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 Detail View

Detail View

정서심리학

정서심리학 (Loan 86 times)

Material type
단행본
Personal Author
김경희
Title Statement
정서심리학 / 김경희 지음
Publication, Distribution, etc
서울 :   박영사,   2004  
Physical Medium
xii, 376 p. : 삽화 ; 26 cm
ISBN
8910031263
Bibliography, Etc. Note
참고문헌(p. 309-357)과 색인수록
000 00605camcc2200217 c 4500
001 000045123674
005 20120207113540
007 ta
008 970101s2004 ulka b 001c kor
020 ▼a 8910031263 ▼g 93180
035 ▼a KRIC09425517
040 ▼a KYOBO ▼c KYOBO ▼d 211046 ▼d 211046 ▼d 211009
082 0 4 ▼a 152.4 ▼2 22
085 ▼a 152.4 ▼2 DDCK
090 ▼a 152.4 ▼b 2004b
100 1 ▼a 김경희 ▼0 AUTH(211009)44803
245 1 0 ▼a 정서심리학 / ▼d 김경희 지음
260 ▼a 서울 : ▼b 박영사, ▼c 2004
300 ▼a xii, 376 p. : ▼b 삽화 ; ▼c 26 cm
504 ▼a 참고문헌(p. 309-357)과 색인수록

Holdings Information

No. Location Call Number Accession No. Availability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No. 1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2.4 2004b Accession No. 111295480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No. 2 Location Main Library/Monographs(3F)/ Call Number 152.4 2004b Accession No. 111295481 Availability Available Due Date Make a Reservation Service B M

Contents information

Author Introduction

김경희(지은이)

<정서심리학>

Information Provided By: : Aladin

Table of Contents


목차
서론
 1. 정서의 정의의 변천 = 1
 2. 정서 이론의 변천 = 5
 3. 정서 연구의 변천 = 6
제1부 정서의 본질
 제1장 정서의 본질
  1.1 정서의 심리학적 기초 = 11
   1.1.1 기본 정서 = 12
   1.1.2 정서의 결정 요인 : 유전과 환경 = 16
  1.2 정서의 철학적 기초 = 22
   1.2.1 그리스와 로마시대 근대에서의 정서 = 23
   1.2.2 근대에서의 정서 = 25
   1.2.3 현대의 정서 = 27
  1.3 정서심리학의 문제점 = 29
 제2장 정서 연구 방법
  2.1 심리학적 측정법 = 31
   2.1.1 정서 연구의 문제점 = 31
   2.1.2 정서의 유도방법 = 33
   2.1.3 정서의 측정법 = 38
  2.2 응용 분야의 정서 측정 = 51
   2.2.1 인류학의 연구방법 = 51
   2.2.2 음성 측정법 = 55
제2부 정서의 생물학적 기초
 제3장 정서와 신체
  3.1 정서와 신체 반응 = 61
   3.1.1 정서의 말초 이론과 중추 이론 = 62
   3.1.2 얼굴-피드백-가설 = 64
   3.1.3 얼굴-피드백과 생리학적 변화 = 65
  3.2 정서의 신경심리학 : 정서와 뇌 = 66
   3.2.1 정서의 국소화(localization)에 대한 뇌반구 가설 = 67
   3.2.2 특정 영역에서의 정서의 국소화 = 69
   3.2.3 편도(amygdala) : 정서의 중추적 구성요소 = 71
   3.2.4 전전두 피질의 정서적 기능 = 74
   3.2.5 측배 전전두 피질의 정서적 기능 = 75
   3.2.6 안와 전두 피질의 정서적 기능 = 75
  3.3 뇌와 정서적 얼굴의 지각 = 76
   3.3.1 편도와 정서 표정 = 76
   3.3.2 혐오와 삼각부 피질 = 77
   3.3.3 역행 가장의 결과 = 77
  3.4 신경화학적 정서 체계 = 78
   3.4.1 아편제(Opioid) = 78
   3.4.2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 남성호르몬) = 80
 제4장 정서의 내분비학
  4.1 신경-내분비학적 기초 = 81
   4.1.1 분노, 공포, 우울 정서 = 81
   4.1.2 정서의 신경내분비적 유형과 본능적인 태고형 = 86
  4.2 신경생리학적 기초 = 90
   4.2.1 정서와 관련된 자율신경계 변인들 = 90
 제5장 정서의 해부학
  5.1 이론적 기초 = 101
   5.1.1 정서의 신경해부학 = 101
   5.1.2 편도 정서의 해부학 = 103
  5.2 공격성과 유친성 = 106
   5.2.1 공격성의 원인 = 106
   5.2.2 공격성과 유친성의 해부학 = 108
  5.3 우울증 = 110
제3부 정서의 이론
 제6장 정신진화론적 차원
  6.1 정신진화 이론의 중요 개념들 = 115
   6.1.1 정서의 개념 : 가설적 구인 = 116
   6.1.2 정서와 진화 = 117
   6.1.3 정서와 인지 = 119
   6.1.4 정서와 성격 = 120
   6.1.5 정서의 파생물로서 자아 방어 = 121
   6.1.6 순응의 보편적 문제들 = 122
  6.2 다윈의 정서 이론 = 125
   6.2.1 정신진화의 연구 = 126
  6.3 다윈의 연구 영향 = 129
   6.3.1 진화생물학의 관점에서 본 정서의 발달과 기능 = 130
   6.3.2 계통발생적 전망 = 130
   6.3.3 영장류의 기본 정서 = 131
   6.3.4 영아 연구 = 133
   6.3.5 얼굴 표정의 지각과 모방 = 134
   6.3.6 얼굴 표정의 보편성 가설 = 136
  6.4 다윈의 후계 이론가들 = 138
   6.4.1 맥두갈(Mcdougall) = 138
   6.4.2 순응적 생물학적 과정과 정서 : 플라칙(Plutchik) = 138
   6.4.3 정서 용어로 본 6개 기본 정서 : 쉐이버(Shaver) = 139
   6.4.4 동기 유발과 정서 : 벅(Buck) = 140
   6.4.5 행위 준비도와 정서 : 프리자(Frijda) = 141
   6.4.6 정서의 신경-문화적 이론 : 에크만과 프리젠 = 142
  6.5 진화 심리학적 이론 = 143
  6.6 사회 생물학적 이론 = 145
   6.6.1 사회 생물학 이론의 역사적 배경 = 145
   6.6.2 정서의 정의 = 146
   6.6.3 정서에 관한 사회생물학의 가정들 = 146
   6.6.4 병리적 정서에 대한 입장 = 147
  6.7 기타 소이론 = 148
   6.7.1 샤치텔과 싱어 이론 = 148
   6.7.2 플라칙과 엑스 이론 = 148
 제7장 심리생리학적 차원
  7.1 후성적 이론(epigenetic theory) = 151
   7.1.1 기본 가정 = 151
   7.1.2 정서의 조절 = 154
  7.2 심리학적 이론 = 155
   7.2.1 기본 가정 = 155
   7.2.2 성격과 정신병리 = 156
  7.3 인지 현상적 이론 = 157
   7.3.1 이론의 배경 = 157
   7.3.2 제이종크와 라자러스의 논쟁 = 162
  7.4 자율적-인지 이론 = 164
 제8장 역동적 차원
  8.1 구성주의 이론 = 165
   8.1.1 기본 가정 = 165
   8.1.2 구성주의 이론의 네 가지 관점 = 167
   8.1.3 정서의 패러다임 = 172
  8.2 정신분석적 이론 = 176
   8.2.1 기본 가정 = 176
   8.2.2 기본 정서 체계의 문제점 = 177
   8.2.3 정서와 방어 기제 = 178
제4부 정서 발달
 제9장 유아의 정서 발달
  9.1 유아기의 정서 발달 = 183
   9.1.1 유아 정서 발달의 문제점 = 185
   9.1.2 정서 양식을 결정하는 요인들 = 190
   9.1.3 감정의 발달 = 193
   9.1.4 정서 연구와 문제점 = 194
  9.2 유아 정서 발달의 전제로서 유아-부모 관계 = 198
  9.3 애착 대 분리 = 202
   9.3.1 일반적 연구 결과 = 202
   9.3.2 애착의 유형 = 203
   9.3.3 애착 이론 = 204
   9.3.4 아버지에 대한 애착 = 208
   9.3.5 애착과 문화 = 208
 제10장 사회화
  10.1 사회적 참조 = 209
   10.1.1 정의 = 209
   10.1.2 유아의 사회적 참조에 관한 경험적 연구 = 210
   10.1.3 얼굴 표정 정보 이용의 발달 수준 = 213
  10.2 정서 발달과 정서 학습 = 217
   10.2.1 학습의 역할 = 217
   10.2.2 사회적 학습과 정서 발달 = 218
  10.3 정서의 발생, 기능 및 정서 표현의 조절 = 220
   10.3.1 정신분석적 입장 = 220
   10.3.2 분화 가설 = 221
   10.3.3 분리정서 이론 = 222
   10.3.4 정서 표현의 조절 = 223
   10.3.5 정서 조절의 임상적 개념 = 224
  10.4 정서의 성숙 : 청년기 = 225
   10.4.1 정서와 정체감(identity) = 227
  10.5 정서 지능 = 229
   10.5.1 정서 지능의 발달 = 229
   10.5.2 정서 지능의 측정 방법 = 235
 제11장 정서 발달 이론
  11.1 피아제 이론의 입장에서 본 정서 발달 = 237
   11.1.1 인지 발달과 정서 발달의 관계 = 239
   11.1.2 병행론 = 240
   11.1.3 부대 현상론 = 241
  11.2 정신진화론 = 242
   11.2.1 정서의 정신진화론의 중심 개념들 = 242
   11.2.2 유아의 에토그램 = 245
   11.2.3 셰마 = 247
  11.3 후성론적 입장에서 본 정서의 발달 = 249
   11.3.1 정서의 기초 = 251
   11.3.2 정서와 대상 관계 발달 = 252
   11.3.3 정서의 심층 구조 = 253
   11.3.4 기본 정서와 인지적 차원과의 관계 = 257
제5부 정서의 치료법
 제12장 정신진화적 치료
  12.1 정신진화적 치료의 이론 = 265
   12.1.1 정서의 정신진화론 개관 = 266
   12.1.2 정서에 대한 진화론적 접근의 임상적 의미 = 268
  12.2 정신진화론적 치료의 책략 = 272
   12.2.1 치료 행동의 준거 = 272
   12.2.2 변화 책략 = 273
   12.2.3 치료적 의사 소통법 = 274
   12.2.4 정신 치료의 책략 = 275
  12.3 분노 = 277
   12.3.1 진화론적 견해 = 277
   12.3.2 분노와 정서 장애 = 279
 제13장 정신분석적 치료
  13.1 정신분석적 과정 = 281
   13.1.1 1차적 과정 = 281
   13.1.2 2차적 과정 = 283
   13.1.3 1차적 과정과 정서 = 283
  13.2 정신병 징후와 정서-성격 구조 = 284
  13.3 집단 치료에서의 정서의 역할 = 287
   13.3.1 집단 이론의 역사적 고찰 = 287
   13.3.2 집단 치료의 요인들 = 289
   13.3.3 집단 치료의 발달 단계와 환자의 역할 = 292
 제14장 역동적 치료
  14.1 인지적 치료 = 297
   14.1.1 인지 구조 = 298
   14.1.2 인지 명제 = 300
   14.1.3 인지 조작 = 301
   14.1.4 인지 산물 = 302
  14.2 다형태적 치료 = 302
  14.3 대인관계 분석법-정화 모델 = 304
   14.3.1 정화 모델의 개념과 현황 = 304
   14.3.2 정화 모델의 효과 분석법 : 사회적 행동의 구조적 분석 = 305
   14.3.3 분노 표현에 관한 치료적 지침 = 306
참고문헌 = 309
색인 = 359


New Arrivals Books in Related Fields

양옥경 (2022)
Ackerman, Diane (2023)
차미혜 (2022)
Haibach-Beach, Pamela S. (2024)
Goldstein, E. Bruce (20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