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735namccc200253 k 4500 | |
001 | 000045129760 | |
005 | 20100806055341 | |
007 | ta | |
008 | 040615s2004 ggka 000a kor | |
020 | ▼a 8934915293 ▼g 03590: ▼c \15900 | |
035 | ▼a KRIC09352331 | |
040 | ▼a 241018 ▼d 211048 ▼d 243001 ▼d 211009 ▼d 211010 | |
082 | 0 4 | ▼a 641.3372 ▼a 394.15 ▼2 21 |
090 | ▼a 641.3372 ▼b 2004d | |
100 | 1 | ▼a 최성민 ▼0 AUTH(211009)90600 |
245 | 1 0 | ▼a 차 만드는 사람들 : ▼b 진득한 차살이 이야기 / ▼d 최성민 엮음. |
250 | ▼a 1판. | |
260 | ▼a 파주 : ▼b 김영사 , ▼c 2004. | |
300 | ▼a 334 p. : ▼b 색채삽도 ; ▼c 23 cm. | |
650 | 0 | ▼a Tea ▼z Korea (South) |
650 | 0 | ▼a Tea ▼v Miscellanea. |
900 | 1 1 | ▼a Ch`oe, Song-min |
940 | ▼a Ch`a mandunun saramdul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41.3372 2004d | 등록번호 1112990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보건)/ | 청구기호 641.3372 2004d | 등록번호 1410366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 청구기호 641.3372 2004d | 등록번호 1112990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3자료실(4층)/ | 청구기호 641.3372 2004d | 등록번호 11129900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보건)/ | 청구기호 641.3372 2004d | 등록번호 14103662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학술정보관(CDL)/B1 국제기구자료실(보존서고5)/ | 청구기호 641.3372 2004d | 등록번호 111299007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저자소개
최성민(지은이)
서울대(교육학), 성균관대대학원(동양철학), 철학박사(「한국 수양다도의 모색」). 성균관대 유학대학원 예·다학전공과정 초빙교수. 한겨레신문 창간 발의인(1/50인), 한겨레신문 문화부기자, 여론매체부장, 논설위원 역임. 2003년 곡성 산절로야생다원 조성, 전통 차·차문화 복원운동 전개(전통 야생수제차 ‘산절로’, 수제차떡 ‘다산차병(茶山茶餠)’ 등 제다, 보급). 2018년 (사)남도정통제다·다도보존연구소 설립, 한국 전통 제다·수양다도 연구·강의·출판. 2019년 한국 전통 제다·수양다도 보급 프로그램 「힐링 곡성-야생차포레스트」 설립, 강의·실습·체험의 ‘야생차 제다/동양사상 수양론과 한국 수양다도/수양다도 음악’ 강좌 연중 운영 중. 2018년부터 서울자유시민대학, 종로구 평생학습원, 관악문화원도서관, 곡성 산절로야생다원에서 ‘차와 수양’, ‘나를 찾는 한 잔의 차’, ‘장자의 찻잔’ 등 강의. (재)한국학호남진흥원 지원으로 강진, 장흥, 해남에서 ‘남도 차문화와 마음공부법’ 강의. 저서 :『차와 수양』(책과나무), 『神妙신묘』(책과나무), 『차의 귀향』(서해문집), 『차 만드는 사람들』(김영사), 『지허스님의 차』(기획·사진, 김영사), 『그곳에 다녀오면 살맛이 난다』(심지), 『섬·섬·섬』(한겨레신문사), ‘최성민의 자연주의여행’ 『섬, 내가 섬이 되는 섬』 · 『생명 긷는 샘물여행』(김영사) 등 다수.

목차
목차 차 만드는 사람들 김수희, 농가 주부의 아름다운 차살이 = 15 무생심, 도심의 아파트에서 차를 덖는다 = 25 물거사, 큰 물, 깊은 물, 넓은 물처럼 만물을 살려내는 물로 살고파서… = 37 지허 스님, 외롭고도 행복한 조계산골 차지기 = 65 차정금, 자연으로 돌아간 징광다원, 징광잎차 = 87 선암사 칠전선원차, 한국 전통 절집차의 원형 = 107 장흥 홍희순, 함평 김순례, 허계매 할머니, 생활차 불씨를 지켜온 사람들 = 119 혜우 스님, '달마'가 동쪽으로 간 까닭은? = 125 【제다에 관한 학위 논문】수제차의 올바른 제다에 관하여 = 157 【올바른 제다 추구의 현장 한 곳】'산에서 절로 난 100% 순수 야생 수제차' 산절로 = 184 차살이의 품격을 높여주는 도우미들 찻그릇(다기) 문경요의 도천 천한봉, 찻사발과 다기의 명장 = 218 칠산 임재영, 화가 재능을 겸비한 도예가의 '피카소 따라잡기' = 224 주흘요의 월파 이정환, 주흘산 자락의 흙으로 빚은 자연 = 235 우송 움막의 김대희, 더도 덜도 아닌, 얄미울 만큼만 딱! = 240 김치준의 파격주의 도예, 진정한 자연인, 자연주의 = 247 찻상 농암 박봉규, 찻상과 한국적 차실의 창시자 = 260 다포 천연의 미학, 다포 = 276 한 편의 시와 같은 천연 염색 찻상 덮개, 박영희 = 277 하늘이 우리 민족에게 준 색깔 이름 쪽빛, 허정희 = 282 다식판과 다과 다식판 문양에 관하여, 김규석 = 290 '키다리 아줌마' 정태희의 다식, 찻자리 품격 높이는 영양식 = 299 차시, 다기함, 찻장 차시, 다기함, 찻장 차살이의 필수 도우미들 = 304 내가 만든 찻수저, 향산 김승수 = 306 차실 격조 높은 음다의 완성 공간, 차실 = 310 신라의 사원 차실, 다연원(多淵院) = 310 고려의 차실, 누각과 다헌(茶軒) = 310 조선 시대의 다옥(茶屋)과 차실 = 311 오늘날의 차실 = 315 일본의 차실 = 317 차살이 이야기 구증구포란 무엇인가? = 23 '수제 녹차'와 '야생 작설차' = 35 차의 어원 = 47 보이차 신드롬과 '차 사대주의' = 58 차 우리기와 팽주 = 60 한국차와 중국차의 차이 = 63 인간 문화재와 명인 = 76 차의 본질과 차 관련 칭호의 영원성 문제 = 80 화전춘과 우전차 = 100 매화차-별미의 차인가, 혼돈의 차인가? = 104 선암사 칠전선원차와 지허 스님의 '천강월잎차'의 구별 = 114 차씨앗 뿌리기, 차나무 기르기 = 147 쌍계사 옆 대밭이냐, 화엄사 장죽전이냐? - '한국차 시배지'논란 = 152 수제차와 기계차 = 174 신토불이와 차에 농약 치기 = 180 작설차란 무엇인가? = 189 남도 야생 차밭 탐사기 = 196 한국 차 문화사 = 199 막사발·덤벙사발·툭사발·삐뚤이사발·상사발·눈박이사발·귀얄사발…고려, 조선의 찻그릇 = 232 도자기란 무엇인가? = 255 조선 막사발과 일본의 다도, 차실, 다회 = 319 끽다거란 무엇인가? '끽다거→다선일미→다도'의 정체 = 322 구입 및 문의처 = 3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