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책을 내면서 = ⅴ
Ⅰ. 한국 행정학의 반성 = 15
1. 머리말 = 16
2. '행정'의 개념 정의 문제 = 19
3. 행정 연구의 대상과 방법 = 24
4. 한국행정의 역사적 성격 = 31
5. 맺음말 = 36
Ⅱ. 한국 최초의 현대 행정학자 정인흥의 행정사상 : 국가와 관료제 이론을 중심으로 = 43
다시 정인흥을 읽으며 = 44
1. 고대 및 중세국가에서의 행정 = 48
2. 절대군주 국가의 관료제와 관방학 = 50
3. 입법국가의 출현과 근대 관료제 = 56
4. 행정국가의 대두와 현대 관료제 = 66
5. 현대 행정과 민주주의 = 72
Ⅲ. 한국의 정치변동과 관료제, 1945-'72 : 연구의 경향과 방향 = 81
1. 머리말 = 83
2. 한국 현대관료제에 관한 기존의 연구 = 85
3. 정치변동과 관료제의 유형 = 89
4. 한국의 정치변동과 관료제 = 96
5. 맺음말 = 102
Ⅳ. 정부와 정당 관계에 대한 시론적 연구 : 개념, 유형 및 결정 요인 = 109
1. 머리말 = 111
2. 개념의 정돈 = 113
3. 당정 관계의 유형 = 118
4. 당정 관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 = 123
5. 우리나라의 당정 관계 = 136
6. 맺음말 = 140
Ⅴ. '입법보조기관(legislative staff)' 비교 연구 : 연구조사 기능을 중심으로 = 145
1. 머리말 = 147
2. 연구의 범위, 방법 및 한계 = 148
3. 의원 개인에 대한 보조기관 = 151
4. 의원 집단(위원회)에 대한 보조기관 = 154
5. 의원 전체에 대한 보조기관 = 163
6. 맺음말 = 170
Ⅵ. 정부형태와 관련된 제도적 요인들 = 177
1. 머리말 = 178
2. 정부형태의 유형 = 181
3. 정부형태와 관련된 제도적 요인들 = 184
4. 정부형태와 정치적 목표 = 199
5. 맺음말 = 204
Ⅶ. 정부조직 개편의 내용과 과제 : 문민정부의 경우 = 211
1. 머리말 = 212
2. 정부조직 개편의 과정과 내용 = 215
3. 정부조직 개편의 문제점 = 220
4. 정부조직 개편의 방향과 전략 = 231
5. 맺음말 = 236
Ⅷ. 정책에의 시민참여 제도 연구 : OECD 국가들을 중심으로 = 241
1. 머리말 = 242
2. 시민참여와 관련된 요인들 = 244
3. 정부ㆍ시민 관계의 개념과 중요성 = 248
4. 시민참여제도 정비 방안 = 256
5. 맺음말 = 26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