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 운동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 운동 (63회 대출)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경일
서명 / 저자사항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 운동 / 김경일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문학과지성사 ,   2004.  
형태사항
528 p. : 삽도,도판[5]장 ; 24 cm.
총서사항
사회사연구총서 ; 5
ISBN
8932015228
일반주기
찾아보기: p. 514-528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수록
000 00637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128779
005 20100806053745
007 ta
008 040806s2004 ulkaf b 001a kor
020 ▼a 8932015228 ▼g 93300: ▼c \22000
035 ▼a KRIC09461549
040 ▼a 211062 ▼d 211009
082 0 4 ▼a 331.809519 ▼2 21
090 ▼a 331.80953 ▼b 2004
100 1 ▼a 김경일
245 1 0 ▼a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 운동 / ▼d 김경일 지음.
260 ▼a 서울 : ▼b 문학과지성사 , ▼c 2004.
300 ▼a 528 p. : ▼b 삽도,도판[5]장 ; ▼c 24 cm.
440 0 0 ▼a 사회사연구총서 ; ▼v 5
500 ▼a 찾아보기: p. 514-528
504 ▼a 서지적 각주 수록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112983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112983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410501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4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211174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5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211174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6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511885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7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511885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11298387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11298388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3 소장처 중앙도서관/교육보존B/보건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4105014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21117479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과학도서관/보존서고4(동양서)/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21117480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51188511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No. 2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사회과학실(4층)/ 청구기호 331.80953 2004 등록번호 151188512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책소개

일제 식민지 시기를 대상으로 산업과 지역에 따른 구체적 사례들을 통해 노동자 상태와 의식, 일상생활을 검토한 책. 근대 노동사의 관점에서 연대기적 서술을 지양하고 시기와 지역에 따라 구조를 나누어 썼다. 아울러 노동 운동의 전개를 생산 과정, 노동 조직, 노동 조건 등의 노동자 상태와 연관지어 설명했다.

식민주의와 자본주의의 흐름에 저항하면서 스스로를 형성해간 근대 노동자 계급의 다양한 양상들을 제시한다. 먼저 도시 빈민에 초점을 맞춰 노동자의 생활사를 검토하고 서울 지역의 인쇄 출판업과 경성전기 노동자들의 노동 조직과 노동 운동을 분석했다. 이밖에도 원산 총파업에 대한 해석을 제시하고 혁명적 노동 운동에 대한 사례들을 검토하면서 노동자와 지식인 조직의 결합 양상을 설명했다.


정보제공 : Aladin

저자소개

김경일(지은이)

서울대학교 사회학과를 거쳐 동 대학원 사회학과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덕성여대 교수, 미국의 뉴욕주립대(Binghamton)와 프랑스의 파리 인간과학연구소(Maison des Sciences de L’Homme)에서 후기박사과정, 일본 도쿄대학 경제학부 객원연구원, 미국 버클리대학, 워싱턴대학 교류교수 등을 역임했다. 현재 한국학중앙연구원 사회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한국사회사와 사회사상, 역사사회학, 동아시아론 등에 관심이 있으며, 주요 저서로『한국노동운동사 2, 일제하의 노동운동: 1920-1945』(2004), 『한국 근대 노동사와 노동운동』(2004),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2004), 『이재유, 나의 시대 나의 혁명』(2007), 『근대의 가족, 근대의 결혼』(2012), 『노동』(2014), 『신여성, 개념과 역사』(2017), 『근대여성 12인, 나를 말하다』(2020), 『한국의 근대 형상과 한국학-비교 역사의 시각』(2020) 등의 논저가 있다.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사회사연구총서'를 간행하면서 = 2
책머리에 = 4
제1부 노동자의 상태와 일상생활
 제1장 20세기 전반기 도시 빈민층의 형성 - 경성부의 이른바 토막민을 중심으로
  1. 도시 빈민과 노동자 계급의 생활사 = 19
  2. 서울에서 도시 빈민의 형성 경로 = 25
  3. 도시 빈민의 변화 추이 = 33
  4. 도시의 공간 구조와 도시 빈민의 분포 = 36
  5. 도시 빈민의 내부 구성 - 고용 구조와 생계 활동 = 45
  6. 도시 빈민의 생활 태도 = 63
  7. 의식과 사회 관계 = 72
  8. 도시 빈민 연구의 의의와 과제 = 73
 제2장 고무 노동자의 상태와 노동 운동
  1. 식민지 시기의 고무 공업과 고무 노동자 = 79
  2. 고무 노동자의 상태 = 90
  3. 주요 도시들에서 고무 노동자의 노동 운동 = 107
  4. 조직과 연대 = 145
 제3장 1930년대 금속 부문에서 노동자의 상태와 노동 운동 - 진남포와 흥남의 제련소 파업을 중심으로
  1. 1930년대 전반기의 노동 운동과 일본인 독점 기업 = 160
  2. 노동자 구성과 상태 = 164
  3. 진남포제련소 노동자의 파업 = 182
  4. 흥남제련소 노동자의 파업 = 191
제2부 노동조합 조직과 노동 운동
 제4장 1920~30년대 인쇄 출판업에서 노동조합 조직의 발전
  1. 20세기 전반기의 노동 운동과 사회주의·공산주의 = 197
  2. 인쇄직공친목회 : 제1기 = 199
  3. 인쇄직공조합 : 제2기 = 203
  4. 출판노동조합 : 제3기 = 215
  5. 비합법 운동기 = 219
  6. 평가와 비판 : 노동 운동자와 노동 대중 = 226
 제5장 인쇄 출판업에서의 노동 운동
  1. 서울 = 232
  2. 지방 = 249
 제6장 1925년 서울 전차 승무원의 노동 운동
  1. 일본인 독점 기업과 경성전기회사 = 260
  2. 파업의 발단 = 265
  3. 협상의 과정과 결말 : 제1기 = 270
  4. 쟁의의 재연과 제1차 파업 : 제2기 = 283
  5. 제2차 파업 : 제3기 = 291
  6. 좌절된 파업과 이후의 경과 = 295
제3부 원산 총파업과 원산의 노동 운동
 제7장 1929년 원산 총파업에 대하여 - 역사적 성격의 재평가
  1. 연구사적 검토와 문제의 제기 = 301
  2. 총파업의 발단과 경과 = 308
  3. 민족 해방 운동과 노동 계급 = 327
  4. 경제 투쟁과 정치 투쟁 = 334
  5. 원산 총파업의 영향과 의의 = 350
 제8장 1929년 원산 총파업 이후의 노동 운동
  1. 원산에서 혁명적 노동 운동의 전개 = 355
  2. 전시하의 파시스트적 지배와 노동자 상태 = 368
  3. 노동자 의식의 존재 형태 = 374
제4부 혁명적 노동 운동과 사회주의
 제9장 서울상해파의 혁명적 노동조합 운동
  1. 혁명적 노동조합 운동 연구의 성과와 의의 = 393
  2. 조선공산당재건설준비회의 활동 = 395
  3. 조선국내공작위원회와 노동조합평의회조직준비위원회의 결성 = 410
  4. 중국공산당 만주성위원회 동만특별위원회에 의한 후계 운동의 전개 = 422
  5. 혁명 운동의 거대 서사를 넘어서 = 434
 제10장 서울의 반제 운동과 혁명적 노동 운동
  1. 서울의 사회 운동과 비합법 운동 = 440
  2. 신현중 등의 경성제대반제동맹 운동 = 443
  3. 이평산 등의 경성학생RS협의회 운동 = 454
  4. 조선반제동맹경성지방조직준비위원회 운동 = 467
  5. 공원회 등의 적위대 운동 = 476
  6. 과도기 운동의 한계와 지향 = 492
 제11장 경성콩그룹과 지방 조직
  1. 경성콩그룹의 조직 경위와 성격 = 498
  2. 함경북도의 경성콩그룹 = 503
  3. 운동의 내용과 의의 = 510
찾아보기 = 514


관련분야 신착자료

김동원 (2023)
McMahon, Mary (2022)
過労死弁護団全国連絡会議 (2022)
노동인권 실현을 위한 노무사모임. 20주년 기념 출간위원회 (2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