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Ⅰ부 글쓰기의 이해
[1] 글쓰기의 기본 = 19
1 글쓰기 학습의 전반에 대한 문제점과 지도 요점 = 19
1. 아동 글쓰기 현장에서 느끼는 문제점 = 19
1) 단문 현상 = 20
2) 국어 혼탁 현상 = 22
3) 기초 교육의 부실 현상 = 23
4) 표절 문제 = 23
2. 글쓰기 지도 요점 = 23
1) 3단계로 나누어 지도하기 = 24
2) 장르의 성격에 맞는 글쓰기 = 25
2 글쓰기의 기초 이론 = 26
1. 글쓰기의 개념 = 26
2. 글쓰기의 필요성과 목적 = 26
3. 글쓰기의 이로운 점 = 27
4. 좋은 글 = 27
5. 좋은 글을 쓰기 위한 방법 = 28
6. 국어과 교육 과정에서의 글쓰기 = 29
7. 원고지 바로 쓰기 = 29
1) 글을 원고지에 쓰는 이유 = 29
2) 원고지에 쓸 때 주의할 점 = 29
3) 제목 쓰기 = 29
4) 주소와 이름 쓰기 = 30
5) 본문 쓰기 = 32
8. 바른 문장 부호 사용법 = 33
1) 마침표 = 33
2) 쉼표 = 35
3) 따옴표 = 38
4) 묶음표 = 39
5) 이음표 = 40
6) 드러냄표 = 41
7) 안드러냄표 = 41
9. 우리 나라 사람들이 가장 많이 틀리는 말 = 42
10. 잘못 쓰이는 말 = 43
11. 한글 맞춤법 해설 중 띄어쓰기와 표준어 규정 = 47
1) 띄어쓰기 = 47
제Ⅱ부 종류별 글쓰기 지도
[1] 일기와 생활문 = 59
1 일기와 생활문에 대한 문제점과 지도 요점 = 59
1. 문제점 = 59
2. 지도 요점 = 60
2 일기와 생활문의 관계 = 61
1. 일기와 생활문의 성격 = 61
1) 일기란? = 61
2) 생활문이란? = 61
2. 일기와 생활문의 관계 = 62
3. 글감 = 63
1) 글감이란? = 63
2) 글감 잡는 요령 = 63
3) 좋은 글감 = 64
4. 중심 생각 = 66
5. 실제로 써보기 = 68
1) 글감 내용을 정리할 도표 만들기 = 69
2) 얼개 짜기 = 70
3) 첫머리 쓰기 = 72
4) 얼개도에 따라 본문 쓰기 = 73
5) 본문을 잘 쓰는 방법 = 76
6) 글 다듬기 = 77
3 일기를 통한 생활문 정복하기 = 77
1. 짧은 글을 길게 쓰기 = 77
2. 일기문 자료 = 84
1) 저학년 일기 = 84
2) 고학년 일기 = 86
4 일기와 생활문 평가하기 = 87
1. 교정 기호 사용하여 평가하기 = 87
1) 교정 및 바르게 옮겨 쓰기 연습 = 87
2) 생활문 작품 전체 교정하고 평가하기 = 87
3) 나만의 독특한 소재로 쓴 글 찾아내기 = 91
4) 누구나 만들 수 있는 글 찾아내기 = 92
[2] 동시 = 95
1 동시에 대한 문제점과 지도 요점 = 95
1. 문제점 = 95
1) 생활문을 연과 행만 나누어 놓는다 = 96
2) 자기의 경험 없이 책상 앞에서 아름다운 말로 꾸며 내려고 한다 = 96
3) 표절을 하는 경우가 많다 = 96
2. 지도 요점 = 96
1) 자기 경험과 생각을 쓰게 하자 = 97
2) 모방을 하지 말고 자기 생각대로 쓰게 하자 = 97
3) 자기만의 목소리로 노래하게 하자 = 97
2 동시의 기초 이론 = 98
1. 동시의 개념 = 99
2. 동시의 구성 = 99
1) 행과 연 = 99
3. 동시의 글감 = 101
1) 우리 생활 가운데서 찾기 = 101
2) 생각한 것 중에서 찾기 = 102
3) 보고 느낀 것 중에서 찾기 = 103
4) 자연의 아름다움 속에서 찾기 = 104
5) 동식물을 보고 느낀 점에서 찾기 = 105
6) 나와 관계 있는 물건 중에서 찾기 = 105
7) 나와 관계 있는 사람들 중에서 찾기 = 105
8) 그 밖의 것들 중에서 찾기 = 105
4. 동시 쓸 때 주의할 점 = 105
1) 꾸미지 말고 솔직하게 쓰기 = 105
2) 남의 흉내를 내지 말고 나만의 표현으로 쓰기 = 106
3) 쓰임이 적절한 말을 골라 쓰기 = 107
4) 되도록 말을 줄여 쓰기 = 108
5) 알맞은 비유를 해서 쓰기 = 108
6) 과거 형태로 쓰지 않기 = 109
5. 동시 쓰기의 여러 가지 기법 = 110
1) 심리 상태 나타내기 = 110
2) 사람에 빗대어 쓰기 = 111
3) 운율(리듬)을 살려서 쓰기 = 112
4) 소리, 모습, 움직임을 흉내내는 말로 표현하기 = 113
5) 문장의 앞뒤를 바꾸어 써 보기 = 114
3 동시 쓰기 연습 과정 = 114
1. 소재 잡기 = 114
2. 행과 연 나누기 = 116
3. 동시 쓰기 = 117
4. 다듬기 = 120
1) 긴 동시 줄이기 = 120
4 동시 감상 및 평가 = 122
1. 동시 작품 감상하기 = 122
1) 어린이의 마음이 잘 나타나게 쓴 글 = 122
2) 독특한 발상으로 쓴 작품 = 123
3) 생활이 들어 있는 글 = 124
2. 동시 작품 평가하기 = 127
[3] 독서 감상문 지도 = 133
1 독서 감상문 쓰기의 문제점과 지도 요점 = 133
1. 문제점 = 133
1) 책을 건성으로 읽는다 = 134
2) 독서 감상문을 쓸 때 책의 줄거리만 베껴 놓는다 = 134
3) 독서 감상문에 들어가야 할 요소들을 모른다 = 134
2. 지도 요점 = 134
1) 책 내용을 메모하면서 책을 읽게 한다 = 134
2) 메모한 내용을 가지고 토론을 하게 한다 = 135
3) 독서 감상문의 특성과 성격을 확실히 알고 쓰게 한다 = 135
2 독서 감상문 쓰기의 기초 이론 = 135
1. 독서 감상문의 성격과 쓰는 이유 = 135
1) 독서 감상문이란? = 135
2) 독서 감상문을 쓰는 이유 = 136
2. 좋은 점 = 136
3. 독서 감상문에 들어가야 할 내용 = 136
4. 독서 감상문의 형식 = 137
1) 보통 형식의 독서 감상문 = 137
2) 편지글 형식의 독서 감상문 = 139
3) 대화체 형식 = 141
4) 일기 형식 = 141
5) 시 형식 = 141
5. 독서 기록 카드 작성하기 = 141
3 독서 감상문 쓰기의 실제 = 146
1. 내용별로 실제 자세히 쓰기 = 146
1) 제목 붙이기 = 146
2) 책을 읽게 된 동기 = 146
3) 지은이와 출판사 소개 = 147
4) 이야기의 줄거리를 간단히 줄여 쓰기 = 148
5) 책 내용에 따른 나의 생각이나 느낌 쓰기 = 148
6) 전체적으로 느낀 점 쓰기 = 151
7) 희망 사항이나 나의 결심 쓰기 = 151
2. 나의 생각이나 느낌 끌어내기 = 152
1) 독서 토론의 실제 = 152
2) 길고 자세히 쓰는 과정 익히기 = 156
4 독서 감상문의 평가 = 170
1. 잘 쓴 독서 감상문과 부실한 독서 감상문의 차이점 = 170
2. 수준별 평가 작품의 사례 보기 = 171
1) 상·하로 평가할 때 = 171
2) 상·중·하로 평가할 때 = 173
3) 실제 평가해 보기 = 177
4) 대학생이 쓴 글 감상하기 = 179
5 컬럼으로 배우는 독서 감상문 쓰기 = 184
1. 독서 감상문 쓰기 = 184
1) 내용보다 자기 생각과 의견을 많이 쓰자 = 184
2) 글 속의 주인공 입장과 자기 생활이나 환경을 비교해서 쓰자 = 185
3) 글의 중심 내용을 파악하자 = 186
6 어린이에게 권장할 만한 책 = 187
1. 우리 고전 목록 = 187
2. 세계 명작 목록 = 188
[4] 편지글 = 191
1 편지글에 대한 문제점과 지도 요점 = 191
1. 문제점 = 191
1) 편지글에 들어가야 할 내용을 잘 모른다 = 192
2) 편지 봉투 쓰기를 할 줄 모른다 = 192
2. 지도 요점 = 192
1) 편지 쓰기를 공부할 때는 편지에 들어가야 할 요소를 철저히 알게 한다 = 192
2) 받는 이에 따라 달라지는 인사와 호칭을 알게 한다 = 192
3) 봉투 쓰기의 격식을 제대로 익히게 한다 = 192
2 편지글의 성격과 종류 = 193
1. 글의 성격 = 193
1) 글의 용도 = 193
2) 글의 특성 = 193
2. 편지글의 종류 = 194
1) 사귀기 위해 쓰는 편지 = 194
2) 실생활에 필요해서 쓰는 편지 = 194
3. 편지글의 구성 = 194
1) 받는 사람 = 194
2) 첫인사 = 194
3) 하고 싶은 말 = 194
4) 끝인사 = 194
5) 쓴 날짜 = 195
6) 쓴 사람 = 195
4. 주소와 이름 쓰기 = 195
1) 주소 쓰기 = 195
2) 봉투 쓰기의 주의 사항 = 195
5. 실제 쓰기 = 195
[5] 기행문 = 199
1 기행문에 대한 문제점과 지도 요점 = 199
1. 문제점 = 199
1) 학교에서 기행문 쓰기의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다 = 199
2) 기행문 안에 들어갈 내용과 순서를 모른다 = 200
2. 지도 요점 = 200
2 기행문 잘 쓰는 법 = 200
1. 기행문의 성격과 쓰는 이유 = 200
1) 기행문의 성격 = 200
2) 기행문을 쓰는 이유 = 200
2. 기행문의 형식 = 201
1) 수필 형식으로 쓴 글 = 201
2) 편지 형식으로 쓴 글 = 204
3) 일기 형식으로 쓴 글 = 205
3. 기행문 쓰는 법 익히기 = 208
1) 쓰는 순서와 내용 = 208
2) 쓸 때 주의할 점 = 208
3) 메모하기 = 208
3 감상 및 평가하기 = 211
1. 작품 감상하기 = 211
1) 글의 성격이 모호한 글 가리기 = 211
2. 평가하기 = 214
[6] 설명문과 논설문 = 219
1 설명문과 논선문에 대한 문제점과 지도 요점 = 220
1. 문제점 = 220
1) 설명문보다 논설문 쪽에만 치중해서 지도한다 = 220
2) 설명문과 논선문의 성격과 특성을 잘 알지 못한다 = 220
3) 논설문을 가르칠 때 어떤 틀을 외우게 하려고 한다 = 220
2. 지도 요점 = 221
1) 설명문과 논설문의 성격과 특성을 구분하여 알 수 있도록 지도하자 = 221
2) 글에 들어가야만 할 요소를 제대로 알게 하자 = 221
2 설명문과 논설문의 관계 = 221
1. 설명문과 논설문의 뜻 = 222
1) 설명문 = 222
2) 논설문 = 222
2. 설명문과 논설문의 특성 = 222
1) 설명문의 특성 = 222
2) 논설문의 특성 = 222
3. 설명문과 논설문의 짜임 = 223
1) 설명문과 짜임 = 223
2) 논설문의 짜임 = 223
3 설명문 쓰는 법 = 224
1. 설명문을 쓸 때 유의할 사항 = 224
2. 여러 가지 방법으로 설명문 쓰기 = 224
1) 풀이하는 방법으로 쓰기 = 224
2) 분석하는 방법으로 쓰기 = 225
3) 비교하는 방법으로 쓰기 = 227
3. 자기 소개서 쓰기 = 228
1) 자기 소개서에 들어가야 할 내용 = 228
4 설명문의 감상과 평가하기 = 229
5 논설문 쓰는 법 = 231
1. 논설문 쓰기의 좋은 점 = 231
2. 논설문 제대로 읽기 = 231
1) 논설문 제목을 보고 논설 내용 짐작하기 = 232
2) 글의 짜임을 생각하며 읽기 = 232
3) 주장을 나타낸 문장을 찾으며 읽기 = 232
4) 본문에서 주장을 뒷받침하는 이유나 근거를 든 문장을 찾으며 읽기 = 232
5) 실천 방안이 적당한가 살피며 읽기 = 232
6) 사실과 의견을 구별하며 읽기 = 233
3. 논설문을 쓸 때 유의할 점 = 233
4. 논설문을 잘 쓸 수 있는 여러 갈래의 지름길 = 233
1) 사실과 의견을 구별하는 지름길 = 233
2) 주장과 이유, 근거를 구별하는 지름길 = 234
3) 원인과 결과를 구별하는 지름길 = 235
4) 중심 문장과 보조 문장을 일깨워 주는 지름길 = 236
5) 주장을 뒷받침하는 보기나 자료를 내보이는 지름길 = 237
6) 주장을 실천할 수 있는 방법의 지름길 = 237
7) 주장할 때 격언이나 속담을 인용하는 지름길 = 238
5. 논설문 쓰는 순서 = 238
1) 글감(소재) 고르기 = 239
2) 제목 정하기 = 240
3) 자료 조사하기 = 241
4) 얼개(개요·플롯) 짜기 = 241
5) 얼개대로 쓰기 = 242
6 논설문과 말하기의 관계 = 245
1. 논리·토의·토론의 뜻 = 245
1) 논리의 뜻 = 245
2) 토의의 뜻 = 245
3) 토론의 뜻 = 245
2. 의견 발표·토의·토론할 때 논리적으로 말하는 법 = 248
7 논설문 감상 및 평가하기 = 249
1. 논설문 감상하기 = 249
1) 논설문으로 시작해서 생활문으로 끝난 글 = 249
2) 보조 설명이 부족한 글 = 250
3) 이유와 실천 방안을 한 단락에 쓴 글 = 251
4) 이유와 실천 방안을 따로 쓴 글 = 252
[7] 기록문과 보고문 = 255
1 기록문과 보고문에 대한 문제점과 지도 요점 = 255
1. 문제점 = 255
1) 성격상 두 가지 글을 구분하지 못한다 = 255
2) 현장에서의 지도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는다 = 256
3) 지도는 안 됐는데 글 쓸 기회는 늘어나는 현상이다 = 256
2. 지도 요점 = 256
1) 두 가지 글의 분명한 차이점을 알려주자 = 256
2) 두 가지 글을 바르게 쓰는 실습 위주의 지도를 하자 = 256
2 기록문과 보고문의 관계 = 257
1. 기록문과 보고문의 같은 점과 다른 점 = 257
1) 기록문이란? = 257
2) 보고문이란? = 257
3) 기록문과 보고문의 다른 점 = 258
3 기록문과 보고문의 종류 = 258
1. 견학 기록문과 보고문 = 259
1) 기행문·견학 기록문·견학 보고문의 차이점 = 259
2) 견학 기록문과 보고문을 쓸 때 들어갈 내용 = 259
3) 견학 기록문과 보고문 쓰는 순서 = 259
4) 견학 기록문과 보고문을 쓸 때 주의할 점 = 260
5) 쓸거리 메모하기 = 260
6) 견학 기록문과 보고문 쓰기 = 261
7) 감상과 평가하기 = 264
2. 관찰 기록문과 보고문 = 265
1) 관찰 기록문과 보고문의 차이점 = 265
2) 올바른 관찰법 = 265
3) 관찰 기록문과 보고문을 쓸 때 주의할 점 = 265
4) 관찰 기록문과 보고문의 예 = 265
3. 실험 기록문과 보고문 = 268
1) 실험 보고문에 들어가야 할 내용 = 268
2) 실험 보고문 쓰기 = 269
4. 조사 연구 기록문과 보고문 = 270
1) 조사 연구 기록문의 뜻 = 270
2) 조사 연구 기록문에 들어가야 할 내용 = 270
3) 조사 연구 기록문의 짜임 = 270
4) 조사 연구 기록문의 예 = 270
5) 회의 기록문과 보고문 = 274
6) 사건 기록문과 보고문 = 274
7) 연구 기록문과 보고문 = 274
제Ⅲ부 현장 지도의 실제
[1] 각 현장의 차이점과 유의할 점 = 277
1 각 현장 환경의 특수성과 주의할 점 = 277
1. 가정 = 277
2. 학교 = 278
3. 학원 = 278
4. 방문 교육 = 279
5. 문화 센터 = 280
[2] 글쓰기 계획서 작성하기 = 281
1 방과후 특기 적성 활동 운영 계획서 세우기 = 281
1. 운영 계획서를 작성할 때의 유의점 = 281
2. 운영 계획서의 예 = 282
3. 시간별 글쓰기 계획 쓰기 = 283
1) 기초반 = 284
2) 중급반 = 289
3) 고급반 = 291
4) 어머니반 = 299
2 안내장 제출하기 = 308
1. 안내장의 예 = 308
3 글쓰기 캠프 계획 세우기 = 310
1. 글쓰기 캠프 계획 = 310
1) 글쓰기 캠프 계획서의 예 = 310
찾아보기 = 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