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검사설계의 원리
개관 = 3
제1장 심리검사 입문
1. 이 장의 학습목표 = 5
2. 검사와 측정 = 6
2.1 검사에 대한 구체적인 정의 = 6
2.2 검사와 다른 측정방법들과의 비교 = 8
3. 심리검사의 이용 = 10
3.1 평정 = 12
3.2 배치 = 12
3.3 선발 = 13
3.4 역량과 숙련도 = 13
3.5 진단 = 13
3.6 성과 평가 = 14
4. 좋은 검사의 특징 = 14
4.1 설계 측면에서의 중요한 속성 = 14
4.2 측정학적 측면에서의 중요한 속성 = 17
5. 검사와 측정척도 = 20
5.1 측정척도의 유형 = 20
5.2 측정척도의 중요성 = 24
6. 심리적 특성과 물리적 특성의 측정 = 25
6.1 왜 심리적 측정은 덜 정밀한가? = 25
6.2 왜 심리적 측정은 덜 직접적인가? = 26
7. 검사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출처 = 28
8. 검사사용에 적용되는 규정 = 30
9. 검사에 대한 찬반론 = 31
제2장 검사설계의 이슈
1. 이 장의 학습목표 = 36
2. 검사의 목적 = 37
2.1 검사 영역 = 38
2.2 검사 대상자 = 45
2.3 검사 점수유형 = 46
3. 검사의 내용 = 54
3.1 지식 혹은 기술 영역 : 검사 계획 = 54
3.2 행동적 영역 : 과업 분석 = 58
3.3 구성개념 영역 : 구성개념 명료화 = 61
4. 검사 실시 형식 = 62
4.1 개별 실시 = 64
4.2 집단 실시 = 66
4.3 컴퓨터 실시 = 67
제3장 능력검사의 설계
1. 이 장의 학습목표 = 73
2. 기본적인 설계 이슈 = 74
3. 대안-선택형 = 76
3.1 진위형 문항 = 77
3.2 짝짓기 문항 = 78
3.3 중다-선택형 문항 = 79
4. 자유-반응형 = 84
4.1 문장 완성형 문항 = 85
4.2 단답형 = 86
4.3 작문형 = 87
5. 대안-선택형과 자유반응형 문항의 비교 = 88
6. 채점체계의 선택 = 90
6.1 추측에 대한 교정 = 90
6.2 규준-참조점수 = 92
6.3 준거-참조점수 = 101
6.4 규준-참조점수와 준거-참조점수의 비교 = 106
제4장 전형적 수행검사의 설계
1. 이 장의 학습목표 = 111
2. 객관적 검사 : 성격과 흥미 = 112
2.1 문항 형식 = 113
2.2 반응 편파와 문항 형식 = 118
2.3 문항 선택과 척도 구성 = 122
2.4 규준-참조점수의 산출 = 127
3. 투사적 검사 : 성격 = 128
3.1 투사적 검사의 논리 = 129
3.2 문항 형식 = 130
3.3 문항선정과 척도구성 = 132
3.4 성격검사에 대한 올바른 이해 = 137
4. 태도척도 = 137
4.1 문항 형식 = 138
4.2 문항선정과 척도구성 = 138
5. 평가척도 = 142
5.1 문항 형식 = 142
5.2 평정자 오류와 문항 형식 = 149
5.3 평정의 정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방법 = 149
제2부 검사분석의 원리
개관 = 157
제5장 점수분포의 이해
1. 이 장의 학습목표 = 159
2. 분포에 대한 기술 = 160
2.1 원점수분포 = 161
2.2 빈도분포 = 161
2.3 기술통계치 = 164
2.4 분포의 모양 = 176
3. 분포 내 점수들의 관계 = 181
3.1 표준점수 = 181
4. 두 분포 간의 관계 = 184
4.1 산포도 = 184
4.2 상관 = 186
5. 점수들의 상관관계를 통한 예측 = 193
5.1 선형회귀 = 194
6. 원점수의 전환 = 197
6.1 선형전환과 영역(비선형)전환 = 197
6.2 선형전환 점수 = 198
6.3 비선형전환 점수 = 202
6.4 z-점수와 백분위의 관계 = 206
제6장 신뢰도
1. 이 장의 학습목표 = 212
2. 신뢰도 분석의 논리 = 213
2.1 신뢰도 분석의 이론적 배경 = 215
2.2 신뢰도 측정 = 218
2.3 신뢰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219
3. 신뢰도 분석방법의 종류 = 224
3.1 두 세트의 점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 = 224
3.2 한 세트의 점수를 이용한 신뢰도 분석 = 231
4. 신뢰도 정보의 활용 = 242
4.1 측정의 표준 오차 = 243
4.2 신뢰구간 = 246
4.3 차이 점수에 대한 신뢰도 평가 = 249
4.4 총점 또는 평균점수에 대한 신뢰도 평가 = 252
5. 바람직한 신뢰도의 기준 = 253
5.1 신뢰도 추정하기 = 253
5.2 신뢰도 높이기 = 254
제7장 타당도 분석
1. 이 장의 학습목표 = 261
2. 타당도 분석의 논리 = 262
2.1 신뢰도와 타당도의 관계 = 262
2.2 타당도 분석의 이론적 배경 = 264
3. 준거타당도 = 267
3.1 준거타당도 연구의 설계 = 268
3.2 준거타당도 계수 = 269
3.3 준거타당도 계수의 적용 = 274
3.4 선발 효율성 분석 = 283
4. 내용타당도 = 294
4.1 내용타당화 과정 = 295
4.2 내용타당도와 안면타당도 = 298
4.3 내용타당화에 대한 기타 접근 = 298
5. 구성타당도 = 300
5.1 구성타당화 과정 = 300
5.2 구성타당화 기법 = 301
제8장 문항분석
1. 이 장의 학습목표 = 308
2. 문항분석의 논리 = 309
3. 문항난이도 분석 = 310
3.1 문항난이도의 해석 = 314
3.2 검사점수에 미치는 문항난이도의 효과 = 316
3.3 응답률의 이용 = 319
4. 문항변별도 분석 = 320
4.1 문항변별도 측정치 = 321
4.2 문항변별도 자료의 이용 = 332
5. 오답지 파워 분석 = 336
5.1 오답지 파워의 기대값과 실제 오답지 파워 = 337
5.2 오답지 값의 해석 = 338
6. 문항 특성들 사이의 상호작용 = 340
7. 문항 특성 도표 = 341
7.1 변별도-난이도 도표 = 341
7.2 문항 특성 곡선 = 342
제3부 검사사용의 원리
개관 = 351
제9장 교육장면에서의 검사
1. 이 장의 학습목표 = 353
2. 교육장면에서의 검사 이용 = 354
2.1 교육장면에서 이용되는 검사의 유형 = 355
2.2 학교심리학자의 역할 = 356
2.3 검사 외의 교육적 의사결정 요소 = 357
3. 능력에 대한 일상적인 평가 = 357
3.1 적성의 측정 = 357
3.2 성취의 측정 = 363
4. 특수 교육의 필요성 발견 = 365
4.1 특수 요구의 유형 = 367
4.2 개별검사 접근 = 370
4.3 통합총집 접근 = 381
5. 검사편파의 문제 = 385
5.1 검사편파의 정의 = 385
5.2 검사편파의 측정 = 387
5.3 검사편파에 대한 연구결과 = 391
제10장 임상장면에서의 검사
1. 이 장의 학습목표 = 395
2. 임상장면에서의 검사 사용 = 396
2.1 임상심리학과 기타 영역 비교 = 396
2.2 임상심리학자에 의한 검사활용 = 397
2.3 임상 평가의 기타 요소 = 399
3. 심리평가 = 400
3.1 지능검사 = 401
3.2 객관적 성격검사 = 404
3.3 투사적 성격검사 = 409
3.4 다른 유형의 투사적 과제 = 416
3.5 심리 평가에서의 이슈 = 420
4. 신경심리학적 평가 = 422
4.1 지능검사 = 422
4.2 신경심리학적 검사 = 423
4.3 신경심리학적 평가에서의 이슈 = 430
제11장 상담장면에서의 검사
1. 이 장의 학습목표 = 434
2. 상담장면에서의 검사 사용 = 435
2.1 상담활동의 특성 = 435
2.2 상담에서의 검사 사용방법 = 439
3. 직업상담 = 440
3.1 흥미검사 = 440
3.2 능력검사 = 449
4. 개인상담 = 461
4.1 성격검사 = 461
4.2 성격검사 사용에 관한 이슈 = 466
4.3 태도척도와 기타척도 = 467
4.4 척도 사용에서의 이슈 = 468
제12장 기업과 산업장면에서의 검사
1. 이 장의 학습목표 = 471
2. 기업 및 산업체에서의 검사사용 = 472
2.1 신입사원 선발 = 472
2.2 재직자에 대한 평가 = 473
2.3 프로그램 및 제품에 대한 평가 = 473
3. 신입사원 선발 절차 = 474
3.1 선발검사 대 면접 = 475
3.2 검사의 유형 = 477
3.3 선발절차에 관한 규정 = 484
3.4 타당도 연구수행 = 487
4. 재직자 평가절차 = 488
4.1 평가절차 = 488
4.2 평가절차에 관한 규정 = 495
5. 프로그램 및 제품의 평가절차 = 496
5.1 조직 연구 = 496
5.2 인적요인 연구 = 498
5.3 마케팅 연구 = 499
부록
부록 A. 검사에 대한 정보 출처 = 505
부록 B. = 510
용어해설 = 513
참고문헌 = 525
연습상자 해답 = 543
찾아보기 = 56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