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교회사전집 . 4 : 그레고리우스 1세부터 보니파키우스 7세까지 : 중세시대 A.D. 590-1049

교회사전집 . 4 : 그레고리우스 1세부터 보니파키우스 7세까지 : 중세시대 A.D. 590-1049 (9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Schaff, Philip , 1819-1893. 이길상.
서명 / 저자사항
교회사전집 . 4 , 그레고리우스 1세부터 보니파키우스 7세까지 : 중세시대 A.D. 590-1049 / 필립 샤프 지음 ; 이길상 옮김.
발행사항
고양 :   크리스챤다이제스트 ,   2004.  
형태사항
678 p. ; 23 cm.
원표제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ISBN
8944704147 8944704104(전8권)
서지주기
참고문헌수록
000 00792namccc200253 4500
001 000045129040
005 20100806054221
007 ta
008 041112s2004 ulk 000a kor
020 ▼a 8944704147 ▼g 94230: ▼c \25000
020 1 ▼a 8944704104(전8권)
035 ▼a KRIC09551950
040 ▼a 211046 ▼d 211009 ▼d 244002
041 1 ▼a kor ▼h eng
082 0 4 ▼a 270 ▼2 21
090 ▼a 270 ▼b 2004 ▼c 4
100 1 ▼a Schaff, Philip , ▼d 1819-1893.
245 1 0 ▼a 교회사전집 . ▼n 4 , ▼p 그레고리우스 1세부터 보니파키우스 7세까지 : ▼b 중세시대 A.D. 590-1049 / ▼d 필립 샤프 지음 ; ▼e 이길상 옮김.
246 1 9 ▼a History of the Christian church.
260 ▼a 고양 : ▼b 크리스챤다이제스트 , ▼c 2004.
300 ▼a 678 p. ; ▼c 23 cm.
504 ▼a 참고문헌수록
700 1 ▼a 이길상.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04 4 등록번호 1113009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270 2004 4 등록번호 1512365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270 2004 4 등록번호 11130090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인문자료실1(2층)/ 청구기호 270 2004 4 등록번호 151236594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필립 샤프(지은이)

성서신학자, 교회사가, 선구적인 세계교회일치운동가, 스위스에서 목수의 아들로 태어나 장학금으로 공부하였다. 독일 슈투트가르트 김나지움을 졸업한 뒤 튀빙겐 대학교에 들어가 바우어 밑에서 공부하였다. 훗날 할레대학교와 베를린대학교에 들어가 톨룩, 헹스텐베르크, 네안더와 함께 공부하였다. 그는 1844년에 미국 펜실베니아 주 머서즈버그에 있는 독일 개혁교회 신학교의 교회사 및 성서학 교수로 초빙을 받았다. 그는 취임 강의를 엮어 만든 [프로테스탄트 신앙의 원칙](1844)에서 기독교 교회사를 프로테스탄트 신앙과 로마 가톨릭 신앙이 연합하여 새로운 복음주의적 가톨릭 신앙으로 나아가는 신적인 발전 과정으로 보았다. 이 강의로 이단이라는 비판을 받았으나, 훗날 그러한 비판에서 풀려났다. 그 신학교에 있으면서 네빈과 함께 머서즈버그 신학을 형성하였다. 1870년부터 죽을 때까지 뉴욕 유니온신학교 교수를 지냈다. 1866년부터 복음주의 연맹에서 일하는 가운데 기독교의 일치를 위해 적극적인 활동을 펼쳤다. 1888년 미국교회사협회를 설립하였고, 이 협회의 초대 회장을 지냈다.

이길상(옮긴이)

총신대학교 신학과와 미국 웨스트민스터 신학대학원을 졸업하였다. 오랫동안 전문번역가로 활동하였다. 특히 교회사 분야에 탁월한 번역 능력을 인정받아, 필립 샤프의 『교회사 전집 1-6』, 롤란드 베인턴의 『세계 교회사』, 『브리태니커 백과사전』의 기독교 부분 등을 번역하였다. 현재는 목회 사역 중이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제4기 중세 시대 : 그레고리우스 1세부터 그레고리우스 7세까지 A.D. 590-1049(혹은 1073)

 제1장 중세 교회사에 대한 개관적 서론 = 15

  1. 자료와 문헌 = 15

  2. 중세. 범위와 일반적 성격 = 18

  3. 중세 기독교를 세워간 민족들. 켈트족·튜턴족·슬라브족 = 20

  4. 중세 기독교의 특성 = 25

  5. 중세의 시기들 = 27

 제2장 북유럽과 서유럽 야만족들의 회심 = 29

  6. 중세 선교의 특성 = 29

  Ⅰ. 잉글랜드·아일랜드·스코틀랜드의 개종

   7. 참고문헌 = 31

   8. 브리튼족 = 34

   9. 앵글로색슨족 = 39

   10. 그레고리우스와 아우구스티누스의 선교. 켄트의 개종(A.D. 595-604) = 41

   11. 색슨족과 브리튼족 성직자들의 반목 = 46

   12. 일곱 왕국 중 다른 왕국들의 개종 = 48

   13. 로마에 대한 충성심의 확립. 월프리드·테오도루스·비드 = 49

   14. 아일랜드의 개종. 성 패트릭과 성 브리젯 = 53

   15. 성 패트릭 이후의 아일랜드 교회 = 63

   16. 아일랜드가 잉글랜드에 복속됨, 그리고 로마의 지배 = 68

   17. 스코틀랜드의 회심. 성 니니안과 성 켄티건 = 71

   18. 성 콜룸바와 아이오나 수도원 = 74

   19. 쿨디 = 80

   20. 켈트 교회가 종식되고, 왕 데이비드 1세 치하에 로마가 승리하다 = 83

  Ⅱ. 프랑스와 독일 그리고 인접국들의 개종

   21. 고트족과 다른 게르만족 사이의 아리우스파 기독교 = 85

   22. 클로비스와 프랑크족의 개종 = 87

   23. 콜룸바누스와 대륙의 아일랜드 선교사들 = 91

   24. 보니파키우스 이전의 독일 선교사들 = 95

   25. 독일의 사도 보니파키우스 = 97

   26. 보니파키우스의 제자들 : 윌리볼드·위트레흐트의 그레고리우스·풀다의 슈투름 = 105

   27. 작센족의 개종. 샤를마뉴와 앨퀸. 헬리안트 = 107

  Ⅲ. 스칸디나비아의 개종

   28. 스칸디나비아의 이교 = 110

   29. 덴마크의 기독교화. 성 안스가르 = 113

   30. 스웨덴의 기독교 = 119

   31. 노르웨이와 아이슬란드의 기독교화 = 121

  Ⅳ. 슬라브족의 기독교화

   32. 개관 = 124

   33. 벤드족에 대한 기독교 선교 = 125

   34. 슬라브족의 사도들인 키릴루스와 메토디우스. 모라비아·보헤미아·폴란드의 기독교 = 127

   35. 불가리아인들의 개종 = 132

   36. 마자르족의 개종 = 133

   37. 러시아의 기독교화 = 135

 제3장 기독교와의 관계에서 바라본 이슬람교 = 140

  38. 참고문헌 = 140

  39. 통계 자료와 연표 = 145

  40. 이슬람교가 교회사에서 차지하는 위치 = 147

  41. 이슬람교의 고향과 조상들 = 152

  42. 마호메트의 생애와 인격 = 157

  43. 이슬람의 정복 = 167

  44. 코란과 성경 = 170

  45. 마호메트의 종교 = 178

  46. 이슬람교의 예배 = 184

  47. 기독교가 이슬람교와 벌인 논쟁. 모르몬교에 대한 주해 = 188

 제4장 교황청의 성직위계제도와 신성로마제국 = 196

  48. 교황청에 관한 총괄적 참고문헌 = 196

  49. 교황들과 대립교황들, 로마 황제들의 연표 (그레고리우스 1세~레오 13세) = 198

  50. 대 그레고리우스 (590-604) = 203

  51. 그레고리우스와 보편적 주교직 = 210

  52. 그레고리우스의 저서들 = 216

  53. 그레고리우스 1세부터 그레고리우스 2세까지의 교황제(604-715) = 220

  54. 그레고리우스 2세부터 자카리아스까지(715-741) = 221

  55. 교황청과 프랑크족의 새 왕조의 동맹. 피핀과 성 베드로의 유증(741-755) = 223

  56. 샤를마뉴 (768-814) = 226

  57. 신성로마제국의 수립 (800). 샤를마뉴와 레오 3세 = 238

  58. 신성로마 제국의 역사 개관 = 243

  59. 샤를마뉴의 죽음에서부터 니콜라우스 1세까지의 교황청과 제국(814-858). 여자 교황 요한나의 비밀 = 250

  60. 위 이시도루스 교령집 = 253

  61. 니콜라우스 1세 (858년 4월-867년 11월 13일) = 258

  62. 하드리아누스 2세와 요한 8세 (867-882) = 261

  63. 10세기 교황청의 퇴락 = 263

  64. 오토 대제의 개입 = 269

  65. 교황청의 2차 타락. 오토 1세부터 하인리히 3세까지 (973-1046) = 273

  66. 하인리히 3세와 수트리 교회회의. 세 경쟁 교황의 폐위 (1046) = 278

 제5장 동방 교회와 서방 교회의 갈등과 분열 = 282

  67. 자료와 문헌 = 282

  68. 그리스 교회와 라틴 교회 사이의 일치점과 차이점 = 284

  69. 분열의 원인들 = 288

  70. 총대주교와 교황. 포티우스와 니콜라우스 = 290

  71. 분열의 전개와 완결. 케룰라리우스 = 295

  72. 수포로 돌아간 재연합의 시도들 = 298

 제6장 도덕과 신앙 = 302

  73. 참고문헌 = 302

  74. 중세 도덕의 일반적 성격 = 303

  75. 성직자들의 도덕 수준 = 306

  76. 가정 생활 = 309

  77. 노예제도 = 310

  78. 반목과 사적 결투. 하나님의 휴전 = 314

  79. 시죄법 = 316

  80. 고문 = 322

  81. 기독교의 사랑[자선, 선행] = 328

 제7장 수도원주의 = 334

  82. 중세 수도원의 용도 = 334

  83. 성 베네딕투스. 성 닐루스. 성 로무알드 = 335

  84. 클뤼니 수도원 = 338

 제8장 교회 권징 = 341

  85. 참회규정서들 = 341

  86. 교회의 징계들. 출교·아나테마·성무중지령 = 343

  87. 고해와 면죄부 = 347

 제9장 교회와 국가 = 351

  88. 입법 = 351

  89. 로마법 = 353

  90. 샤를마뉴의 법전 = 354

  91. 잉글랜드의 입법 = 356

 제10장 예배와 의식 = 359

  92. 미사 = 359

  93. 설교 = 361

  94. 교회의 시. 그리스 찬송과 찬송가 작가들 = 363

  95. 라틴 찬송. 참고문헌 = 373

  96. 라틴 찬송과 찬송가 작가들 = 377

  97. 칠성사(七聖事) = 396

  98. 오르간과 종 = 398

  99. 성인 숭배 = 400

  100. 화상 숭배. 상이한 이론들 = 405

  101. 화상 파괴 전쟁, 754년의 교회회의 = 410

  102. 제7차 에큐메니컬 공의회(787)에 의한 화상 숭배 회복 = 414

  103. 화상 파괴파의 반격, 화상 숭배파의 최후 승리(842) = 418

  104. 화상 숭배에 관한 카롤링거 왕조의 책들과 프랑크 교회 = 419

  105. 복음적 개혁자들. 리옹의 아고바르두스와 토리노의 클라우디우스 = 423

 제11장 교리 논쟁들 = 427

  106. 개관 = 427

  107. 성령의 발출에 관한 논쟁 = 428

  108. 필리오케에 대한 논증과 반론 = 433

  109. 단의론 논쟁 = 436

  110. 그리스도 안에 있는 두 의지에 관한 교리 = 437

  111. 단의론과 양의론의 역사 = 441

  112. 제6차 에큐메니컬 공의회 (680) = 444

  113. 호노리우스의 이단 = 446

  114. 제5-6차 공의회 (Concilium Quinisextum, 692) = 450

  115. 단의론의 반격. 마론파 = 453

  116. 양자론 논쟁. 참고문헌 = 454

  117. 양자론의 역사 = 455

  118. 양자론 교리 = 459

  119. 예정론 논쟁 = 462

  120. 고트샬크와 라바누스 마우루스 = 464

  121. 고트샬크와 앙크마르 = 467

  122. 예정에 관한 상충된 이론들과 반(半)아우구스티누스주의의 승리 = 468

  123. 스코투스 에리게나의 교리 = 476

  124. 성찬 논쟁들. 참고문헌 = 480

  125. 주의 만찬에 관한 두 가지 이론 = 481

  126. 파스카시우스 라드베르투스의 이론 = 483

  127. 라트람누스의 이론 = 485

  128. 베렌가리우스 논쟁 = 489

  129. 주의 만찬에 관한 베렌가리우스의 이론 = 498

  130. 란프랑쿠스와 화체설의 승리 = 500

 제12장 이단 분파들 = 507

  131. 바울파 = 507

  132. 유키테스파와 동방의 그 밖의 분파들 = 511

  133. 서방에 나타난 새 마니교 = 512

 제13장 학문의 상태 = 515

  134. 참고문헌 = 515

  135. 중세 초기 학문의 성격 = 517

  136. 동방 교회의 학문 = 518

  137. 기독교 플라톤주의와 위 디오니시우스의 저서들 = 521

  138. 서방 교회에 만연하던 무지 = 530

  139. 교회가 교육에 쏟은 노력 = 533

  140. 샤를마뉴와 대머리 샤를의 학문 후원 = 541

  141. 알프레드 대왕과 영국의 교육 = 544

 제14장 교회 저자들에 대한 간략한 전기 = 545

  142. 6-12세기에 활동한 주요 교회 저자들의 연대순 명단 = 547

  143. 고백자 막시무스 = 549

  Ⅰ. 그리스 저자들

   144. 다마스쿠스의 요한 = 551

   145. 포티우스, 콘스탄티노플 총대주교 = 559

   146. 의역가(意譯家) 시므온 = 564

   147. 외쿠메니우스 = 565

   148. 테오필락투스 = 565

   149. 미카엘리스 프셀루스 = 567

   150. 유티미우스 지가베누스 = 568

   151. 데살로니가의 유스타티우스 = 569

   152. 니케타스 아코미나토스 = 571

  Ⅱ. 라틴 저자들

   153. 카시오도루스 = 572

   154. 투르의 그레고리우스 = 576

   155. 세비야의 이시도루스 = 578

   156. 가경자 비드 = 584

   157. 부제 파울루스 = 590

   158. 아퀼레이아의 성 파울리누스 = 593

   159. 앨퀸 = 595

   160. 성 리우드게르 = 601

   161. 오를레앙의 테오둘프스 = 604

   162. 성 에이길 = 607

   163. 아말라리우스 = 608

   164. 아인하르트 = 611

   165. 스마라그두스 = 614

   166. 오를레앙의 요나스 = 615

   167. 라바누스 마우루스 = 617

   168. 하이모 = 629

   169. 발라프리트 스트라보 = 629

   170. 리옹의 플로루스 마기스터 = 632

   171. 세르바투스 루푸스 = 634

   172. 드루트마르 = 637

   173. 성 파스카시우스 라드베르투스 = 638

   174. 라트람누스 = 643

   175. 랭스의 앙크마르 = 646

   176. 존 스코투스 에리게나 = 655

   177. 아나스타시우스 = 665

   178. 베로나의 라테리우스 = 667

   179. 게르베르투스 (교황 실베스터 2세) = 668

   180. 샤르트르의 풀베르 = 671

   181. 로둘푸스 글라베르. 브레멘의 아담 = 673

   182. 성 페트루스 다미아니 = 67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