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편 거시경제학과 국민소득 결정
제1장 거시경제학의 기초개념과 국민소득
Ⅰ. 미시경제학·미시경제문제와 거시경제학·거시경제문제 = 25
Ⅱ. 국민경제의 순환 = 26
1. 단순한 순환모형 = 26
2. 확대된 순환모형 = 26
3. 주입과 누출 = 27
Ⅲ. 소득과 국부의 개념 = 27
Ⅳ. 국내총생산(GDP)의 개념 = 28
1. 국내총생산(GDP)과 국민총생산(GNP) = 28
2. 평가방법에 따른 여러 가지 GDP = 29
Ⅴ. GDP측정 = 30
1. 생산측면의 GDP = 30
2. 분배측면의 GDP = 31
3. 지출측면에서의 GDP = 31
Ⅵ. GDP의 또다른 측면 = 33
Ⅶ. 기타 국민소득지표 = 33
Ⅷ. GDP개념의 유용성, 범위, 한계 = 36
1. 유용성 = 36
2. 범위 = 36
3. 한계 = 36
Ⅸ. 새로운 후생지표 = 37
1. MEW = 37
2. Green GDP = 37
Ⅹ. 국민계정과 사회지표 = 37
1. 국민계정 = 37
2. 사회지표 = 38
ⅩⅠ. 패러다임의 변화와 거시경제학 = 38
제2장 고전학파 단순모형
Ⅰ. 기본가정 및 기본요소 = 39
Ⅱ. 실질국민소득의 결정 = 40
1. 단기 총생산함수 = 40
2. 노동시장 = 40
3. 실질국민소득의 결정 = 41
Ⅲ. 실질이자율의 결정 = 42
Ⅳ. 고전학파 단순모형의 전체체계 = 44
Ⅴ. 실질국민소득과 실질이자율의 변동 = 45
1. 실질국민소득의 변동 = 45
2. 실질이자율의 변동 = 47
제3장 케인스학파 단순모형
Ⅰ. 기본가정 및 기본요소 = 49
Ⅱ. 실질국민소득의 결정 = 50
1. 소비수요 및 저축 그리고 투자수요 = 50
2. 실질국민소득의 결정 = 51
Ⅲ. 균형소득으로의 조정과정 = 52
1. 그림에 의한 설명 = 52
2. S=I^D의 의미 = 52
3. 의도한 재고투자와 실현된 재고투자 = 54
4. 고전학파의 가격조정과 케인스학파의 수량조정 = 55
Ⅳ. 실질국민소득의 변동 = 56
1. 투자수요의 증가 = 56
2. 소비수요의 감소(저축의 증가)와 절약의 역설 = 57
Ⅴ. 균형소득과 잠재GDP = 58
제4장 케이스학파 단순모형과 승수이론
Ⅰ. 승수의 개념 = 59
Ⅱ. 가정 및 한계 = 60
Ⅲ. 도출 = 60
1. 개념 자체에 의한 도출 = 60
2. 균형조건식과 그림에 의한 도출 = 61
Ⅳ. 여러가지 승수 = 63
1. 폐쇄경제에서 정액세만 있는 경우 = 63
2. 폐쇄경제에서 비례세도 있는 경우 = 64
3. 개방경제에서 비례세도 있는 경우 = 65
4. 승수의 크기를 결정하는 요인 = 67
부록 : 복합승수 = 67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69
응용문제 및 고급문제 = 123
제2편 소비함수와 투자함수
제5장 소비와 소비함수
Ⅰ. 기초개념 = 137
1. 소비와 소비함수 = 137
2. 소비의 종류 = 137
3. 소비와 저축 = 138
Ⅱ. 고전학파와 케인스학파의 소비함수 = 138
1. 고전학파의 소비함수 및 저축함수 = 138
2. 케인스학파의 소비함수 및 저축함수 = 138
Ⅲ. 고전학파의 소비함수 = 139
1. 가정 = 139
2. 무차별곡선 = 140
3. 소득, 이자율, 예산선 = 140
4. 저축자의 효용극대화와 차입자의 효용극대화 = 141
5. 이자율의 변동과 소비 및 저축의 변동 = 141
6. 고전학파의 소비함수 및 저축함수 = 143
Ⅳ. 케인스학파의 소비함수와 소비함수 논쟁 = 143
1. 절대 소득가설 = 143
2. 실증분석과 소비함수 논쟁 = 144
3. 상대소득가설 = 145
4. 항상소득가설 = 146
5. 생애주기(평생소득)가설 = 150
제6장 투자와 투자함수
Ⅰ. 기초개념 = 152
1. 투자와 투자함수 = 152
2. 투자와 자본 및 투자함수 = 152
3. 투자의 종류 = 153
4. 재고투자와 재고 = 153
5. 의도한(사전적) 투자와 실현된(사후적) 투자의 사례 = 153
Ⅱ. 고전학파의 현재가치법에 의한 투자함수 = 154
1. 가정 = 154
2. 투자비용과 투자의 현재가치 비교 = 154
3. 이자율과 투자사이의 관계 = 155
Ⅲ. 케인스의 내부수익률법에 의한 투자함수 = 155
1. 가정 = 155
2. 투자의 한계효율 = 155
3. 이자율과 투자의 한계효율 = 156
4. 이자율과 투자 사이의 관계 = 156
Ⅳ. 현재가치법과 내부수익률법의 비교 = 156
1. 공통점 = 156
2. 차이점 = 156
3. 투자함수와 투자세액공제 = 158
Ⅴ. 가속도원리 = 158
1. 가속도원리와 유발투자의 개념 = 158
2. 사례 = 158
3. 모형 = 159
4. 유발투자함수 = 159
5. 가속도이론의 한계 = 159
Ⅵ. q이론 = 160
1. 토빈(J. Tobin)의 q = 160
2. q이론과 투자 = 160
3. q이론의 의의 = 160
4. q이론의 한계 = 161
부록
1. 단순한 가속도원리 = 161
2. 신축적인 가속도원리(점진적 자본스톡모형) = 162
지출문제 및 핵심문제 = 163
응용문제 및 고급문제 = 184
제3편 화폐금융
제7장 화폐와 금융
Ⅰ. 화 폐 = 193
1. 화폐의 기능 = 193
2. 화폐의 정의 = 193
3. 화폐형태의 발달 = 193
4. 통화량·통화지표 = 194
5. 통화지표의 분류와 규모 = 195
6. 중심통화지표 = 195
Ⅱ. 금융과 금응기관 = 197
1. 금융 = 197
2. 금융시장 = 198
3. 우리나라의 금융기관과 그 기능 = 198
4. 금융의 발달 = 200
부록
Ⅰ. 화폐제도의 변천 = 201
1. 자연화폐제도 = 201
2. 본위화폐제도 = 201
3. 관리통화제도 = 201
Ⅱ. 금융시장에 대한 이론 = 202
1. 효율적 시장가설 = 202
2. Modigliani-Miller 정리 = 203
제8장 화폐공급
Ⅰ. 화폐공급의 메커니즘 = 205
Ⅱ. 한국은행의 본원통화 공급 = 206
1. 본원통화 = 206
2. 본원통화의 구성 = 206
3. 한국은행의 대차대조표 = 206
4. 본원통화의 공급경로 = 207
Ⅲ. 대표적인 화폐공급함수와 통화승수 = 208
1. 통화(M₁)의 공급함수 = 208
2. 통화승수의 도출 = 208
Ⅳ. 통화승수와 예금은행의 신용창조 = 209
1. 예금은행의 대차대조표 = 209
2. 가정 = 210
3. 구체적 신용창조 = 210
4. 여러 통화지표 = 212
Ⅴ. 극단적인 통화승수와 예금은행 최대한의 신용창조 = 212
1. 가정 = 212
2. 최대한의 신용창조와 신용승수 = 213
3. 구체적 신용창조 = 213
Ⅵ. 화폐공급함수 = 215
제9장 화폐수요
Ⅰ. 고전학파계통의 화폐수요이론 = 216
1. 교환방정식 = 216
2. 현금잔고 방정식 = 218
3. 교환방정식과 현금잔고 방정식의 비교 = 218
Ⅱ. 케인스의 화폐수요이론 = 219
1. 기초개념 = 219
2. 화폐수요의 세가지 동기 = 219
3. 투기적 동기의 화폐수요 = 219
4. 유동성 함정(liquidity trap) = 221
5. 화폐수요함수 = 222
부록
1. 프리드만(M. Friedman)의 신화폐수량설 = 222
2. 케인스의 투기적 화폐수요 = 223
3. 보물의 재고 이론 = 225
4. 토빈의 자산선택이론 = 226
제10장 화폐시장균형과 물가 또는 이자율 결정이론
Ⅰ. 화폐시장의 균형 = 229
Ⅱ. 고전학파와 물가 결정이론 = 229
1. 화폐시장균형 = 229
2. 화폐시장균형의 이동 = 230
Ⅲ. 케인스학파의 이자율 결정이론 = 231
1. 화폐시장균형 = 231
2. 화폐시장균형의 이동 = 232
부록: 대출자금설 = 233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234
고급문제 및 응용문제 = 277
제4편 총수요·총공급이론, 재정·금융정책
제1l장 거시경제의 완전모형
Ⅰ. 단순모형과 완전모형 = 297
Ⅱ. 고전학파의 완전모형 = 297
1. 개요 = 297
2. 그림으로 나타낸 고전학파 완전모형 = 298
3. 외생적 변화의 효과 = 299
4. 고전학파의 2분법 및 화폐의 중립성 = 299
Ⅲ. 케인스학파의 완전모형(1) = 300
1. 개요 = 301
2. 완전모형(1)의 균형 = 302
3. 외생적 변화의 효과 = 302
Ⅳ. 케인스학파의 완전모형(2) = 304
1. 생산둘시장의 균형 = 306
2. 화폐시장의 균형 = 310
3.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동시 균형 = 313
4. 외생직 변화의 효과 = 314
부록: 케인스학파 완전모형의 승수효과 = 316
제12장 총수요·총공급 이론
Ⅰ. 기초개념 = 318
1. 총수요·총공급 이론 = 318
2. 총수요와 총공급 = 318
Ⅱ. 고전학파의 총수요·총공급 이론 = 319
1. 총수요곡선 = 319
2. 총수요곡선의 이동 = 321
3. 총공급곡선 = 321
4. 총공급곡선의 이동 = 321
5. 실질국만소득과 물가의 결정 = 322
6. 외생적 변화의 효과 = 322
Ⅲ. 케인스학파의 총수요·총공급 이론 = 323
1. 총수요곡선 = 323
2. 총수요곡선의 이동 = 325
3. 총공급곡선 = 325
4. 총공급곡선의 이동 = 328
5. 실질국민소득과 물가의 결정 = 328
6. 외생적 변화의 효과 = 329
부록: 케인스학파 총수요곡선의 기울기 = 332
제13장 두 계통의 거시경제학의 종합, 재정·금융정잭
Ⅰ. 신고전학파(신고전적) 종합과 단기·장기 = 335
1. 의의 = 335
2. 총공급곡선의 활용 = 335
Ⅱ. 비개입주의와 개입주의 = 336
1. 개념 = 336
2. 디플레이션갭이 존재하는 경우 = 337
3. 인플레이션갭이 존재하는 경우 = 338
Ⅲ. 거시경제의 장·단기 분석 = 339
1. 총수요측면의 충격 = 339
2. 총공급측면의 충격 = 341
Ⅳ. 거시경제정책 = 342
Ⅴ. 재정정책 = 343
1. 기초개념 = 343
2. 우리나라의 재정 = 343
3. 확대재정정책의 효과 = 348
4. 재정정책의 기타 효과 = 349
Ⅵ. 금융정책 = 350
1. 기초개념 = 350
2. 금융정책의 수단 = 351
3. 우리나라의 금융정책 = 352
4. 확대금융정책의 효과 = 354
Ⅶ. 정책시차 = 355
1. 정책시차의 종류 = 355
2. 재정정책과 금융정책에서의 정책시차 비교 = 355
3. 정책시차의 의의 = 355
부록
1. 재정정책의 기타 효과 = 356
2. 폐쇄경제에서 통화량지표·이자율지표 사이의 선택 = 357
기출문젝 및 핵심문제 = 358
고급문제 및 응용문제 = 413
제5편 필립스곡선, 실업, 인플레이션
제14장 인플레이션형 총수요 총공급곡선과 필립스곡선
Ⅰ. 인플레이션형 총수요·총공급곡선과 오쿤의 법칙 = 434
1. 인플레이션형 총수요곡선 = 434
2. 인플레이션형 총공급곡선 = 435
3. 인플레이션율과 실질GDP의 결정 = 436
4. 오쿤의 법칙(Okun's law) = 436
Ⅱ. 필립스곡선 = 437
1. (원래의) 필립스곡선의 개념과 도출 = 437
2. 스태그플레이션 = 438
3. 예상부가 필립스곡선, 자연실업률가설, 장기필립스곡선 = 439
4. 고전학파와 새고전학파의 필립스곡선 = 443
제15장 실업
Ⅰ. 실업의 개념과 측정 = 444
Ⅱ. 실업의 형태 = 446
Ⅲ. 학파별 실업이론 = 447
제16장 물가지수와 인플레이션
Ⅰ. 물가지수의 개념과 의의 = 448
Ⅱ, 물가지수의 계산방법 = 449
Ⅲ. 물가지수의 종류 = 450
Ⅳ. 인플레이션의 개념과 의의 = 451
Ⅴ. 인플레이션의 효과 = 452
Ⅵ. 인플레이션의 원인에 대한 이론과 대책 = 453
1. 수요견인 인플레이션 = 453
2. 비용인상 인플레이션 = 455
3. 혼합형 인플레이션 = 457
부록 : 기타 물가지수 계산방법 = 458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459
고급문제 및 응용문제 = 502
제6편 거시경제학의 변천
제17장 고전학파의 거시경제학
Ⅰ. 주요학자와 기본가정 = 518
Ⅱ. 총공급 = 519
1. 노동시장 = 519
2. 총생산함수 = 519
3. 총공급곡선 = 519
Ⅲ. 총수요 = 520
1. 생산물시장과 이자율결정 = 520
2. 화폐시장과 물가결정 = 520
3. 총수요곡선 = 521
Ⅳ. 총공급과 총수요의 균형 = 521
Ⅴ. 외생적 변화의 효과 = 522
1. 투자수요증가 또는 확대재정정책 = 522
2. 확대금융정책 = 522
Ⅵ. 고전학파의 2분법 및 화폐의 중립성 = 523
제18장 케인스학파의 거시경제학
Ⅰ. 주요학자와 기본가정 = 524
Ⅱ. 총공급 = 525
1. 노동시장 = 525
2. 총생산함수 = 525
3. 총공급곡선 = 525
Ⅲ. 총수요 = 526
1. 생산물시장과 화폐시장의 상호작용 = 526
2. 화폐시장과 이자율결정 = 526
3. 총수요곡선의 도출경로 = 526
4. 총수요곡선 = 527
Ⅳ. 총공급과 총수요 = 527
Ⅴ. 외생적 변화의 효과 = 527
Ⅵ. 고전학파와 케인스학파의 주요 차이점 = 528
제19장 통화주의
Ⅰ. 주요학자와 기본가정 = 530
Ⅱ. 총공급과 총수요 = 530
Ⅲ. 케인스학파와 통화주의의 비교 = 531
제20장 공급중시경제학
Ⅰ. 공급중시경제학의 의의 = 532
Ⅱ. 래퍼곡선 = 533
Ⅲ. 총수요·총공급 이론과 정책효과 = 534
제21장 합리적 기대가설, 새고전학파, 새케인스학파
Ⅰ. 두 학파의 비교 = 535
Ⅱ. 기대(예상)이론과 합리적 기대 = 536
1. 기대(예상)이론의 전개 = 536
2. 정태적(고정된) 기대 = 536
3. 적응적 기대 = 537
4. 합리적 기대 = 538
Ⅲ. 새고전학파 = 540
1. 주요학자와 기본가정 = 540
2. 총수요·총공급 이론 = 540
3. 정책무력성 명제 = 541
4. 균형경기변동론 = 541
Ⅳ. 새케인스학파 = 542
1. 주요학자와 기본가정 = 542
2. 임금경직성 이론 = 542
3. 가격경직성 이론 = 544
4. 이자율경직성 이론 = 545
5. 새케인스학파와 정책효과 = 545
6. 불균형 경기변동론 = 546
부록 : 새고전학파의 이론들
1. 루카스 계량경제정책비판(루카스비판) = 546
2. 리카도 등가정리(Ricardian equivalence theorem) = 546
부록 : 불균형거시경제학
Ⅰ. 불균형거시경제학의 의의 및 기본요소 = 547
Ⅱ. A.Leijonhufvud와 불완전한 정보 및 불균형 = 548
Ⅲ. D.Patinkin의 노동시장 분석 = 548
Ⅳ. R.Clower의 유효수요 분석과 재결정(2중결정)가설 = 549
Ⅴ. R.Barror와 H.Grossman의 상호파급효과 = 549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550
고급문제 및 응용문제 = 596
제7편 국제금융
제22장 국제수지
Ⅰ. 국제수지와 국제수지표 = 605
1. 국제수지와 국제대차 = 605
2. 국제수지표의 기록 방법과 내용 = 606
3. 국제수지의 분류 = 607
4. 국제수지의 구체적인 사례 = 608
5. 국제수지에 대한 보충 사항 = 608
6. 국제수지의 균형 = 609
Ⅱ. 국민경제와 국제수지, 화폐공급 = 610
1. 개방된 국민경제와 경상수지 = 610
2. 국민저축의 구성 = 611
3. 전체국제수지 = 611
4. 해외요인에 의한 화폐공급 = 612
제23장 국제금융시장 환율, 환율결정이론, 환율제도
Ⅰ. 국제금융시장의 구성 = 613
Ⅱ. 환율 = 614
1. 환율의 개념 = 614
2. 환율의 표시방법=614
3. 환율의 변동 = 614
4. 환율의 종류 = 615
5. 환리스크(환위험) = 615
6. 헤징(hedging) = 616
7. 투기 = 616
Ⅲ. 환율결정에 대한 세 기본이론 = 617
1. 구매력 평가설에 의한 장기 환율결정이론 = 617
2. 국제 경상거래에 기초한 외환의 유량수요·총급에 의한 중기 환율결정이론 = 619
3. 금리평가설에 의한 단기 환율결정이론 = 624
4. 세 기본이론의 의의 = 627
Ⅳ. 환율과 환율제도 운영 = 628
1. 자유변동환율제도 = 628
2. 고정환율제도 = 628
3. 관리변동환율제도 = 629
Ⅴ. 환율제도의 비교 = 630
Ⅵ. 환율변동의 효과 = 630
부록
Ⅰ. 두 종류의 금리평가 = 631
1. 두 종류의 금리평가 = 631
2. 무위험 금리평가 = 631
3. 유위험 금리평가와 무위험 금리평가 = 632
Ⅱ. 환율제도의 변천 = 632
1. 금본위제도 = 632
2. 조정가능 고정환율제도 = 633
3. Kingston 체제 = 635
Ⅲ. EMS와 유럽 단일통화 = 636
1. EMS의 성립 = 636
2. EMS의 내용 = 636
3. EMS의 발전과 유럽단일통화 탄생 = 637
Ⅳ. 우리나라의 환율제도 = 637
1. 이전의 환율제도 = 637
2. 시장평균환율제도 = 637
3. 변동환율제도 = 638
제24장 환율과 국제수지에 대한 국제거시경제 모형
Ⅰ. 단순한 통화주의 모형 = 639
1. 변동환율제도 = 639
2. 고정환율제도 = 641
Ⅱ. 케인스학파 단순모형 = 644
1. 고정환율제도 = 644
2. 변동환율제도 = 647
Ⅲ. 케인스학파 완전모형(1) = 649
1. 고정환율제도 = 650
2. 자유변동환율제도 = 652
Ⅳ. 케인스학파완전모형(2) = 654
1. 세 시장과 세 곡선 = 654
2. 고정환율과 변동환율 아래서 외생적 변화의 효과 = 658
Ⅴ. 환율제도의 비교 = 662
Ⅵ. 우리 나라 외환금융위기(1997년) = 664
1. 외환금융위기의 개념 = 664
2. 외환금융위기의 원인 = 665
3. 전개 = 666
4. 해결 = 666
부록
Ⅰ. 돈부시의 과잉초정(overshooting) 모형 = 667
1. 가정 = 667
2. 확대금융정책의 효과 = 667
3. 환율의 과잉조정 = 669
Ⅱ. 개방경제에서의 종합균형(대내균형과 대외균형) 달성 = 669
1. 기초개념 = 669
2. 케인스학파 단순모형과 종합균형 정책할당 = 670
3. 케인스학과 완전모형에서의 종합균형·정책할당 = 673
Ⅲ. 국제수지불균형 조정 = 677
Ⅳ. 외환금융위기 = 678
1. 외환위기의 이론 = 678
2. 1990년대 외환위기의 사례 = 679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680
응용문제 및 고급문제 = 737
제8편 경기변동, 경제성장, 경제발전
제25장 경기변동
Ⅰ. 경기변동의 의의 = 757
1. 경기변동의 정의 = 757
2. 경기변동의 국면 = 758
3. 경기변동의 특징 = 758
4. 경기변동의 지표 = 760
5. 경기변동의 종류 = 761
7. 우리나라의 경기변동 = 761
Ⅱ. 경기변동의 주요이론 = 763
1. 개요 = 763
2. 새무얼슨의 승수-가속도 결합 경기변동이론 = 763
3. 힉스(J.R.Hicks)의 순환제약이론 = 765
4. 노드하우스(W. Nordhaus)의 정치적 경기변동이론 = 767
5. 새고전학파의 경기변동이론(균형경기변동이론) = 767
6. 새케인스학파의 경기변동이론 = 770
부록: 전통적 경기변동이론 = 771
제26장 경제성장
Ⅰ. 경제성장의 개념, 측정, 요인 = 773
Ⅱ. 경제성장의 정형화된 사실 = 774
Ⅲ. 경제성장론의 개요 = 775
Ⅳ. 솔로(R. Solow)의 신고전학파 성장이론 = 775
1. 가정 = 776
2. 내용 = 776
3. 외생적 변화에 의한 정상상태의 변화 = 779
Ⅴ. 해롯-도마(Harrod-Domar)모형 = 781
1. 의의 = 781
2. 가정 = 781
3. 여러 성장률의 조건 = 782
4. 솔로 경제성장이론과 해롯-도마 경제성장이론의 비교 = 785
Ⅵ. 최적성장이론과 경제성장의 황금률 = 786
1. 최적성장이론 = 786
2. 솔로 경제성장이론과 경제성장의 황금률 = 786
Ⅶ. 내생적 성장이론 = 788
1. 내생적 성장이론의 등장배경 = 788
2. 내생적 성장이론의 주요내용 = 789
3. 내생적 성장이론의 의의 = 789
4. 내생적 성장이론의 한계 = 790
Ⅷ. 턴파이크 정리 = 790
부록
Ⅰ. 기술진보와 경제성장 = 791
1. 힉스(J.R.Hicks)의 기술진보 분류 = 791
2. 해롯(R. F. Marred)의 기술진보 분류 = 791
3. 기술진보와 솔로 경제성장모형 = 792
Ⅱ. 도마(E.D.Domar)의 경제성장이론 = 794
1. 의의 = 794
2. 투자의 이중성 = 794
제27장 경제발전
Ⅰ. 경제발전의 개념과 요인 = 795
Ⅱ. 경제발전단계설 = 796
1. F. List(역사학파) - 주요산업에 따른 분류 = 796
2. G.Schm¨oller(역사학파) - 경제통합의 정도에 따른 분류 = 796
3. K.Marx - 생산양식에 따른 분류 = 797
4. W.W.Rostow - 경제성장 단계에 따른 분류 = 797
5. A.Gerschenkron의 공업화약진이론 = 798
6. C.Clark - 산업구조에 따른 분류 = 798
7. W.Hoffmann - 소비재산업의 비중에 따른 분류 = 798
Ⅲ. 경제발전전략 = 799
1. 균형발전론 = 799
2. 불균형발전론 = 800
3. 수입대체 경제발전전략 = 802
4. 수출주도 경제발전전략=802
5. 경제의 2중구조와 Lewis의 경제발전이론 = 803
Ⅳ. 우리나라의 경제발전 = 804
1.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특징(G-I-O) = 804
2. 우리나라 경제발전과 경제·사회지표 = 804
3.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문제점 = 805
기출문제 및 핵심문제 = 806
고급문제 및 응용문제 = 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