
깨닫지 못하는 정서 = 353
동물의 주관적 상태 측정 = 356
제10장 정서와 의사소통 = 359
1. 의사소통과 사회행동 = 362
버빗원숭이의 경보소리 = 364
2. 동물의 정서적 표명이 가진 의사소통기능 = 366
조류의 의사소통 = 367
냄새를 통한 호랑이의 의사소통 = 370
코끼리의 공격의도 전달 = 370
3. 의사소통으로서의 성기 과시 = 371
4. 원숭이는 얼굴에 나타난 정서를 읽을 수 있을까 = 373
5. 화학적 의사소통 = 375
동물의 페로몬 = 375
인간에게도 페로몬이 있는가 = 376
6. 정서적 표명 사이의 갈등 = 378
갈등신호로서의 자세 = 378
기만을 위한 표명 = 381
7. 진화와 의사소통 = 382
8. 동물의 언어 = 385
제11장 정서와 뇌 = 393
1. 신경계가 없는 동물 : 정서라는 개념을 적용하는 것이 적절할까 = 395
2. 뇌의 진화 = 399
3. 뇌의 주요 구조물 = 402
편도체 = 404
변연계 = 408
4. Paul Maclean과 내장 뇌 = 409
정서와 정신운동성 간질 = 413
5. Robert Heath와 정서의 신경적 기초 = 415
쾌락체계 = 416
혐오체계 = 417
6. Jose M. R. Delgado : 정서와 단편적 행동의 조직 = 417
7. Jaak Panksepp : 정서에 대한 신경통제체계 = 419
8. Detlev Ploog : 신경동물행동학과 발성을 통한 정서 표현 = 423
울음소리의 선천성 = 425
뇌의 발성행동 조직화 = 425
함의 = 426
9. 데카르트의 오류 : 마음과 신체는 분리되어 있다 = 427
10. Joseph E. Le Doux : 정서적 평가와 뇌 = 429
11. 약물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 433
12. 신경전달물질과 정서 = 434
13. 뇌의 기능에 관한 지식에 함축된 의미 = 436
제12장 일상생활의 사랑과 슬픔 = 441
1. 사랑 = 441
고대 서양의 관점 = 442
청교도식 사고 = 443
그 후 미국의 사고방식 = 444
Freud의 영향 = 444
사랑에 관한 연구 = 445
사랑의 기능 : 애착이론 = 447
인간의 교접과 애착 = 449
2. 슬픔과 우울 = 450
반응성 우울증 대 내인성 우울증 = 453
우울증의 역학 = 454
우울증의 원인 = 456
우울증과 신체적 질환 = 458
3. 우울증의 치료 = 458
인지-행동치료 = 460
정신역동적 치료 = 460
항우울제의 작용방식 = 461
4. 슬픔과 우울의 기능 = 462
제13장 정서장애 = 467
1. 정서장애란 무엇인가 = 467
2. 두려움과 불안 = 472
불안장애에 대한 임상적 묘사 = 475
공황장애 = 476
3. 불안이론 = 479
공황장애의 경보오류 가설 = 479
삼중 취약성 이론 = 480
불안의 무의식적 활성화 이론 = 481
4. 불안의 치료 = 482
5. 두려움과 불안의 기능 = 483
6. 분노와 공격 = 485
7. 자살과 폭력의 상호작용 = 488
8. 분노와 공격성의 기능 = 491
인간의 분노 = 495
공격성의 어두운 측면 = 496
폭력의 원천 = 497
9. 분노의 통제 = 498
참고문헌 = 503
찾아보기 = 5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