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제1부 고대의 법철학
제1장 고대 그리스의 법철학
제1절 소크라테스 이전 시대의 법 = 4
1. 신화시대의 법 = 4
2. 자연철학시대의 법철학 = 7
제2절 소피스트들의 법철학 = 11
1. 프로타고라스와 고르기아스 = 13
2. 안티폰, 알키다마스, 뤼코프론, 히피아스 : 이른바 약자의 자연법 = 15
3. 트라시마코스와 칼리클레스 : 이른바 강자의 자연법 = 17
제3절 소크라테스의 법철학 = 19
제4절 플라톤의 법철학 = 21
제5절 아리스토텔레스의 법철학 = 27
제2장 헬레니즘의 법철학
제1절 에피쿠로스학파의 법철학 = 35
제2절 스토아학파의 법철학 = 37
제3장 로마의 법철학
제1절 로마의 스토아 법철학 = 42
1. 키케로의 법철학 = 43
2. 세네카의 법철학 = 46
제2절 로마법과 로마법학자 = 47
제3절 플로티노스의 신플라톤주의 = 50
제2부 중세의 법철학
제1장 교부들의 법철학
제1절 성서의 법철학 = 57
제2절 교부철학의 발전 = 58
제3절 아우구스티누스의 법철학 = 60
제2장 스콜라학파의 법철학
제1절 전기 스콜라학파의 법철학 = 68
제2절 중기 스콜라학파의 법철학 = 69
1. 스콜라철학의 전성기 = 69
2. 토마스 아퀴나스의 법철학 = 70
제3절 후기 스콜라학파의 법철학 - 유명론의 부활 = 78
1. 둔스 스코투스의 법철학 = 79
2. 윌리암 오컴의 법철학 = 81
제3장 중세의 법 및 법학
제1절 게르만법의 발전 = 85
제2절 교회법의 발전 = 87
제3절 로마법의 부흥 = 88
제3부 근대의 법철학
제1장 근대 여명기의 법철학
제1절 휴머니즘 및 르네상스의 법철학 = 94
제2절 프로테스탄티즘의 법철학 = 96
1. 루터의 법철학 = 96
2. 칼뱅의 법철학 = 99
제3절 후기 스콜라 자연법론 - 살라망카학파의 법철학 = 101
1. 비토리아의 법철학 = 102
2. 수아레즈의 법철학 = 104
제4절 국가이성론 - 근대 국가론의 등장 = 107
1.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 108
2. 보댕의 주권론 = 110
제2장 고전적 자연법론의 선구자들
제1절 알투지우스의 법철학 = 114
제2절 그로티우스의 자연법론 = 116
제3장 근대 법실증주의의 탄생
제1절 홉스의 법철학 = 122
제2절 스피노자의 법철학 = 128
제4장 이성적 자연법론
제1절 푸펜도르프의 자연법론 = 131
제2절 라이프니츠의 법철학 = 134
제3절 토마지우스의 법철학 = 137
제4절 볼프의 이성적 자연법론 = 139
제5장 권력분립과 권력통합의 법철학
제1절 로크의 법철학 = 144
제2절 몽테스키외의 법철학 = 149
제3절 루소의 법철학 = 153
제6장 독일관념론의 법철학
제1절 칸트의 법철학 = 157
제2절 피히테와 쉘링의 법철학 = 169
1. 피히테의 법철학 = 169
2. 쉘링의 법철학 = 171
제3절 헤겔의 법철학 = 172
제7장 근대 영국의 법철학
제1절 벤담의 법철학 = 180
제2절 오스틴의 분석법학 = 184
제3절 밀의 법철학 = 187
제4절 다이시의 법치주의 = 189
제4부 근대후기의 법철학
제1장 역사법학
제1절 사비니의 법철학 = 195
제2절 역사법학의 발전 = 199
1. 독일의 게르마니스텐 = 199
2. 영미의 역사법학 = 201
제2장 법학방법론의 발전
제1절 푸흐타의 개념법학 = 204
제2절 예링의 목적법학 = 207
제3절 이익법학 및 평가법학 = 210
1. 헤크와 뤼멜린의 고전적 이익법학 = 212
2. 현대적 이익법학 : 평가법학 = 214
제3장 일반법학
제1절 일반법학의 발전 = 217
1. 베르크봄의 법률실증주의 = 218
2. 빈딩의 규범이론 = 219
3. 그 밖의 일반법학자들 = 220
제2절 국법학적 법실증주의 = 221
1. 게르버와 라반트의 국법학 = 222
2. 옐리네크의 법 및 국가철학 = 224
제4장 사회주의 법철학
제1절 마르크스·엥겔스의 법철학 = 228
제2절 법조사회주의 = 231
1. 라살레의 법철학 = 232
2. 안톤 멩거의 법철학 = 233
3. 레너의 법철학 = 234
제3절 소비에트의 법철학 = 235
제5장 법사회학의 발전
제1절 뒤르켐의 법사회학 = 240
제2절 뒤기의 법사회학 = 242
제3절 에를리히의 법사회학 = 245
제4절 베버의 법사회학 = 248
제6장 프랑스의 주석학파와 제도학파
제1절 프랑스 주석학파 = 253
제2절 프랑스 제도학파 = 255
제7장 자유법론
제1절 독일의 자유법론 = 259
1. 푹스와 이자이의 자유법론 = 260
2. 칸토로비츠의 자유법론 = 261
제2절 프랑스의 자유법론 = 263
1. 살레이유의 자유법론 = 263
2. 제니의 자유법론 = 264
3. 리페르의 자유법론 = 265
제8장 미국의 법철학
제1절 실용주의 법철학 = 268
1. 홈스의 법철학 = 269
2. 그레이의 법철학 = 271
제2절 카도조의 법철학 = 271
제3절 파운드의 사회학적 법학 = 273
제9장 신칸트주의 법철학
제1절 마르부르크학파의 법철학 = 277
1. 슈타믈러의 정법론 = 278
2. 델 베키오의 법철학 = 280
제2절 서남독일학파의 법철학 = 282
1. 라스크의 법학방법론 = 283
2. 라드브루흐의 상대주의 법철학 = 284
제10장 신헤겔주의 법철학
제1절 문화적 법철학 = 290
1. 콜러의 법철학 = 290
2. 마이어의 법철학 = 291
제2절 전체주의 법철학 = 292
1. 빈더의 법철학 = 293
2. 스멘트의 통합이론 = 294
3. 슈미트의 법철학 = 296
4. 라렌츠의 법철학 = 298
제5부 현대의 법철학
제1장 현대의 법실증주의
제1절 켈젠의 순수법학 = 306
제2절 하트의 새로운 분석법학 = 311
제2장 현대의 자연법론
제1절 신토마스주의 자연법론 = 319
1. 마리탱의 자연법론 = 319
2. 롬멘의 자연법론 = 321
제2절 영미의 신자연법론 = 322
1. 노스럽과 홀의 법철학 = 322
2. 풀러의 절차적 자연법론 = 324
3. 피니스의 자연법론 = 325
제3장 존재론적 법철학
제1절 가치론적 법철학 = 330
1. 벨첼의 법철학 = 332
2. 코잉의 법철학 = 333
제2절 실존주의 법철학 = 335
1. 페히너의 법철학 = 336
2. 마이호퍼의 법철학 = 337
제4장 법현실주의
제1절 미국 법현실주의 = 340
1. 미국 법현실주의의 주요 흐름 = 341
2. 르웰린의 규칙회의주의 = 343
3. 프랑크의 회의주의 = 343
제2절 스칸디나비아 법현실주의 = 346
1. 해거스트룀의 법철학 = 347
2. 룬트스테트의 법철학 = 348
3. 올리베크로나의 법철학 = 349
4. 로스의 법철학 = 350
제5장 법사회학의 현대적 흐름
제1절 법의 정책학 = 355
제2절 네오마르크시즘 = 356
1. 그람시의 헤게모니이론 = 358
2. 알튀세르의 구조주의적 마르크스주의 = 359
제3절 비판법학운동 = 361
1. 정치적 접근방법 = 362
2. 호르위츠의 비판법사학 = 364
제4절 루만의 체계이론 = 365
제6장 자연법론과 법실증주의의 접근
제1절 자연법론에서 법실증주의로 = 369
1. 카우프만의 법존재론 = 369
2. 드워킨의 법원리론 : 제3의 자연법론 = 371
제2절 법실증주의에서 자연법론으로 = 373
1. 포용적 법실증주의 = 373
2. 제도적 법실증주의 = 375
제7장 법학방법론의 현대적 전개
제1절 체계중심적 사고와 문제중심적 사고 = 378
1. 체계중심적 사고 = 379
2. 문제중심적 사고 = 380
제2절 법논리학의 발전 = 382
1. 형식논리적 경향 = 382
2. 변증론적·수사학적 경향 = 385
제3절 미완성의 법학방법론 = 389
1. 법해석학 = 389
2. 법경제학 = 392
3. 페미니즘 법학 = 396
4. 포스트모더니즘 법학 = 399
제8장 현대의 정의론
제1절 자유주의의 정의론 = 403
1. 롤스의 정의론 = 403
2. 노직의 정의론 = 406
제2절 공동체주의의 정의론 = 408
1. 샌들과 테일러의 정의론 = 409
2. 왈저의 다원적 정의론 = 411
참고문헌 = 413
인명색인 = 420
사항색인 = 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