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4기 중세 시대 : 그레고리우스 1세부터 그레고리우스 7세까지 A.D. 590-1049(혹은 1073)
제1장 중세 교회사에 대한 개관적 서론 = 15
1. 자료와 문헌 = 15
2. 중세. 범위와 일반적 성격 = 18
3. 중세 기독교를 세워간 민족들. 켈트족·튜턴족·슬라브족 = 20
4. 중세 기독교의 특성 = 25
5. 중세의 시기들 = 27
제2장 북유럽과 서유럽 야만족들의 회심 = 29
6. 중세 선교의 특성 = 29
Ⅰ. 잉글랜드·아일랜드·스코틀랜드의 개종
7. 참고문헌 = 31
8. 브리튼족 = 34
9. 앵글로색슨족 = 39
10. 그레고리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선교. 켄트의 개종(A.D. 595-604) = 41
11. 색슨족과 브리튼족 성직자들의 반목 = 46
12. 일곱 왕국 중 다른 왕국들의 개종 = 48
13. 로마에 대한 충성심의 확립. 월프리드·테오도루스·비드 = 49
14. 아일랜드의 개종. 성 패트릭과 성 브리젯 = 53
15. 성 패트릭 이후의 아일랜드 교회 = 63
16. 아일랜드가 잉글랜드에 복속됨, 그리고 로마의 지배 = 68
17. 스코틀랜드의 회심. 성 니니안과 성 켄티건 = 71
18. 성 콜룸바와 아이오나 수도원 = 74
19. 쿨디 = 80
20. 켈트 교회가 종식되고, 왕 데이비드 1세 치하에 로마가 승리하다 = 83
Ⅱ. 프랑스와 독일 그리고 인접국들의 개종
21. 고트족과 다른 게르만족 사이의 아리우스파 기독교 = 85
22. 클로비스와 프랑크족의 개종 = 87
23. 콜룸바누스와 대륙의 아일랜드 선교사들 = 91
24. 보니파키우스 이전의 독일 선교사들 = 95
25. 독일의 사도 보니파키우스 = 97
26. 보니파키우스의 제자들 : 윌리볼드·위트레흐트의 그레고리우스·풀다의 슈투름 = 105
27. 작센족의 개종. 샤를마뉴와 앨퀸. 헬리안트 = 107
Ⅲ. 스칸디나비아의 개종
28. 스칸디나비아의 이교 = 110
29. 덴마크의 기독교화. 성 안스가르 = 113
30. 스웨덴의 기독교 = 119
31. 노르웨이와 아이슬란드의 기독교화 = 121
Ⅳ. 슬라브족의 기독교화
32. 개관 = 124
33. 벤드족에 대한 기독교 선교 = 125
34. 슬라브족의 사도들인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 모라비아·보헤미아·폴란드의 기독교 = 127
35. 불가리아인들의 개종 = 132
36. 마자르족의 개종 = 133
37. 러시아의 기독교화 = 135
제3장 기독교와의 관계에서 바라본 이슬람교 = 140
38. 참고문헌 = 140
39. 통계 자료와 연표 = 145
40. 이슬람교가 교회사에서 차지하는 위치 = 147
41. 이슬람교의 고향과 조상들 = 152
42. 마호메트의 생애와 인격 = 157
43. 이슬람의 정복 = 167
44. 코란과 성경 = 170
45. 마호메트의 종교 = 178
46. 이슬람교의 예배 = 184
47. 기독교가 이슬람교와 벌인 논쟁. 모르몬교에 대한 주해 = 188
제4장 교황청의 성직위계제도와 신성로마제국 = 196
48. 교황청에 관한 총괄적 참고문헌 = 196
49. 교황들과 대립교황들, 로마 황제들의 연표 (그레고리우스 1세~레오 13세) = 198
50. 대 그레고리우스 (590-604) = 203
51. 그레고리우스와 보편적 주교직 = 210
52. 그레고리우스의 저서들 = 216
53. 그레고리우스 1세부터 그레고리우스 2세까지의 교황제(604-715) = 220
54. 그레고리우스 2세부터 자카리아스까지(715-741) = 221
55. 교황청과 프랑크족의 새 왕조의 동맹. 피핀과 성 베드로의 유증(741-755) = 223
56. 샤를마뉴 (768-814) = 226
57. 신성로마제국의 수립 (800). 샤를마뉴와 레오 3세 = 238
58. 신성로마 제국의 역사 개관 = 243
59. 샤를마뉴의 죽음에서부터 니콜라우스 1세까지의 교황청과 제국(814-858). 여자 교황 요한나의 비밀 = 250
60. 위 이시도루스 교령집 = 253
61. 니콜라우스 1세 (858년 4월-867년 11월 13일) = 258
62. 하드리아누스 2세와 요한 8세 (867-882) = 261
63. 10세기 교황청의 퇴락 = 263
64. 오토 대제의 개입 = 269
65. 교황청의 2차 타락. 오토 1세부터 하인리히 3세까지 (973-1046) = 273
66. 하인리히 3세와 수트리 교회회의. 세 경쟁 교황의 폐위 (1046) = 278
제5장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의 갈등과 분열 = 282
67. 자료와 문헌 = 282
68. 그리스 교회와 라틴 교회 사이의 일치점과 차이점 = 284
69. 분열의 원인들 = 288
70. 총대주교와 교황. 포티우스와 니콜라우스 = 290
71. 분열의 전개와 완결. 케룰라리우스 = 295
72. 수포로 돌아간 재연합의 시도들 = 298
제6장 도덕과 신앙 = 302
73. 참고문헌 = 302
74. 중세 도덕의 일반적 성격 = 303
75. 성직자들의 도덕 수준 = 306
76. 가정 생활 = 309
77. 노예제도 = 310
78. 반목과 사적 결투. 하나님의 휴전 = 314
79. 시죄법 = 316
80. 고문 = 322
81. 기독교의 사랑[자선, 선행] = 328
제7장 수도원주의 = 334
82. 중세 수도원의 용도 = 334
83. 성 베네딕투스. 성 닐루스. 성 로무알드 = 335
84. 클뤼니 수도원 = 338
제8장 교회 권징 = 341
85. 참회규정서들 = 341
86. 교회의 징계들. 출교·아나테마·성무중지령 = 343
87. 고해와 면죄부 = 347
제9장 교회와 국가 = 351
88. 입법 = 351
89. 로마법 = 353
90. 샤를마뉴의 법전 = 354
91. 잉글랜드의 입법 = 356
제10장 예배와 의식 = 359
92. 미사 = 359
93. 설교 = 361
94. 교회의 시. 그리스 찬송과 찬송가 작가들 = 363
95. 라틴 찬송. 참고문헌 = 373
96. 라틴 찬송과 찬송가 작가들 = 377
97. 칠성사(七聖事) = 396
98. 오르간과 종 = 398
99. 성인 숭배 = 400
100. 화상 숭배. 상이한 이론들 = 405
101. 화상 파괴 전쟁, 754년의 교회회의 = 410
102. 제7차 에큐메니컬 공의회(787)에 의한 화상 숭배 회복 = 414
103. 화상 파괴파의 반격, 화상 숭배파의 최후 승리(842) = 418
104. 화상 숭배에 관한 카롤링거 왕조의 책들과 프랑크 교회 = 419
105. 복음적 개혁자들. 리옹의 아고바르두스와 토리노의 클라우디우스 = 423
제11장 교리 논쟁들 = 427
106. 개관 = 427
107. 성령의 발출에 관한 논쟁 = 428
108. 필리오케에 대한 논증과 반론 = 433
109. 단의론 논쟁 = 436
110. 그리스도 안에 있는 두 의지에 관한 교리 = 437
111. 단의론과 양의론의 역사 = 441
112. 제6차 에큐메니컬 공의회 (680) = 444
113. 호노리우스의 이단 = 446
114. 제5-6차 공의회 (Concilium Quinisextum, 692) = 450
115. 단의론의 반격. 마론파 = 453
116. 양자론 논쟁. 참고문헌 = 454
117. 양자론의 역사 = 455
118. 양자론 교리 = 459
119. 예정론 논쟁 = 462
120. 고트샬크와 라바누스 마우루스 = 464
121. 고트샬크와 앙크마르 = 467
122. 예정에 관한 상충된 이론들과 반(半)아우구스티누스주의의 승리 = 468
123. 스코투스 에리게나의 교리 = 476
124. 성찬 논쟁들. 참고문헌 = 480
125. 주의 만찬에 관한 두 가지 이론 = 481
126. 파스카시우스 라드베르투스의 이론 = 483
127. 라트람누스의 이론 = 485
128. 베렌가리우스 논쟁 = 489
129. 주의 만찬에 관한 베렌가리우스의 이론 = 498
130. 란프랑쿠스와 화체설의 승리 = 500
제12장 이단 분파들 = 507
131. 바울파 = 507
132. 유키테스파와 동방의 그 밖의 분파들 = 511
133. 서방에 나타난 새 마니교 = 512
제13장 학문의 상태 = 515
134. 참고문헌 = 515
135. 중세 초기 학문의 성격 = 517
136. 동방 교회의 학문 = 518
137. 기독교 플라톤주의와 위 디오니시우스의 저서들 = 521
138. 서방 교회에 만연하던 무지 = 530
139. 교회가 교육에 쏟은 노력 = 533
140. 샤를마뉴와 대머리 샤를의 학문 후원 = 541
141. 알프레드 대왕과 영국의 교육 = 544
제14장 교회 저자들에 대한 간략한 전기 = 545
142. 6-12세기에 활동한 주요 교회 저자들의 연대순 명단 = 547
143. 고백자 막시무스 = 549
Ⅰ. 그리스 저자들
144. 다마스쿠스의 요한 = 551
145. 포티우스,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 559
146. 의역가(意譯家) 시므온 = 564
147. 외쿠메니우스 = 565
148. 테오필락투스 = 565
149. 미카엘리스 프셀루스 = 567
150. 유티미우스 지가베누스 = 568
151. 데살로니가의 유스타티우스 = 569
152. 니케타스 아코미나토스 = 571
Ⅱ. 라틴 저자들
153. 카시오도루스 = 572
154. 투르의 그레고리우스 = 576
155. 세비야의 이시도루스 = 578
156. 가경자 비드 = 584
157. 부제 파울루스 = 590
158. 아퀼레이아의 성 파울리누스 = 593
159. 앨퀸 = 595
160. 성 리우드게르 = 601
161. 오를레앙의 테오둘프스 = 604
162. 성 에이길 = 607
163. 아말라리우스 = 608
164. 아인하르트 = 611
165. 스마라그두스 = 614
166. 오를레앙의 요나스 = 615
167. 라바누스 마우루스 = 617
168. 하이모 = 629
169. 발라프리트 스트라보 = 629
170. 리옹의 플로루스 마기스터 = 632
171. 세르바투스 루푸스 = 634
172. 드루트마르 = 637
173. 성 파스카시우스 라드베르투스 = 638
174. 라트람누스 = 643
175. 랭스의 앙크마르 = 646
176. 존 스코투스 에리게나 = 655
177. 아나스타시우스 = 665
178. 베로나의 라테리우스 = 667
179. 게르베르투스 (교황 실베스터 2세) = 668
180. 샤르트르의 풀베르 = 671
181. 로둘푸스 글라베르. 브레멘의 아담 = 673
182. 성 페트루스 다미아니 = 6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