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000 | 00730camcc2200253 c 4500 | |
001 | 000045124782 | |
005 | 20120822133103 | |
007 | ta | |
008 | 040723s2004 ulka 001c kor | |
020 | ▼a 8975489574 ▼g 93180 | |
020 | ▼a 8975489570 ▼g 93180 | |
035 | ▼a KRIC09416393 | |
040 | ▼d 211048 ▼a 211048 ▼d 211009 | |
082 | 0 4 | ▼a 155 ▼2 22 |
085 | ▼a 155 ▼2 DDCK | |
090 | ▼a 155 ▼b 2004 | |
100 | 1 | ▼a 정옥분 ▼g 鄭玉粉, ▼d 1947- |
245 | 1 0 | ▼a 발달심리학 : ▼b 전생애 인간발달 / ▼d 정옥분 지음 |
246 | 1 1 | ▼a Developmental psychology |
260 | ▼a 서울 : ▼b 학지사, ▼c 2004 ▼g (2007) | |
300 | ▼a 756 p. : ▼b 삽화 ; ▼c 27 cm | |
504 | ▼a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 |
653 | ▼a 발달심리학 ▼a 심리발달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 2004 | 등록번호 11129636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 2004 | 등록번호 111296361 | 도서상태 분실(이용자분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 2004 | 등록번호 11153349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 2004 | 등록번호 1115473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 2004 | 등록번호 1115473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6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 2004 | 등록번호 1310279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 2004 | 등록번호 11129636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2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 2004 | 등록번호 111296361 | 도서상태 분실(이용자분실)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3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 2004 | 등록번호 11153349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4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 2004 | 등록번호 111547350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5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 2004 | 등록번호 111547351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의학도서관/자료실(3층)/ | 청구기호 155 2004 | 등록번호 131027976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책소개
생명의 시작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일생을 통해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전생애 접근법은, 인생에서 어느 한 단계도 다른 단계보다 더 중요하거나 덜 중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인간발달학은 다학문적 연구로서 인류학, 생물학, 가정학, 심리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성과들을 종합연구하는 응용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인간발달에 관한 축적된 지식체계는 다학문적 접근법에 의한 여러 학자들의 공동노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책은 전생애 접근법과 다학문적 접근법을 모델로 연구되고 서술되어져 관련 학문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들도 전생애 인간발달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집필되었다.
발달심리학 또는 인간발달학은 인간의 전생애에 걸친 모든 발달적 변화과정을 연구대상으로 하는 학문이다. 종래에는 발달이라는 용어가 좁은 의미로 사용되어 수태에서 청년기에 이른 상승적 변화만을 가리켰으나, 근래에는 보다 넓은 의미로 사용되어 청년기 이후 노년에 이르기까지의 하강적 변화까지도 포함한다. 생명의 시작에서부터 죽음에 이르기까지 일생을 통해 발달이 이루어진다는 전생애 접근법은, 인생에서 어느 한 단계도 다른 단계보다 더 중요하거나 덜 중요하지 않다는 사실을 우리에게 시사해 주고 있다. 또한 인간발달학은 다학문적 연구로서 인류학, 생물학, 가정학, 심리학, 사회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루어진 연구성과들을 종합연구하는 응용하는 학문이다. 따라서 인간발달에 관한 축적된 지식체계는 다학문적 접근법에 의한 여러 학자들의 공동노력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책은 전생애 접근법과 다학문적 접근법을 모델로 연구되고 서술되어져 관련 학문 연구자들뿐만 아니라 일반 독자들도 전생애 인간발달에 대한 이해를 쉽게 할 수 있도록 집필되었다.
정보제공 :

저자소개
정옥분(지은이)
서울대학교 사범대학 가정학과 졸업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과정 졸업(아동학 석사)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 박사과정 졸업(인간발달 전공 Ph.D.) 한국아동학회 회장, 한국인간발달학회 회장, 미국 University of Maryland 교환교수, ISSBD 국제학술대회 조직위원회 위원장,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교수, 고려대학교 사회정서발달연구소 소장 역임 현재 고려대학교 사범대학 명예교수 고려대학교 의료원 안암병원, 구로병원, 안산병원 어린이집 고문 저서 아동연구와 통계방법(학지사, 2010) 성인·노인심리학(학지사, 2008) 아동학 연구방법론(학지사, 2008) 유아교육 연구방법(학지사, 2008) 청년발달의 이해(개정판, 학지사, 2008) 전생애 인간발달의 이론(개정판, 학지사, 2007) 사회정서발달(학지사, 2006) 청년심리학(학지사, 2005) 발달심리학(학지사, 2004) 영유아발달의 이해(학지사, 2004) 아동발달의 이론(학지사, 2003) 아동발달의 이해(학지사, 2002) 성인발달과 노화(교육과학사, 2001) 공저 아동복지론(학지사, 2012) 보육과정(학지사, 2009) 애착과 발달(학지사, 2009) 노인복지론(학지사, 2008) 보육학개론(학지사, 2008) 부모교육(학지사, 2008) 예비부모교육(학지사, 2007) 정서발달과 정서지능(학지사, 2007) Parenting beliefs, behaviors, and parent-child relations: A cross-cultural perspective(공편, Psychology Press, 2006) 결혼과 가족의 이해(시그마프레스, 2005) 고등학교 인간발달(교육인적자원부, 2003) 배려지향적 도덕성과 정의지향적 도덕성: 아산재단 연구총서 제123집(집문당, 2003) 부모교육: 부모역할의 이해(양서원, 2000) 개정판 인간발달: 발달심리적 접근(교문사, 1997) 사랑으로 크는 아이(계몽사, 1996) 유아의 심리(중앙적성출판사, 1994) 인간발달: 발달심리적 접근(교문사, 1989) 가족과 환경(교문사, 1986) 역서 학위논문작성법: 시작에서 끝내기까지(공역, 시그마프레스, 2004) 청년발달의 이론(공역, 양서원, 1999) 인간발달의 이론(교육과학사, 1995) 인간발달 Ⅱ: 청년기, 성인기, 노년기(교육과학사, 1992) 부모교육 이론과 적용(공역, 국민서관, 1989) 논문 Sex-Role Identity and Self-Esteem among Korean and American College Students(University of Maryland 박사학위논문, 1983) 전통 ‘효’ 개념에서 본 부모역할인식과 자녀양육행동(1997) 영아기 기질 및 부모의 양육행동에 따른 2~4세 아동의 행동억제에 관한 단기종단연구: 8개국 비교문화연구를 위한 기초연구(2003) Behavioral Inhibition in Toddlers: Initial Findings from the International Consortium for the Study of Social and Emotional Development(2004) A Cross-Cultural Study of Behavioral Inhibition in Toddlers: East-West-North-South(2006) A Mediated Moderation Model of Conformative Peer Bullying(2012) 외 논문 다수

목차
목차 제1부 인간발달 이해의 기초 제1장 인간발달의 본질 = 17 1. 전생애 인간발달의 개념 = 20 2. 인간발달의 단계 = 24 3. 인간발달의 쟁점 = 28 1) 유전과 환경 = 28 2) 성숙과 학습 = 29 3) 연속성과 불연속성 = 30 4) 결정적 시기 = 32 5) 초기경험과 후기경험의 중요성 = 33 제2장 인간발달의 이론 = 35 1. 정신분석이론 = 37 1) Freud의 심리성적 이론 = 38 2) Erikson의 심리사회적 이론 = 43 2. 인지발달이론 = 48 1) Piaget의 인지발달이론 = 49 2) 정보처리이론 = 52 3) Vygotsky의 사회문화적 인지이론 = 53 3. 성숙이론 = 58 1) Gesell의 성숙이론 = 58 2) Montessori의 민감기이론 = 62 4. 학습이론 = 66 1) Pavlov의 고전적 조건형성이론 = 67 2) Skinner의 조작적 조건형성이론 = 71 3) Bandura의 인지적 사회학습이론 = 74 5. 인본주의이론 = 77 1) Maslow의 욕구위계이론 = 78 2) Rogers의 인간중심이론 = 82 6. 동물행동학적 이론 = 84 1) Lorenz의 각인이론 = 85 2) Bowlby의 애착이론 = 87 3) Wilson의 사회생물학이론 = 89 7. 생태학적 이론 = 91 1) Bronfenbrenner의 생태학적 체계이론 = 91 2) Elder의 생애이론 = 96 8. 우리나라의 인간발달이론 = 98 1) 전통적 유교사회의 인간발달관 = 98 2) 불교의 인간발달관 = 108 제3장 인간발달의 연구방법 = 113 1. 과학적 연구의 과정 = 115 1) 문제의 제기 = 115 2) 중요한 요인의 발견 = 116 3) 문제의 검증 = 116 4) 가설의 수락 또는 기각 = 116 2. 과학적 연구의 요소 = 117 1) 이론 = 117 2) 변수 = 117 3) 개념 = 117 4) 가설 = 118 3. 표집의 문제 = 119 4. 자료수집의 방법 = 121 1) 관찰법 = 121 2) 면접법과 질문지법 = 122 3) 사례연구 = 123 4) 표준화 검사법 = 124 5) 비교문화연구 = 125 6) 다중측정법 = 126 5. 연구설계 = 127 1) 기술연구 = 127 2) 상관연구 = 127 3) 실험연구 = 128 6. 인간발달연구의 접근법 = 130 1) 횡단적 접근법 = 130 2) 종단적 접근법 = 131 3) 순차적 접근법 = 133 7. 인간발달연구의 윤리적 문제 = 134 제2부 생명의 시작 제4장 인간발달의 유전학적 기초 = 141 1. 유전의 기제 = 143 1) 유전인자 = 143 2) 세포분열 = 146 2. 유전인자와 염색체의 이상 = 149 1) 유전인자의 이상 = 149 2) 성염색체 이상 = 150 3) 상염색체 이상 = 151 3. 유전상담 = 152 1) 태내진단 = 153 2) 유전질환 치료 = 156 제5장 태내발달과 태내환경 = 157 1. 생명의 시작 = 159 1) 수정 = 160 2) 성의 결정 = 161 2. 태내발달의 단계 = 164 1) 배종기 = 164 2) 배아기 = 166 3) 태아기 = 168 3. 태내환경과 영향요인 = 169 1) 영양 = 170 2) 약물복용 = 171 3) 질병 = 172 4) 연령 및 출산 횟수 = 173 5) 음주 = 174 6) 흡연 = 175 7) 정서상태 = 175 8) 기타 요인 = 176 9) 태내환경과 아버지의 영향 = 177 제3부 아동발달 제6장 출산과 신생아 = 181 1. 출산 = 183 1) 제1기 : 개구기(開口期) = 184 2) 제2기 : 출산기(出産期) = 185 3) 제3기 : 후산기(後産期) = 185 2. 신생아 = 185 1) 신체적 특징 = 186 2) 생리적 기능 = 186 3) 반사운동 = 189 제7장 영아기의 발달 = 193 1. 신체발달 = 195 1) 신체적 성장 = 196 2) 뇌와 신경계의 발달 = 199 3) 운동기능의 발달 = 203 4) 감각과 지각의 발달 = 205 2. 인지발달 = 217 1) 영아기 사고의 특성 = 218 2) 영아기의 기억발달 = 223 3. 언어발달 = 227 1) 언어발달의 이론 = 227 2) 언어발달의 단계 = 232 4. 사회정서발달 = 235 1) 정서의 발달 = 236 2) 기질의 발달 = 242 3) 애착의 발달 = 247 제8장 유아기의 발달 = 255 1. 신체발달 = 257 1) 신체적 성장 = 258 2) 뇌의 성장 = 261 3) 운동기능의 발달 = 262 2. 인지발달 = 268 1) 유아기 사고의 특성 = 269 2) 유아기의 기억발달 = 281 3. 언어발달 = 290 1) 단어와 문장의 발달 = 290 2) 문법의 발달 = 292 3) 의사소통 기술의 발달 = 294 4. 사회정서발달 = 295 1) 정서의 발달 = 295 2) 놀이 = 299 3) 성역할발달 = 304 4) 사회화와 가족의 영향 = 316 5) 가족구조의 변화 = 326 제9장 아동기의 발달 = 333 1. 신체발달 = 335 1) 신체적 성장 = 336 2) 운동기능의 발달 = 336 3) 건강관리와 질병 = 340 2. 인지발달 = 347 1) 아동기 사고의 특성 = 348 2) 인지양식 = 351 3) 지능과 창의성 = 355 3. 언어발달 = 367 1) 어휘와 문법의 확장 = 368 2) 의사소통 기술의 발달 = 368 3) 읽기와 쓰기 능력의 발달 = 369 4. 사회정서발달 = 371 1) 자기이해의 발달 = 371 2) 정서의 발달 = 378 3) 도덕성발달 = 380 4) 친사회적 행동 = 394 5) 또래관계 = 398 6) 학교생활 = 406 제4부 청년발달 제10장 신체·인지발달 = 413 1. 일반적인 신체발달 = 415 2. 내분비선의 변화 = 416 3. 사춘기와 성적 성숙 = 418 4. 성숙의 가속화 현상 = 421 5. 신체변화와 심리적 적응 = 423 1) 신체상 = 423 2) 조숙과 만숙 = 424 3) 개인차 = 425 6. 청년기 사고의 특성 = 426 1) 추상적 사고 = 426 2) 가설적·연역적 사고 = 427 3) 체계적·조합적 사고 = 428 4) 이상주의적 사고 = 429 7. 청년기의 자기중심성 = 429 1) 상상적 관중 = 429 2) 개인적 우화 = 430 8. 청년기의 사회인지 = 432 1) 인상형성 = 433 2) 역할수용 = 433 9. 컴퓨터와 청년 = 435 제11장 자아정체감발달 = 437 1. 자아정체감의 형성 = 440 2. 자아정체감은 왜 청년기에 문제가 되는가? = 441 3. 자아정체감의 네 가지 범주 = 442 1) 정체감 성취 = 443 2) 정체감 유예 = 443 3) 정체감 유실 = 444 4) 정체감 혼미 = 445 4. 자아정체감 상태와 관련변인 = 446 5. 자아정체감발달에서의 성차 = 447 제12장 청년기의 사회적 관계 = 449 1. 청년과 부모의 관계 = 451 2. 청년과 부모의 갈등 = 453 3. 청년과 부모의 의사소통 = 454 1) 의사소통 = 455 2) '나 전달법' = 455 4. 청년과 교우관계 = 457 5. 우정 = 458 1) 설리반의 우정에 관한 이론 = 459 2) 청년기 우정의 발달 = 460 3) 청년기 우정의 성차 = 461 4) 청년기 우정에 관한 우리나라의 연구 = 461 6. 이성교제 = 462 7. 청년의 성에 관한 태도와 행동 = 464 1) 자위행위 = 465 2) 십대 임신 = 467 3) 성폭력 문제와 해결책 = 468 제13장 심리적 부적응과 청소년 비행 = 471 1. 청년기는 과연 질풍노도의 시기인가? = 473 1) G. Stanley Hall의 견해 = 473 2) Anna Freud의 견해 = 474 3) Harry Stack Sullivan의 견해 = 475 4) Erik Erikson의 견해 = 476 5) Margaret Mead의 견해 = 477 2. 청년기의 심리적 부적응 = 479 1) 먹기장애(Eating Disorder) = 479 2) 불안장애(Anxiety Disorder) = 481 3) 우울증(Depression) = 482 4) 자살(Suicide) = 483 5) 성격장애(Personality Disorder) = 484 6) 정신분열증(Schizophrenia) = 485 3. 청소년 비행 = 486 1) 비행 청소년의 특성 = 487 2) 비행 청소년의 가족 = 488 3) 우리나라 청소년 비행의 현황 = 489 4) 기타 청소년 비행 = 490 제5부 성인발달과 노화 제14장 성년기의 발달 = 493 1. 신체발달 = 495 1) 신체상태 = 496 2) 외모 = 497 3) 건강과 질병 = 497 2. 인지발달 = 505 1) 성인기 사고의 특성 = 505 2) 성인기의 지능검사 = 509 3) 지능과 연령 = 510 4) 성인기 지능의 성차 = 513 5) 창의성과 연령 = 514 3. 직업발달 = 516 1) 직업발달의 이론 = 516 2) 직업선택과 영향요인 = 522 3) 직업만족도 = 524 4) 직업상의 스트레스 = 526 5) 여성의 직업발달 = 527 4. 성격과 사회성발달 = 531 1) 성격의 안정성 : 특성 모델 = 532 2) 성격의 변화 : 단계 모델 = 533 3) 성인기의 도덕적 사고 = 540 4) 성인기의 성역할 변화 = 543 5. 가족생활 = 546 1) 가족의 의미 = 547 2) 가족의 형성 = 547 3) 가족의 해체 : 이혼 = 558 4) 가족의 재형성 : 재혼 = 559 5) 가족구조의 변화 = 560 제15장 중년기의 발달 = 567 1. 신체변화 = 569 1) 외적 변화 = 570 2) 내적 변화 = 572 3) 감각 기능의 변화 = 573 4) 생식과 성적 능력의 변화 = 576 5) 노화의 이중 기준 = 583 6) 건강과 질병 = 583 2. 인지변화 = 589 1) 검사의 종류 = 589 2) 자료수집의 방법 = 590 3) 기억 = 591 4) 문제해결 능력 = 597 3. 직업발달과 직업전환 = 600 1) 직무수행과 성공 = 600 2) 직업만족도 = 601 3) 직업전환 = 602 4) 실직 = 604 5) 여가생활 = 606 4. 성격과 사회성발달 = 607 1) 중년기는 위기인가 전환기인가? = 608 2) 중년기 성격의 안정성 = 611 3) 중년기 성격의 변화 = 612 4) 중년기 여성의 성격발달 = 617 5) 중년기의 자아실현 = 618 5. 가족생활 = 619 1) 중년기의 부부관계 = 620 2) 자녀와의 관계 = 623 3) 노부모와의 관계 = 626 제16장 노년기의 발달 = 629 1. 신체변화 = 631 1) 수명과 노화 = 632 2) 외적 변화 = 636 3) 내적 변화 = 637 4) 감각기능의 변화 = 638 5) 건강관리와 질병 = 640 2. 인지변화 = 643 1) 지능검사의 종류 = 644 2) 자료수집의 방법 = 644 3) 노년기의 지적 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645 4) 기억 = 647 5) 최근 기억과 옛날 기억 = 648 6) 지혜 = 649 3. 직업과 은퇴 = 652 1) 은퇴의 의미 = 653 2) 은퇴의 단계 = 653 3) 은퇴에 대한 적응 = 655 4) 여가생활 = 657 4, 성격과 사회성발달 = 659 1) 노년기 성격의 안정성 = 659 2) 노년기 성격의 변화 = 660 3) 성공적인 노화 = 664 5. 가족생활 = 667 1) 노년기의 부부관계 = 667 2) 성인자녀와의 관계 = 671 3) 손자녀와의 관계 = 672 4) 형제자매관계 = 673 제17장 인생의 마무리 = 675 1. 죽음과 임종 = 677 1) 죽음의 정의 = 677 2) 발달단계와 죽음의 의미 = 679 3) 죽음에 대한 태도 = 681 4) 죽음 전의 심리적 변화 = 683 5) 호스피스 간호 = 686 2. 사별과 비탄 = 688 1) 사별 = 688 2) 비탄의 과정 = 690 3) 장례 : 애도의식 = 692 3. 인생의 회고 = 694 1) 삶과 죽음의 의미 = 695 2) 인생의 회고 = 695 3) 에필로그 = 697 참고문헌 = 699 찾아보기 = 74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