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문 = 5
제5기 중세 시대 : 그레고리우스 7세부터 보니파키우스 8세까지 A.D. 1049-1294
1. 총괄적 참고문헌 = 21
2. 서론적 개관 = 23
제1장 힐데브린트 계열 교황들(1049-1073) = 27
3. 제1장과 2장에 대한 자료와 참고문헌 = 27
4. 힐데브란트와 그의 훈련 = 29
5. 힐데브란트와 레오 9세(1049-1054) = 32
6. 빅토르 2세와 스테파누스 9(10)세(1055-1058) = 34
7. 니콜라우스 2세와 추기경들(1059-1061) = 36
8. 성직자 결혼 관행에 대한 전쟁 = 38
9. 알렉산더 2세와 카달루스 분열(1061-1073) = 39
제2장 그레고리우스 7세(1073-1085) = 42
10. 교황에 선출된 힐데브란트. 당시 상황에 대한 그의 인식 = 42
11. 그레고리우스의 신정(神政) = 45
12. 도덕 개혁자로서의 그레고리우스 7세. 성직 매매와 성직자 결혼 = 53
13. 성직자 독신제도 강요 = 56
14. 서임권 투쟁 = 61
15. 그레고리우스 7세와 하인리히 4세 = 63
16. 카노사 (1077) = 69
17. 투쟁의 재개. 두 왕과 두 교황 = 74
18. 그레고리우스 7세의 죽음 = 79
제3장 그레고리우스 7세의 죽음부터 보름스 정교조약까지의 교황제(1085-1122) = 84
19. 빅토르 3세와 우르바누스 2세 (1086-1099) = 84
20. 파스칼리스 2세와 하인리히 5세 (1099-1118) = 87
21. 보름스 정교조약 (1122) = 90
22. 잉글랜드에서 벌어진 성직위계제도의 투쟁. 정복자 윌리엄과 란프랑쿠스 = 92
23. 윌리엄 루푸스와 안셀무스 = 97
24. 안셀무스와 헨리 1세 = 100
제4장 보름스 정교조약에서부터 인노켄티우스 3세까지의 교황제(1122-1198) = 103
25. 인노켄티우스 2세(1130-1143)와 유게니우스 3세(1145-1153) = 103
26. 브레시아의 아르놀드 = 105
27. 교황들과 호엔슈타우펜 가 = 109
28. 하드리아누스 4세와 프리드리히 바르바로사 = 111
29. 알렉산더 3세와 바르바로사의 투쟁 = 115
30. 베네치아 평화조약 (1177) = 119
31. 토머스 베켓와 잉글랜드의 헨리 2세 = 123
32. 대주교와 왕 = 128
33. 토머스 베켓의 순교 (1170년 12월 29일) = 139
34. 베켓의 살해가 끼친 결과 = 143
제5장 인노켄티우스 3세와 그의 시대(1198-1216) = 150
35. 참고문헌 = 150
36. 인노켄티우스의 훈련과 선출 = 151
37. 인노켄티우스의 교황제 이론 = 155
38. 인노켄티우스와 독일 제국 = 157
39. 인노켄티우스와 잉글랜드 왕 존 = 162
40. 인노켄티우스와 마그나 카르타 = 167
41. 제4차 라테란 공의회 (1215) = 170
제6장 인노켄티우스 3세의 죽음부터 보니파키우스 8세까지 (1216-1294) = 174
42. 교황과 프리드리히 2세의 투쟁이 시작됨 = 174
43. 그레고리우스 9세와 프리드리히 2세 (1227-1241) = 177
44. 제1차 리옹 공의회와 프리드리히의 죽음 (1241-1250) = 182
45. 호엔슈타우펜 가의 마지막 인물 = 190
46. 제국과 교횡청의 평화 (1217-1294) = 193
제7장 십자군 원정 = 200
47. 십자군 원정에 관한 참고문헌 = 200
48. 십자군 원정의 성격과 원인들 = 203
49. 십자군 소집 = 212
50. 제1차 십자군 원정과 예루살렘 함락 = 217
51. 예루살렘의 라틴 왕국(1099-1187) = 232
52. 에데사의 함락과 제2차 십자군 원정 = 237
53. 제3차 십자군 원정 (1189-1192) = 240
54. 어린이 십자군 = 248
55. 제4차 십자군 원정과 콘스탄티노플 함락 (1200-1204) = 250
56. 프리드리히 2세와 제5차 십자군 (1229) = 258
57. 성 루이와 마지막 십자군 (1248, 1270) = 261
58. 팔레스타인에서 십자군의 마지막 보루 = 265
59. 십자군이 끼친 영향 = 267
60. 군대 수도회들 = 271
제8장 수도회들 = 282
61. 수도원주의의 부흥 = 282
62. 수도원주의와 교황제 = 296
63. 클뤼니의 수사들 = 301
64. 시토회 = 307
65. 클레르보의 성 베르나르 = 311
66. 아우구스티누스회, 카르투지오회, 카르멜회, 그리고 그밖의 수도회들 = 324
67. 수도원 예언자들 : 성 힐데가르트와 피오레의 요아킴 = 335
68. 탁발수도회들 = 341
69. 프란체스코회에 관한 참고문헌 = 350
70. 아시시의 성 프란체스코 = 353
71. 프란체스코회 = 367
72. 성 도미니쿠스와 도미니쿠스회 = 376
제9장 선교 = 383
73. 개관 = 383
74. 독일 북동부에서 전개된 선교 = 384
75. 이슬람교도들에 대한 선교 = 388
76. 몽고족에 대한 선교 = 392
77. 유대인들 = 397
제10장 이단들과 그들에 대한 탄압 = 412
78. 참고문헌 = 412
79. 중세의 분리파들 = 415
80. 카타리파 = 423
81. 피에르 드 브뤼와 그 밖의 독립적인 종교 지도자들 = 433
82. 아모리파와 그 밖의 군소 분파들 = 437
83. 베긴회와 베가르회 = 440
84. 발도파 = 443
85. 알비파 정벌을 위한 십자군 전쟁 = 456
86. 종교재판소. 그 기원과 목적 = 463
87. 종교재판소. 재판 절차와 처벌 방식 = 472
제11장 대학교와 주교좌성당 = 480
88. 학교들 = 480
89. 책들과 도서관들 = 488
90. 대학교들 = 495
91. 볼로냐 대학교 = 505
92. 파리 대학교 = 510
93. 옥스퍼드와 케임브리지 = 515
94. 주교좌성당들 = 521
제12장 스콜라 신학과 신비주의 신학 = 526
95. 개관적 서론 = 526
96. 스콜라주의의 원천과 발전 = 529
97. 실재론과 유명론 = 533
98. 캔터베리의 안셀무스 = 535
99. 피에르 아벨라르 = 545
100. 아벨라르의 가르침과 신학 = 555
101. 아벨라르 당대의 손아래 학자들 = 561
102. 페트루스 롬바르두스와 신학대전 저자들 = 564
103. 신비주의 = 568
104. 신비주의자로서의 성 베르나르 = 571
105. 생 빅토르의 위그와 리처드 = 575
제13장 절정에 이른 스콜라주의 = 582
106. 헤일스의 알렉산더 = 582
107. 알베르투스 마그누스 = 583
108. 토마스 아퀴나스 = 589
109. 보나벤투라 = 603
110. 둔스 스코투스 = 608
111. 로저 베이컨 = 616
제14장 성례의 체계 = 623
112. 성례에 관한 참고문헌 = 623
113. 칠성사(七聖事) = 624
114. 세례와 견신례 = 630
115. 성찬 = 634
116. 성찬과 미신 = 642
117. 고해성사와 면죄부 = 649
118. 고해성사와 대사(大赦, 면죄부) = 655
119. 종부성사·서품·혼인 = 661
120. 죄와 은혜 = 666
121. 내세의 상태 = 673
제15장 교황과 성직자들 = 679
122. 교회법 = 679
123. 교회와 국가에서 교황의 수위권 = 684
124. 교황과 교황청 = 692
125. 주교들 = 702
126. 하위 성직자들 = 708
127. 공의회들 = 716
128. 영국의 교회와 성직자들 = 720
129. 영국의 두 주교 = 729
제16장 민간 신앙과 미신 = 735
130. 마리아 숭배 = 735
131. 성유물 숭배 = 749
132. 설교 = 754
133. 찬송과 종교시 = 762
134. 종교극 = 770
135. 채찍질 고행파 = 776
136. 마귀론과 흑마술(黑魔術, Dark Arts) = 778
137. 심판을 자초한 시대 = 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