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629namccc200217 k 4500 | |
001 | 000045128756 | |
005 | 20100806053712 | |
007 | ta | |
008 | 040514s2004 ulk 001a kor | |
020 | ▼a 8949902699 ▼g 93910 : ▼c \25000 | |
035 | ▼a KRIC09349152 | |
040 | ▼a 211052 ▼c 211052 ▼d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951.90072 ▼2 21 ▼a 953.062 ▼a 953.0072 |
090 | ▼a 953.0072 ▼b 2004 | |
100 | 1 | ▼a 박걸순 ▼g 朴杰淳, ▼d 1959-. ▼0 AUTH(211009)64326 |
245 | 1 0 | ▼a 植民地 시기의 歷史學과 歷史認識 / ▼d 박걸순 저. |
260 | ▼a 서울 : ▼b 景仁文化社, ▼c 2004. | |
300 | ▼a xv, 479 p. ; ▼c 24 cm. | |
440 | 0 0 | ▼a 경인한국학연구총서 ; ▼v 27 |
500 | ▼a 색인수록 |
Holdings Information
No. | Location | Call Number | Accession No. | Availability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
No. 1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072 2004 | Accession No. 111298491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2 |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4F)/ | Call Number 953.0072 2004 | Accession No. 111298492 | Availability Available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No. 3 | Location Main Library/Research Institute of Korean Studies/ | Call Number 953.0072 2004 | Accession No. 192038255 | Availability Loan can not(reference room) | Due Date | Make a Reservation | Service |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박걸순(지은이)
충북대학교를 졸업하고 충남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수석연구원, 한국근현대사학회장, 한국사연구회 이사, 안중근의사유해발굴단 자료조사위원, 독립유공자서훈공적심사위원, 한국독립운동사인명사전 편찬위원 등을 역임하고 2019년 현재 대통령 직속· 31운동 및 대한민국임시정부수립100주년기념사업추진위원회 위원 및 충북대학교 사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논저] 『한용운의 생애와 독립투쟁』(1992) 『한국근대사학사연구』(1998) 『식민지시기의 역사학과 역사인식』(2004) 『국학운동』(2009) 『시대의 선각자 혁신유림 류인식』(2009) 『충북의 독립운동과 독립운동가』(2012) 『독립운동계의 3만 정순만』(2013) 『독립전쟁론의 선구자 광복군총사령 박상진』(2014) 『한국사의 계보』(역, 2015) 『의열투쟁의 이론을 정립하고 실천한 류자명』(2017) 『기록으로 듣는 100년 전의 함성, 3·1운동』(2018)

Table of Contents
목차 책머리에 제1부 植民地 시기의 歷史認識 제1장 大韓民國臨時政府 編纂 『韓日關係史料集』의 史學史的 意義 = 3 제1절 머리말 = 3 제2절 臨時史料編纂會의 설치와 『韓日關係史料集』의 편찬 = 5 제3절 『韓日關係史料集』의 체재와 내용 = 15 제4절 맺음말 = 38 제2장 1920年代 韓國史 通史의 構成과 性格 = 43 제1절 머리말 = 43 제2절 1920年代의 韓國史 硏究傾向 = 45 제3절 通史의 構成과 敍述內容 = 51 제4절 맺음말 = 91 제3장 日帝下 日人의 朝鮮史硏究 學會와 歷史(高麗史) 歪曲 = 95 제1절 머리말 = 95 제2절 日人 史學會의 組織 = 97 제3절 學會의 活動과 性格 = 111 제4절 高麗時代史의 敍述과 歪曲 = 124 제5절 맺음말 = 168 제2부 獨立運動家의 著述과 歷史認識 = 173 제1장 白岩 朴殷植의 古代史 認識論 = 175 제1절 古代史 著述의 발굴 = 175 제2절 亡命과 古代史硏究 = 176 제3절 古代史의 著述 = 179 제4절 古代史 認識論 = 194 附錄 = 198 제2장 東山 柳寅植의 歷史認識 = 229 제1절 머리말 = 229 제2절 生涯와 著述 = 232 제3절 『大東史』의 著述 = 247 제4절 『大東史』의 歷史認識 = 258 제5절 맺음말 = 288 제3장 李源台의 生涯와 歷史認識 = 293 제1절 머리말 = 293 제2절 家系와 生涯 = 294 제3절 著述과 歷史認識 = 307 제4절 맺음말 = 327 제4장 文一平의 高麗史 敍述과 認識論 = 331 제1절 머리말 = 331 제2절 『高麗槪史』의 체재와 서술내용 = 334 제3절 『高麗槪史』의 사학사적 의의 = 359 제4절 맺음말 = 369 제3부 植民史學의 虛構性 批判 = 373 제1장 喜田貞吉의 韓國觀 批判 = 375 제1절 머리말 = 375 제2절 喜田貞吉의 歷史硏究 = 378 제3절 喜田貞吉의 韓國史 저술과 韓國觀 批判 = 388 제4절 맺음말 = 411 제2장 日本 歷史敎科書(國定)에 記述된 韓國史 관련내용의 史學史的 檢討 = 415 제1절 머리말 = 415 제2절 日本 近代 歷史敎科書 制度의 變遷 = 418 제3절 國定 歷史敎科書의 韓國史 記述과 歪曲 = 423 제4절 맺음말 = 460 찾아보기 = 4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