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00 | 00871namcc2200277 c 4500 | |
001 | 000045123092 | |
005 | 20100915160942 | |
007 | ta | |
008 | 020802s2002 ulk 001c kor | |
020 | ▼a 8980154631 ▼g 03230 | |
035 | ▼a KRIC08283867 | |
040 | ▼a 222001 ▼c 222001 ▼d 211009 | |
041 | 1 | ▼a kor ▼h fre |
082 | 0 4 | ▼a 270.1 ▼2 22 |
085 | ▼a 270.1 ▼2 DDCK | |
090 | ▼a 270.1 ▼b 2002 | |
100 | 1 | ▼a Hamman, A.-G. ▼q (Adalbert-G.), ▼d 1910- |
245 | 1 0 | ▼a 교부들의 길 : ▼b 감동의 교부 단편과 함께읽는 교부학 입문서 / ▼d 아달베르 함만 지음 , ▼e 이연학 ; ▼e 최원오 옮김 |
246 | 1 9 | ▼a Pour lire les Peres de l'Eglise |
246 | 1 | ▼i 영어번역표제: ▼a How to read the church fathers |
260 | ▼a 서울 : ▼b 성바오로, ▼c 2002 | |
300 | ▼a 255 p. ; ▼c 23 cm | |
700 | 1 | ▼a 이연학, ▼e 역 |
700 | 1 | ▼a 최원오, ▼e 역 |
900 | 1 0 | ▼a 함만, 아달베르, ▼e 저 |
소장정보
No. | 소장처 | 청구기호 | 등록번호 | 도서상태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
No. 1 | 소장처 중앙도서관/제2자료실(3층)/ | 청구기호 270.1 2002 | 등록번호 111295292 | 도서상태 대출가능 | 반납예정일 | 예약 | 서비스 |
컨텐츠정보
저자소개
아달베르 함만(지은이)
교부학자. 프랑스에서 태어나 프란치스코 수도회에 입회하여 1935년에 사제품을 받았다. 스트라스부르 대학교에서 신학과 교부학을 전공하여 박사학위를 받았고, 1961년부터 1965년까지 몬트리올 대학교와 퀘벡 대학교에서 교부학 교수로 활동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신학 전문위원으로 활동했으며, 1970년부터 1984년까지 로마 아우구스티누 스 대학에서 교부학을 가르쳤다. 일평생 900여 편의 책과 논문을 남기고 2000년 90세의 나이로 세상을 떠났다. “그리스도교 신앙은 교부라는 학교를 통해 삶이 된다”는 신념 아래 교부 시대의 사랑 실천과 교부들의 사회적 가르침에 특별한 관심을 기울이며 교부들의 현재성을 보여 준 학자로 평가받는다. 2003년에는 그를 기리는 차원에서 함만상Prix Hamman이 제정되어 2년마다 그리스어, 혹은 라틴어 교부 문헌을 발굴해 프랑스어로 번역한 이에게 수여하고 있다. 미뉴Jacques-Paul Migne의 『라틴 교부 총서』Patrologiae Cursus Completus, Series Latina(PL) 보충판을 펴냈고, 다양한 교부 문헌 총서(『믿나이다』Credo, 『하느님의 사람들』Hommes de Dieu, 『익투스-그리스도교 문헌』Ichtus-Lettres chr?tiennes, 『신앙의 아버지들』Les P?res dans la foi)를 기획 출간했다.
이연학(옮긴이)
대학에서 신학을 전공하고 교부학으로 석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양주 올리베따노 성 베네딕도 수도원 원장이다. 『내가 사랑한 교부들』(공저, 분도출판사, 2005), 『교부들에게 배우는 삶의 지혜』(공저, 분도출판사, 2017)를 지었고, 포시디우스의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공역, 분도출판사, 2008), 아우구스티누스의 『요한 서간 강해』(공역, 분 도출판사, 2011) 등을 한국어로 옮겼다.

목차
목차 옮긴이들의 말 = 5 머리말 = 13 제1장 : 예루살렘에서 로마로 = 21 Ⅰ. 그리스도교 문헌의 탄생 = 23 1. 유다계 그리스도교 저술 = 23 「열두 사도들의 가르침 - 디다케」 = 24 「바르나바의 편지」 = 26 「헤르마스의 목자」 = 27 최초의 그리스도교 시 작품인 「솔로몬의 송가」 = 30 2. 최초의 사목 서간들 : 선교하는 교회 = 32 로마의 클레멘스, 「고린토인들에게 보낸 편지」 = 33 안티오키아의 이냐시우스, 「일곱 편지」 = 33 Ⅱ. 신앙과 문화의 만남 : 호교 교부 = 40 1. 「디오그네투스에게」 = 41 2. 평신도 신학자 유스티누스(+165년) = 42 2.1 작품 = 42 2.2 가르침 = 43 Ⅲ. 리옹의 이레네우스(+200년경) = 53 1. 영지주의가 불러온 위기 = 53 2. 이레네우스의 가르침 = 54 제2장 : 순교자들의 교회(3세기) = 69 Ⅰ. 피로 쓴 서사시 = 75 Ⅱ. 알렉산드리아의 그리스도교 사상 = 78 1. 알렉산드리아의 클레멘스(+215년경) = 79 「그리스인들을 향한 권고」 = 80 「교육자」 = 80 「양탄자」 = 81 「어떤 부자가 구원받을 수 있는가?」 = 81 클레멘스 가르침의 의미 = 81 2. 오리게네스(+254년) : 말씀의 몸인 성서 = 82 2.1 작품 = 83 2.2 가르침 = 84 주석가 = 84 신학자 = 85 영적 스승 = 86 Ⅲ. 북아프리카의 그리스도인들 = 96 1. 하느님의 전사(戰士) 테르툴리아누스(155-212년경) = 97 1.1 생애 = 97 1.2 작품 = 98 논쟁가 = 99 그리스도교 공동체의 스승이며 금욕의 스승 = 101 몬타누스주의자 = 102 1.3 의미와 영향 = 102 2. 카르타고의 주교 치프리아누스(+258년) = 103 2.1 생애 = 103 2.2 작품 = 107 성서의 사람 = 107 교회일치의 수호자 = 107 주교의 사목활동 = 108 3. 인문주의자 그리스도인 : 락탄티우스(+330년) = 110 제3장 : 황금기(4세기와 5세기) = 113 Ⅰ. 디오클레티아누스에서 콘스탄티누스 대제로 = 115 1. 국교인 그리스도교 = 118 2. 신학의 위기 : 아리우스주의 = 119 3. 교회 공동체 내부의 삶 = 124 Ⅱ. 교회사가 에우세비우스 = 125 1. 오리게네스의 제작 = 125 2. 콘스탄티누스의 신임을 받은 사람 = 126 Ⅲ. 동방으로 퍼져나간 그리스도교 = 128 1. 에프렘, 성령의 수금(306-373년) = 129 2. 에프렘, 시리아 신학의 증인 = 129 3. 에프렘의 작품들 = 130 Ⅳ. 그리스도교의 땅 이집트 = 132 1. 이집트 수도승 생활의 탄생 = 132 2. 알렉산드리아 교회와 알렉산드리아의 주교들 = 135 2.1 정통 교리의 기둥 아타나시우스(295-373년) = 136 니체아 신경의 수호자 = 136 호교가요 논쟁가 = 138 수도승들의 친구 = 139 2.2 알렉산드리아의 치릴루스(+444년) = 141 치릴루스와 에페소 공의회(431-433년) = 142 치릴루스의 교리 저작 = 144 Ⅴ. 증언의 도시 예루살렘 = 148 1. 예루살렘의 치릴루스(313-387년) = 148 교리교사 치릴루스 = 149 세례를 위한 교리교육 = 150 신비교육으로서의 교리교육 = 150 2. 순례의 중심지 예루살렘 = 151 「에게리아 순례기」 = 153 Ⅵ. 캅파도키아의 광채 = 154 1. 체사레아의 바실리우스(329-379년) = 155 나체아 공의회 신앙의 수호자 = 156 사회활동에 뛰어든 주교 = 156 수도승 생활의 아버지 = 157 전례학자 바실리우스 = 157 2. 나지안즈의 그레고리우스(329-390년) = 159 신학자 그레고리우스 = 160 인문주의자요 시인인 그레고리우스 = 161 3. 니싸의 그레고리우스(+394년) = 163 신앙의 교육자 = 164 성서 독서의 중요성 = 165 수도승 생활의 신학자이며 신비생활의 신학자 = 165 Ⅶ. 안티오키아 = 169 1. 요한 크리소스토무스(+407년) = 170 성서의 사람 = 171 보잘것 없고 가난한 사람들의 보호자 = 172 믿음의 교육자이며 사목자 = 172 2. 몹수에스티아의 테오도루스(+428년) = 175 Ⅷ. 서방과 갈리아의 부흥 = 177 1. 프와티에의 힐라리우스(+367년)와 갈리아 = 179 신앙의 수호자 = 179 사목자이며 영적 스승 = 182 알려지지 않은 전례가 = 184 2. 완벽한 사목자 암브로시우스(337/9-397년) = 184 인물 됨됨이 = 185 성서의 사람 = 186 전례의 봉사자 = 187 가난한 사람들과 약한 사람들의 변호자 = 187 영적 인도자 = 189 3. 이탈리아의 다른 저술가들 = 189 4. 수도승이며 성서주석가인 스트리돈의 히에로니무스(347-420년) = 190 히에로니무스의 편지들 = 191 수도승 생활의 증인 = 192 싸움꾼 = 192 동방 유산의 번역가 = 193 성서주석가이며 본문 비평가 = 193 Ⅸ. 라틴 시문학의 발전 : 다마수스에서 세둘리우스까지 = 195 1. 다마수스 교황(+384년) = 195 2. 스페인의 프루덴티우스(+405년 이후) = 196 3. 놀라의 주교였던 보르도의 파울리누스(353/4-431년) = 197 4. 세둘리우스(+420/30년) = 197 Ⅹ. 아프리카인 아우구스티누스(354-430년), 서방의 영광 = 199 1. 히포의 주교 아우구스티누스 = 201 2. 신학 논쟁 = 201 마니교 논쟁 = 201 도나투스 논쟁 = 201 펠라기우스 논쟁 = 202 3. 아우구스티누스의 작품들 = 206 「고백록」 = 206 「삼위일체론」 = 207 「신국론」 = 209 제4장 : 비잔틴 문화와 중세를 향하여 = 215 Ⅰ. 서방 라틴 교회 = 217 1. 갈리아 그리스도인들의 활약 = 217 2. 이탈리아에서 교황의 활동과 문화의 수호 = 223 3. 이베리아와 서고트 = 231 Ⅱ. 동방의 그리스도교 세계 = 233 1. 위 - 디오니시우스 = 234 2. 멜로데의 로마누스(+555년 이후) = 235 3. 증거자 막시무스(580-662년) = 237 4. 다마스코의 요한(650-750년경) = 239 맺음말 = 241 찾아보기 = 247