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상세정보

상세정보

고온재료

고온재료

자료유형
단행본
개인저자
김목순
서명 / 저자사항
고온재료 = High Temperature Metallic Materials/ 김목순 저.
발행사항
인천 :   인하대학교 출판부 ,   2004.  
형태사항
ix,277 p. : 삽도 ; 26 cm.
ISBN
8974071649
일반주기
이 저서는 2003년도 인하대학교 저서발간연구비의 지원에 의하여 발간되었음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000 00642namccc200205 k 4500
001 000045126843
005 20100806050819
007 ta
008 041102s2004 icka HF 001a kor
020 ▼a 8974071649 ▼g 93580: ▼c \14,00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082 0 4 ▼a 620.16 ▼2 21
090 ▼a 620.16 ▼b 2004
100 1 ▼a 김목순
245 1 0 ▼a 고온재료 = ▼x High Temperature Metallic Materials/ ▼d 김목순 저.
260 ▼a 인천 : ▼b 인하대학교 출판부 , ▼c 2004.
300 ▼a ix,277 p. : ▼b 삽도 ; ▼c 26 cm.
500 ▼a 이 저서는 2003년도 인하대학교 저서발간연구비의 지원에 의하여 발간되었음
504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소장정보

No. 소장처 청구기호 등록번호 도서상태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No. 1 소장처 세종학술정보원/과학기술실(5층)/ 청구기호 620.16 2004 등록번호 151162553 도서상태 대출가능 반납예정일 예약 서비스 B M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김목순(지은이)

<고온재료>

정보제공 : Aladin

목차


목차
1. 고온 단시간 변형
 1.1. 유동응력과 온도, 변형속도의 관계 = 1
  1.1.1. 온도의 영향 = 1
  1.1.2. 변형속도의 영향 = 3
  1.1.3. 온도와 변형속도의 복합효과 = 5
  1.1.4. 정상응력과 온도 및 변형속도의 관계 = 5
 1.2. 변형 하에서의 회복, 재결정 및 변형시효 = 6
  1.2.1. 동적회복과 동적재결정 = 6
  1.2.2. 동적변형시효 = 13
 1.3. 변형에 있어서의 결정입계의 역할 = 14
  1.3.1. 저온 변형에서의 입계의 영향 = 14
  1.3.2. 고온 변형에서의 입계의 영향 = 16
 1.4. 초소성 = 20
 참고문헌 = 24
2. 크리프 변형
 2.1. 크리프곡선 = 25
 2.2. 크리프 변형속도 = 28
 2.3. 크리프 변형기구 = 29
  2.3.1. 전위크리프 = 29
  2.3.2. 확산크리프 = 32
  2.3.3. 입계미끄럼(초소성 변형) = 34
 2.4. 변형기구영역도 = 35
  2.4.1. 변형기구영역도의 개념 = 35
  2.4.2. 전위슬립 = 35
  2.4.3. 확산크리프 = 37
  2.4.4. 전위크리프 = 37
  2.4.5. 초소성 변형 = 37
 2.5. 크리프 파단시간의 추정 = 37
  2.5.1. 추정의 원리 = 38
  2.5.2. TTP의 선택 = 40
 참고문헌 = 42
3. 고온강화
 3.1. 강화법 개요 = 43
 3.2. 결정입경 = 43
  3.2.1. 크리프속도의 결정입경 의존성 = 44
  3.2.2. 결정립의 형상과 배향의 영향 = 46
  3.2.3. 전위크리프에 대한 입계미끄럼의 기여 = 48
 3.3. 전위조직(가공경화) = 51
  3.3.1. 전위밀도의 영향 = 51
  3.3.2. 아결정입경의 영향 = 53
 3.4. 규칙화 = 55
 3.5. 고용강화 = 56
  3.5.1. 슬립 지배의 경우 (원자드래그 저항) = 57
  3.5.2. 상승운동 지배의 경우 = 60
 3.6. 석출ㆍ분산강화 = 65
  3.6.1. 걸림응력 이상에서의 강화 = 65
  3.6.2. 걸림응력 이하에서의 강화 = 67
 참고문헌 = 73
4. 고온파괴
 4.1. 파괴양식 = 77
 4.2. 파괴기구영역도 = 81
 4.3. 고온 파괴의 모델 = 82
  4.3.1. 캐비티의 생성 = 82
  4.3.2. 입계 캐비티의 확산성장 = 84
  4.3.3. 입계 캐비티의 구속성장 = 89
  4.3.4. 쐐기형 균열의 성장 = 91
  4.3.5. 입내 캐비티의 성장 = 91
  4.3.6. 실험 결과와의 비교 = 91
 4.4. 파괴기구의 천이 = 93
 4.5. 고온파괴의 방지 = 96
  4.5.1. 캐비티의 발생 = 96
  4.5.2. 캐비티의 성장 = 97
 참고문헌 = 99
5. 고온 산화 및 부식
 5.1. 고온산화의 열역학 = 101
  5.1.1. 산화의 기초열역학 = 101
  5.1.2. 순금속의 산화 = 103
  5.1.3. 합금의 산화 = 109
  5.1.4. 산화물이 휘발 = 111
 5.2. 고온산화의 속도론 = 114
  5.2.1. 고온산화의 속도식 = 114
  5.2.2. 산화피막의 성장기구 = 115
  5.2.3. 원자가제어 원리 = 120
 5.3. 내열합금의 내산화성 = 122
  5.3.1. 내열합금의 고온산화 = 122
  5.3.2. 내열합금의 보호성 피막 = 124
  5.3.3. 산화피막의 밀착성 = 130
 5.4. 철강재료의 고온산화 = 137
 5.5. 산화방지용 코팅 = 139
 5.6. 고온부식 = 140
  5.6.1. 황화 = 140
  5.6.2. 할로겐화 부식 = 142
  5.6.3. 수소침해 = 142
  5.6.4. 침탄 및 질화 = 144
  5.6.5. 용융염부식 = 145
 참고문헌 = 148
6. 고온용 철강재료
 6.1. Si-Mn강 = 151
  6.1.1. Si-Mn강의 특징 = 151
  6.1.2. Si-Mn강의 고온강화 기구 = 152
  6.1.3. Si-Mn강의 고온용도 예 = 153
 6.2. 저합금강 = 154
  6.2.1. 중ㆍ상온 압력용기용 고강도강 = 154
  6.2.2. 0.5Mo강, Mn-Mo강 및 Mn-Mo-Ni강 = 154
  6.2.3. Cr-Mo강 = 156
 6.3. 9∼12Cr강 = 158
  6.3.1. 9∼12Cr강의 특징 = 158
  6.3.2. 보일러용 재료 = 159
  6.3.3. 터빈로터용 재료 = 163
  6.3.4. 원자로용 재료 = 166
 6.4.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166
  6.4.1.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특징 = 166
  6.4.2.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고온강화 = 168
  6.4.3. 페라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내열용도와 문제점 = 170
 6.5.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 = 171
  6.5.1.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의 특징 = 171
  6.5.2. 보일러용 강관 = 172
  6.5.3. 고속증식로용 내열강관 = 175
  6.5.4. 에틸렌플랜트 분해로관용 내열강관 = 175
 6.6. 페라이트계 내열주강 = 177
  6.6.1. 페라이트계 내열주강의 특징과 제조방법 = 177
  6.6.2. 페라이트계 내열주강의 종류, 강화기구 및 용도 = 178
  6.6.3. 페라이트계 내열주강의 기타 성질 = 181
 6.7. 오스테나이트계 내열주강 = 182
  6.7.1. 오스테나이트계 내열주강의 특징 = 182
  6.7.2. 오스테나이트계 내열주강의 고온강도에 미치는 요인 = 184
  6.7.3. 오스테나이트계 내열주강의 용도 = 187
 6.8. KS에 규정된 내열 강봉 및 강판 = 188
 참고문헌 = 191
7. 초합금
 7.1. 개요 = 193
 7.2. 강화기구 = 197
  7.2.1. 고온강화 기구 = 197
  7.2.2. 내산화 기구 = 198
 7.3. Fe기 초합금 = 198
 7.4. Ni기 초합금 = 199
 7.5. Co기 초합금 = 202
 7.6. 제조 프로세스의 진보 = 202
  7.6.1. 일방향응고ㆍ단결정 = 202
  7.6.2. 분말야금 = 205
 7.7. 코팅 = 207
  7.7.1. 팩 코팅 = 207
  7.7.2. 오버레이 코팅 = 210
 7.8. 초합금의 사용현황 = 211
  7.8.1. 항공기 = 211
  7.8.2. 자동차 = 215
  7.8.3. 산업용 가스터빈 = 218
  7.8.4. 기타 = 220
 참고문헌 = 222
8. 금속간화합물
 8.1. 금속간화합물의 의미 = 223
 8.2. 금속간화합물의 분류 = 225
 8.3. 결정구조와 소성 = 227
 8.4. 격자결함과 화학결합 = 229
 8.5. 금속간화합물의 특성 = 231
 8.6. Ni-Al계 금속간화합물 = 234
  8.6.1. Ni3Al = 234
  8.6.2. NiAl = 238
 8.7. Fe-Al계 금속간화합물 = 241
  8.7.1. Fe3Al = 241
  8.7.2. FeAl = 243
 8.8. Ti-Al계 금속간화합물 = 244
  8.8.1. Ti3Al = 246
  8.8.2. TiAl = 246
 8.9. Al3X계 금속간화합물 = 250
 8.10. 고융점 금속간화합물 = 250
 8.11. 금속간화합물기 복합재료= 252
 참고문헌 = 253
9. 고융점 재료
 9.1. 개요 = 257
 9.2. 침입형 원소의 거동 = 257
  9.2.1. H의 거동 = 259
  9.2.2. C, N, O의 거동 = 259
 9.3. 기계적 성질 = 259
  9.3.1. 고온에서의 강도와 연성 = 259
  9.3.2. 연성-취성 천이 = 262
 9.4. 산화 대책 = 265
 9.5. 침입형 화합물 = 268
 9.6. 고융점 재료의 제조법 = 270
  9.6.1. 원료금속 = 270
  9.6.2. 조괴법 = 270
  9.6.3. 가공법 = 270
  9.6.4. 원료 화합물 = 271
  9.6.5. 화합물 성형법 = 271
 참고문헌 = 272
색인 = 274


관련분야 신착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