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비교행정론

비교행정론 (Loan 71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광웅 강성남
Title Statement
비교행정론/ 김광웅 ; 강성남 공저.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博英社 ,   2004.  
Physical Medium
vi, 386 p. ; 26 cm.
ISBN
8910452188
General Note
찾아보기: p. 369-386  
Bibliography, Etc. Note
각 장마다 참고문헌 및 서지적 각주 수록
000 00613camccc200229 k 4500
001 000045125504
005 20100806044257
007 ta
008 040916s2004 ulk b 001a kor
020 ▼a 8910452188 ▼g 93350: ▼c \20000
035 ▼a KRIC09493516
040 ▼a 211019 ▼d 211062 ▼d 211009
082 0 4 ▼a 351 ▼2 21
090 ▼a 351 ▼b 2004a
100 1 ▼a 김광웅 ▼0 AUTH(211009)15179
245 1 0 ▼a 비교행정론/ ▼d 김광웅 ; ▼e 강성남 공저.
260 ▼a 서울 : ▼b 博英社 , ▼c 2004.
300 ▼a vi, 386 p. ; ▼c 26 cm.
500 ▼a 찾아보기: p. 369-386
504 ▼a 각 장마다 참고문헌 및 서지적 각주 수록
700 1 ▼a 강성남 ▼0 AUTH(211009)119285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 2004a Accession No. 1112999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 2004a Accession No. 11129990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 2004a Accession No. 11134492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4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 2004a Accession No. 1511693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5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 2004a Accession No. 15116937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 2004a Accession No. 11129990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 2004a Accession No. 11129990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3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351 2004a Accession No. 11134492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 2004a Accession No. 151169372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Sejong Academic Information Center/Social Science/ Call Number 351 2004a Accession No. 151169373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광웅(지은이)

저자는 법학, 행정학, 정치학 등을 공부했으나 가르친 것은 방법론 과 리더십까지 다양했다. 방법론을 가르치기 위해 통계학, 과학철학, 과학사 등을 공부하여 지식의 지평을 넓히면서 융합적 사고를 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다. 대학 교수직을 정년퇴임한 후 ‘미래대 학 콜로키엄’을 주도하면서 융합학문의 길을 탐색했는데 21세기 리더는 융합적 사고로 창조적이어야 한다는 시대의 요구에 맞추려는 의도 때문이었다. 저자가 리더십, 그중에서도 정치 리더십에 집중한 이유는 젊었을 때 국회에서 일한 적이 있고, 의회 발전에 관련된 연구단체를 이끈 경험 이 있으며, 정당에서도 과객으로 일한 적이 있어 생소한 분야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특히 대통령을 포함한 톱 리더들의 행태를 행정부나 청와대 주변에서 관찰할 기회가 있어 이 부분에 관해 남들만큼 주장 을 펼 수 있겠다는 생각을 갖고 있었고, 마침 21세기 여성의 시대를 맞아 리더십에 관한 생각의 일단을 이 책에 담았다. 여성 리더에 대 한 세상의 부정적 시선이 많지만, 저자가 여성에 대한 편견이 남들보다 적은 것은 어렸을 적 어머니의 영향 때문이 아닐까 싶다. 편·저서로는 『서울대 리더십 강의』 『창조! 리더십』 『통의동 일기』 『우리는 미래에 무엇을 공부할 것인가』 『융합학문, 어디로 가고 있나?』 『국가의 미래』 『열린정부 국정운영 새틀 짜기』 『작은 정부 큰 국민』 『한국 민주주의의 미래』 『한국의 관료제 연구』 『방법론 강의』 등이 있다.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제1장 비교행정연구의 대두와 발전
 1. 개관 = 3
 2. 비교행정의 대두배경 = 4
 3. 비교행정연구의 공헌점과 비판점 = 9
 4. 결론 = 14
제2장 비교방법의 의미와 이념
 1. 개관 = 21
 2. '비교'의 의미 = 22
 3. 비교방법과 사례분석방법 = 30
 4. 비교분석방법의 취약점과 보완방안 = 32
제3장 비교연구방법, 하나의 대안 : 현상학적 접근방법
 1. 개관 = 39
 2. 현상학적 접근방법의 도입과 활용 = 40
 3. 현상학적 접근방법에 의한 비교연구의 과제 = 43
 4. 연구의 사례와 문제 = 45
제4장 비교행정이론
 1. 개관 = 53
 2. 근대화이론 = 55
 3. 종속이론 = 60
 4. 생산양식이론 = 64
 5. 도오시의 정보에너지 모형 = 66
 6. 리그스의 이론적 모형 = 69
제5장 미국의 관료제
 1. 개관 = 81
 2. 정부조직 = 83
 3. 관료제 내부의 하위체제와 관료유형 = 90
 4. 관료제에 있어서의 정치적 문제 = 97
 5. 관료제와 정치의 관계 = 99
 6. 관료제와 시민사회와의 관계 = 101
 7. 관료제의 개혁 = 103
제6장 영국의 관료제
 1. 개관 = 109
 2. 추밀원 = 110
 3. 수상 = 111
 4. 내각 = 115
 5. 중앙정부조직 = 118
 6. 공무원제도 = 120
 7. 관료들의 역할 유형 = 124
 8. 중앙정부와 지방정부와의 관계 = 128
 9. 의회와 행정부의 관계 = 130
 10. 최근의 관료제 개혁과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 132
제7장 독일의 관료제
 1. 개관 = 139
 2. 정부형태와 특징 = 140
 3. 정부조직 = 142
 4. 관료제의 특징과 행태 = 145
 5. 정부의 역할과 공공정책의 특성 = 146
 6. 공무원제도와 관료행태 = 148
 7. 통일 후의 관료제의 변화 = 151
 8. 향후 독일관료제의 발전 = 154
제8장 프랑스의 관료제
 1. 정치변동과 관료제의 안정성 = 159
 2. 고등직군으로 대표되는 엘리트 관료집단 = 161
 3. 관료들의 동질성 : 교육배경 = 165
 4. 정책결정과정 = 166
 5. 정책결정의 메커니즘 : 수상과 대통령의 관계 = 168
 6. 관료제와 정치의 상대적 관계 = 171
 7. 정부조직구조 = 173
 8. 정부조직에서의 각료제도 = 178
 9. 장관막료제 = 180
 10. 최근의 행정개혁 동향 = 185
제9장 일본의 관료제
 1. 개관 = 191
 2. 관료제의 구축과 성장 = 193
 3. 정책결정과정에서의 관료들의 역할 = 198
 4. 공무원제도 = 204
 5. 동질적인 관료문화의 형성 = 212
 6. 관료제와 정치의 관계구조 = 215
 7. 행정과 시민사회 = 219
 8. 관료조직 간의 갈등과 개혁 = 224
 9. 결론 = 230
제10장 싱가포르의 관료제
 1. 개관 = 237
 2. 통치구조와 정부조직 = 238
 3. 싱가포르의 국가성 = 242
 4. 관료들의 의식 = 246
 5. 관료들 보수의 정치경제학 = 249
 6. 정부관료제의 작동양식 = 250
 7. 관료제와 시민사회의 관계 = 253
 8. 싱가포르의 경제성장요인에 관한 이론적 해석 = 254
제11장 동아시아의 관료제 : 태국, 필리핀,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1. 개관 = 263
 2. 태국의 관료제 = 266
 3. 필리핀의 관료제 = 276
 4. 말레이시아의 관료제 = 281
 5. 인도네시아의 관료제 = 285
제12장 러시아의 관료제
 1. 개관 = 295
 2. 소련의 해체과정 = 296
 3. 러시아 행정체제의 구조적 요인 = 297
 4. 연방행정기관 = 302
 5. 행정부와 의회의 관계 = 308
 6. 개혁의 교훈과 향후 관료제의 역할 = 310
제13장 중국의 관료제
 1. 개관 = 315
 2. 관료제의 구조적 요인 = 316
 3. 중앙행정조직 = 321
 4. 지방행정조직 = 325
 5. 인사행정체계 = 328
 6. 관료제의 병폐와 관료부패 = 335
 7. 최근 관료제의 변동 = 339
제14장 북한의 관료제
 1. 개관 = 345
 2. 민주주의 중앙집권제 원칙 = 346
 3. 북한의 권력기구 = 349
 4. 중앙행정기구 = 354
 5. 지방기관 = 358
 6. 관료제의 인사충원 = 359
 7. 관료의 행태 = 361
 8. 정책결정과정 = 363
색인(국문사항·국문인명·영문사항·영문인명) = 36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