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심리학과 삶

심리학과 삶 (Loan 27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Gerrig, Richard J. Zimbardo, Philip G., 저 박권생, 역
Title Statement
심리학과 삶 / Richard J. Gerring, Philip G. Zimbardo 지음 ; 박권생 [외]옮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시그마프레스,   2004  
Physical Medium
xii, 513 p. : 천연색삽화 ; 28 cm
Varied Title
Psychology and life (16th ed.)
ISBN
8958320796
General Note
색인수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Psychology
000 00000nam c2200205 c 4500
001 000045125952
005 20150225151653
007 ta
008 041028s2004 ulka 001c kor
020 ▼a 8958320796 ▼g 93180
040 ▼a 244002 ▼c 244002 ▼d 244002 ▼d 211009
041 ▼a kor ▼h eng
082 0 4 ▼a 150 ▼2 23
085 ▼a 150 ▼2 DDCK
090 ▼a 150 ▼b 2004d
100 1 ▼a Gerrig, Richard J. ▼0 AUTH(211009)40169
245 1 0 ▼a 심리학과 삶 / ▼d Richard J. Gerring, ▼e Philip G. Zimbardo 지음 ; ▼e 박권생 [외]옮김
246 1 9 ▼a Psychology and life ▼g (16th ed.)
260 ▼a 서울 : ▼b 시그마프레스, ▼c 2004
300 ▼a xii, 513 p. : ▼b 천연색삽화 ; ▼c 28 cm
500 ▼a 색인수록
650 0 ▼a Psychology
700 1 ▼a Zimbardo, Philip G., ▼e▼0 AUTH(211009)56821
700 1 ▼a 박권생, ▼e▼0 AUTH(211009)139876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150 2004d Accession No. 11129780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0 2004d Accession No. 1112978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0 2004d Accession No. 1211065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0 2004d Accession No. 1211427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150 2004d Accession No. 1511614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6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150 2004d Accession No. 15116148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Education Reserves(Health Science)/ Call Number 150 2004d Accession No. 111297806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0 2004d Accession No. 111297807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0 2004d Accession No. 12110653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cience & Engineering Library/Sci-Info(Stacks1)/ Call Number 150 2004d Accession No. 121142764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Humanities 1/ Call Number 150 2004d Accession No. 1511614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tacks(Preservation)/ Call Number 150 2004d Accession No. 15116148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Book Introduction

일상생활에서 벌어지는 수수께끼 같은 일들에 대해 과학적으로 설명하고 그 해결 방식을 담은 책. 사람들이 두려움을 싫어하면서도 공포영화를 관람하는 이유라든지, 똑같은 말을 듣고도 다르게 이해하는 이유 등. 일상생활에서 앞으로 만나게 될 문제들을 과학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해 소개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Author Introduction

Richard J. Gerrig(지은이)

Yale 대학에서 강의하면서, Lex Hixon 상을 받았다. 미국심리학회(APA) 산하 실험심리학회의 특별회원이며, 2004년 현재 Stony Brook에 있는 State University of New York의 심리학 교수로 있다.

필립 짐바르도(지은이)

스탠퍼드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이며 예일대학교와 뉴욕대학교, 컬럼비아대학교에서 강의했다. 미국심리학회 회장, 스탠퍼드 테러리즘 심리학센터 소장을 역임했다. 인간 본성에 관한 <스탠퍼드 감옥 실험(Stanford prison experiment)>과 <깨진 유리창 이론>의 토대가 되는 심리 실험으로 유명한 그는 평생 끊임없이 인간에 대해 탐구했다. 인간의 삶과 관련된 여러 심리 현상에 주목하던 그가 다음으로 관심을 가진 것이 바로 ‘시간’이었다. 그는 시간이 인간의 삶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있으며, 과연 우리는 시간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지 궁금했다. 이후 30년간 15개국 수만 명의 삶을 추적하여 ‘짐바르도 시간관 검사(ZTPI)’를 개발했으며, 연구 결과를 《나는 왜 시간에 쫓기는가》에 쏟아 넣었다. 그는 시간에 대한 태도(시간관)가 인간의 행동과 삶을 대하는 태도에 어마어마한 영향을 미치지만 정작 우리들은 그 중요성을 모르고 살고 있음을 지적한다. 그는 ‘오늘’ 우리가 시간을 사용하는 방식이 ‘과거’와 ‘미래’의 모습을 결정한다고 말하며, 시간에 대한 관점이 삶의 큰 차이를 만듦을 증명한다. PBS TV 시리즈 <심리학의 발견(Discovering Psychology)>을 기획하고 해설했으며, 2004년에는 이라크 아부그라이브 교도소에서의 범죄 행위로 기소된 미국 퇴역 군인의 군법회의 심리에 전문가 증인으로 참석했다. 지은 책으로 《심리학과 삶(공저)》《수줍음Shyness》《루시퍼 이펙트》 등이 있다.

박권생(옮긴이)

계명대학교 심리학과 명예교수 University of Wisconsin-Madison 심리학 석사 Texas A&M University 심리학 박사(감각 및 지각 전공)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역자서문 = xiii
저자서문 = xv
저자소개 = xix
제1장 생활 속의 심리학 = 1
 무엇이 심리학을 독특하게 하는가 = 3
  정의 = 3
  심리학의 목표 = 4
  생활 속의 심리학: 심리학을 왜 공부하는가 = 7
 현대 심리학의 전개 = 7
  심리학의 역사적 근간 = 8
  현대 심리학의 관점들 = 10
 심리학자는 무엇을 하는가 = 15
  21세기의 심리학: 미래는 지금이다 = 17
제2장 심리학 연구방법 = 19
 발견의 맥락 = 21
 정당화의 맥락: 객관성을 위한 안전장치 = 22
  관찰자 편향과 조작적 정의 = 22
  실험법: 대안적 실험과 통제의 필요성 = 24
  상관법 = 27
  역하자극의 영향은? = 28
 심리측정 = 30
  신뢰도와 타당도 확보하기 = 30
  자기보고 측정 = 31
  행동측정과 관찰 = 31
 인간과 동물 연구에서의 윤리문제 = 32
  동의서 = 33
  위험/이익 평가 = 33
  계획적 속임수 = 33
  실험에 대한 사후 설명 = 34
  동물 연구의 주제: 과학, 윤리, 정치 = 34
 지혜롭게 연구 활용하기 = 35
  21세기의 심리학: 심리학 연구와 정보 폭발 = 36
제3장 행동의 생물학적 기초 = 37
 유전과 행동 = 39
  진화와 자연선택 = 39
  인간 유전자형에 있어서의 변이 = 42
 생물학과 행동 = 44
  뇌의 활동을 엿보기 = 45
  신경계 = 47
  뇌의 구조물들과 그 기능 = 48
  반구 편재화 = 54
  내분비계 = 57
 신경계의 활동 = 59
  뉴런 = 59
  활동전위 = 62
  시냅스 전달 = 63
  신경전달물질과 그 기능 = 63
  생활 속의 심리학: 삶의 경험이 어떤 식으로 뇌에 영향을 미치는가 = 65
제4장 감각 = 67
 세상에 관한 감각적 지식 = 69
  정신물리학 = 69
  물리적 세계에서 정신적 세계로 = 72
 시각체계 = 73
  인간의 눈 = 73
  동공과 렌즈 = 74
  망막 = 74
  뇌로 가는 통로 = 76
  색채경험 = 77
  21세기의 심리학: 맹인을 보게 할 수 있을까 = 78
  복잡한 시각 분석 = 82
 청각 = 84
  물리적 소리 = 84
  소리의 심리적 차원 = 84
  청각의 생리 = 87
 그 외 감각기관 = 90
  후각 = 90
  미각 = 91
  촉각과 피부감각 = 92
  전정기관과 근동감각 = 93
  통증 = 94
  생활 속의 심리학: 매운 음식을 먹으면 고통스러운 이유는 = 95
제5장 지각 = 97
 감각, 조직화, 정체파악 그리고 인식 = 99
  인접 자극과 원격 자극 = 100
  실재와 모호성 그리고 착시 = 102
  21세기의 심리학: 가상현실 = 106
  지각에 관한 연구의 접근방식 = 106
 주의의 과정 = 108
  선별적 주의 = 108
  주의와 환경 속의 대상 = 110
 지각에서 조직 과정 = 111
  전경, 배경 그리고 닫힘 = 112
  지각적 집단화의 원리 = 113
  움직임 지각 = 114
  깊이 지각 = 115
  지각 항등성 = 119
 정체파악 및 인식 과정 = 121
  상향 및 하향 처리 = 121
  대상 인식 = 122
  맥락과 기대의 영향 = 123
  마지막 학습 = 125
제6장 마음, 의식 그리고 변경된 의식상태 = 127
 의식의 내용 = 129
  자각과 의식 = 129
  의식에의 접근 정도 = 129
  의식의 내용을 연구하기 = 131
 의식의 기능 = 132
  의식의 용도 = 132
  의식의 기능을 연구하기 = 133
 수면과 꿈 = 135
  일주율 = 135
  수면 주기 = 135
  왜 잠을 자는가 = 137
  수면 장애 = 138
  꿈: 마음의 극장 = 139
 변경된 의식상태 = 141
  자각성 꿈꾸기 = 141
  최면 = 142
  명상 = 144
  환각 = 145
  종교적 무아지경 = 145
  마음에 작용하는 약물들 = 146
제7장 학습과 행동분석 = 151
 학습의 연구 = 153
  학습이란 무엇인가 = 153
  행동주의와 행동분석 = 153
 고전적 조건형성: 예고 신호를 학습하기 = 155
  Pavlov의 놀라운 관찰 = 155
  조건형성 과정 = 157
  습득 과정의 설명 = 160
  고전적 조건형성의 응용 = 162
 조작적 조건형성: 결과에 대한 학습 = 165
  효과의 법칙 = 165
  행동의 실험적 분석 = 166
  강화 유관성 = 167
  강화물의 속성 = 170
  강화계획 = 171
  생활 속의 심리학: 매를 아끼면 애를 버린다 = 172
  조형 = 174
 생태와 학습 = 175
  향본능 표류 = 176
  맛 혐오 학습 = 176
 학습에 대한 인지적 영향 = 178
  동물 인지 = 178
  관찰학습 = 180
제8장 기억 = 183
 기억이란 무엇인가 = 185
  Ebbinghaus가 기억을 수량화하다 = 185
  기억의 유형 = 186
  기억 과정에 대한 개관 = 188
 감각기억 = 189
  영상기억 = 189
  반향기억 = 190
 단기기억과 작업기억 = 191
  STM의 용량 제한 = 192
  STM 용량에 대한 적응 = 192
  작업기억 = 194
 장기기억: 부호화와 인출 = 196
  맥락과 부호화 = 196
  인출 단서 = 199
  부호화와 인출 과정 = 201
  비구조화된 정보의 기억을 향상시키기 = 203
  메타기억 = 204
  생활 속의 심리학: 기억 연구가 어떻게 시험준비를 도울 수 있는가 = 205
 장기기억의 구조 = 207
  기억 구조들 = 207
  기억 구조의 사용 = 210
  재구성적 과정으로서 기억 = 211
 기억의 생물학적 측면 = 213
  기억 흔적의 탐색 = 213
제9장 인지 과정 = 215
 인지 연구 = 217
  마음의 처리과정 발견 = 217
  정신과정과 정신자원 = 219
 언어 사용 = 221
  언어 이해 = 221
  언어, 사고 그리고 문화 = 224
  생활 속의 심리학: 동물도 언어를 배울 수 있을까 = 225
 문제해결과 추론 = 227
  문제해결 = 227
  연역추론 = 230
  귀납추론 = 232
제10장 지능과 지능 평가 = 235
 평가란 무엇인가 = 236
  평가의 역사 = 237
  공식적 평가의 기본 특징 = 237
 지능 평가 = 239
  지능 검사의 기원 = 240
  지능 검사 = 240
  21세기의 심리학: World Wide Web에서의 평가 = 243
 지능에 대한 이론 = 244
  지능의 심리측정 이론 = 244
  Sternberg의 지능 삼원 이론 = 246
  Gardner의 다면적 지능과 정서 지능 = 246
 지능의 정치학 = 248
  집단 비교의 역사 = 248
  유전과 IQ = 249
  환경과 IQ = 250
  문화와 IQ 검사의 타당성 = 252
 창의성 = 253
  창의성의 평가와 지능과의 연계성 = 254
  비범한 창의성과 정신착란 = 255
 평가와 사회 = 256
제11장 전생애의 인간발달 = 259
 발달의 연구와 설명 = 261
  발달에 대한 기술 = 261
  발달에 대한 설명 = 262
 전생애에 걸친 신체적 발달 = 263
  태아기와 아동기의 발달 = 263
  청소년기의 신체 발달 = 266
  성인기의 신체적 변화 = 266
 전생애의 인지 발달 = 267
  정신발달에 대한 Piaget의 통찰 = 267
  초기 인지 발달에 대한 현대적 견해 = 270
  성인기의 인지 발달 = 272
 언어의 습득 = 274
  말소리 지각과 단어의 지각 = 274
  단어 의미의 학습 = 276
  문법의 습득 = 277
 전생애의 사회적 발달 = 277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단계 = 278
  아동기의 사회적 발달 = 279
  생활 속의 심리학: 주간 양육은 아동발달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가 = 283
  청소년기의 사회적 발달 = 284
  성인기의 사회적 발달 = 287
 성역할 발달 = 290
  생물학적 성과 심리적 성 = 290
  성역할의 획득 = 291
 도덕발달 = 292
  Kohlberg의 도덕적 추론의 단계 = 292
  도덕적 추론에 대한 성과 문화적 관점 = 293
제12장 동기 = 295
 동기의 이해 = 297
  동기 개념의 기능 = 297
  동기의 원천 = 298
 섭식 = 301
  섭식의 생리학 = 301
  섭식의 심리학 = 302
  21세기의 심리학: 유전자와 비만 = 303
 성행동 = 307
  동물의 성행동 = 308
  인간의 성적 각성과 반응 = 309
  성행동의 진화 = 310
  성 규범 = 311
  동성애 = 313
 개인적 성취를 향한 동기 = 315
  성취 욕구 = 315
  성공과 실패의 귀인 = 316
  일 그리고 조직심리학 = 318
  생활 속의 심리학: 내게 적당한 직업을 찾는 데 심리학이 도움이 될까 = 320
 욕구 위계 = 320
제13장 정서와 스트레스 = 323
 정서 = 325
  기본 정서와 문화 = 325
  정서 이론 = 328
  정서의 기능 = 332
 삶의 스트레스 = 335
  스트레스에 대한 생리적 반응 = 336
  스트레스에 대한 심리적 반응 = 338
  스트레스 대처 = 343
  생활 속의 심리학: 성격과 건강 = 347
제14장 성격의 이해 = 349
 유형과 특성 성격 이론들 = 351
  유형들로의 범주화 = 351
  특성의 기술 = 352
  특성과 유전성 = 355
  특성들은 행동들을 예언하는가 = 356
  생활 속의 심리학: 왜 수줍어 하는가 = 357
  유형과 특성 이론들에 대한 평가 = 358
 정신역동적 이론들 = 358
  Freud의 정신분석 = 358
  Freud 이론에 대한 평가 = 362
  Freud 이후의 이론들 = 362
 인본주의 이론 = 363
  인본주의 이론들의 특징들 = 364
  인본주의적 이론의 평가 = 365
 사회 학습과 인지 이론들 = 366
  Mischel 인지적-감정적 성격 이론 = 366
  Bandura의 인지적 사회 학습 이론 = 367
  Cantor의 사회적 지능 이론 = 369
  사회-학습과 인지 이론의 평가 = 370
 성격 이론들의 비교 = 370
  21세기의 심리학: 인터넷상 자기 = 371
 성격 평가 = 372
  객관적 검사들 = 372
  투사 검사들 = 374
제15장 심리 장애 = 377
 심리 장애의 본질 = 379
  이상행동이란 = 379
  객관성의 문제 = 380
  역사적 배경 = 381
  정신병리의 원인 = 382
 심리 장애의 분류 = 384
  분류의 목적 = 384
  DSM-IV-TR = 385
  생활 속의 심리학: "미쳤다"로 변호할 수 있나 = 386
 주요 심리 장애 = 387
  불안 장애의 유형 = 387
  불안 장애의 원인 = 390
  기분 장애의 유형 = 392
  기분 장애의 원인 = 393
  우울증의 성차 = 396
  자살 = 397
  성격 장애 = 397
  해리 장애 = 398
  21세기의 심리학: 인터넷 중독 = 400
 정신분열증 = 401
  정신분열증의 유형 = 401
  정신분열증의 원인 = 403
 정신병이라는 낙인 = 406
제16장 개인변화와 심리치료 = 409
 치료적 배경 = 411
  주요 치료와 치료의 목표 = 411
  치료자와 치료장면 = 411
  역사적, 문화적 배경 = 412
 정신역동적 치료 = 414
  Freud의 정신분석 = 414
  신 Freud 치료 = 416
  생활 속의 심리학: 억압된 기억이 따라다니는 인생 = 417
 행동치료 = 418
  역조건화 = 418
  수반관계 관리 = 421
  사회 학습 치료 = 422
  일반화 = 423
 인지치료 = 425
  인지 행동 수정 = 425
  잘못된 신념의 변화 = 425
 실존적 인본주의적 치료 = 427
  내담자 중심 치료 = 427
  21세기의 심리학: 컴퓨터 시대의 심리치료 = 428
  형태주의 치료 = 429
 집단치료 = 429
  부부치료와 가족치료 = 430
  지역사회 지지 집단 = 431
 생물의학적 치료 = 431
  정신수술과 전기충격치료 = 431
  약물치료 = 432
 치료의 효과 = 435
  심리치료 효과의 평가 = 435
  치료의 평가 = 436
  예방전략 = 437
제17장 사회적 과정과 관계 = 439
 상황의 힘 = 441
  역할과 규칙 = 441
  사회적 규범 = 442
  동조 = 443
  생활 속의 심리학: 집단은 의사결정에 어떤 영향을 주는가 = 446
  상황적 힘: 몰래 카메라 = 447
 사회적 현실 구성하기 = 448
  귀인 이론의 원천 = 448
  기본적 귀인 오류 = 449
  이기적 편향 = 451
  기대와 자기실현 예언 = 452
  기대를 확증시키는 행동 = 453
 태도, 태도 변화 그리고 행위 = 454
  태도와 행동 = 454
  설득의 과정 = 455
  자기행동에 의한 설득 = 457
  순종 = 459
 사회적 관계 = 461
  호감 = 461
  사랑 = 463
  21세기의 심리학: 관계와 인터넷 = 465
제18장 사회심리학, 사회, 문화 = 467
 이타주의와 친사회적 행동 = 469
  이타주의의 뿌리 = 469
  친사회적 행동의 동기 = 471
  친사회적 행동에 대한 상황의 영향 = 472
 공격성 = 474
  진화론적 관점 = 475
  개인차 = 475
  상황적 영향 = 476
  문화적 제약 = 479
 편견 = 481
  편견의 기원 = 482
  고정관념의 영향 = 483
  편견 해소하기 = 484
 갈등과 평화심리학 = 485
  21세기의 심리학: 세계가 점점 더 작아지고 있다 = 486
  권위에의 복종 = 486
  생활 속의 심리학: 왜 사람들은 사교집단에 참여하는가 = 491
  대량학살의 심리와 전쟁 = 492
  평화심리학 = 494
맺음말 = 497
참고문헌 = 499
주제별 찾아보기 = 501
인명별 찾아보기 = 512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